본궤도 오른 테일러메이드 매각, 해외 원매자 집중 마케팅 국내 PE는 사실상 배제, 글로벌 타이어업체도 인수 관심
감병근 기자공개 2025-06-16 08:08:29
이 기사는 2025년 06월 13일 15시2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테일러메이드 인수전이 해외 원매자 위주로 진행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마케팅 대상에서 국내 재무적투자자(FI)를 배제하고 해외 전략적투자자(SI)들과 폭 넓게 접촉하려는 움직임이 포착된다. 글로벌 의류업체 외에 타이어업체들도 주요 인수후보군으로 거론되고 있다.13일 투자업계에 따르면 테일러메이드 매각주관사인 JP모간, 제프리스는 이번 주 초부터 투자안내문(티저레터)을 인수후보군에게 발송했다. 예비입찰 등 매각 일정은 추후 프로세스레터를 통해 안내될 예정이다.
티저레터는 해외 원매자들 위주로 발송됐다. 국내 사모펀드(PEF) 운용사는 한 곳도 티저레터를 수령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4조~5조원대로 거론되는 딜 사이즈, 해외에 본사를 둔 업체라는 특성 등이 두루 고려된 결과로 풀이된다.

골프공, 골프채 등 골프용품은 타이어 생산과정에서 나오는 고무, 탄소섬유(카본)를 원료로 제작된다. 이 때문에 타이어업체들이 골프용품 생산업체를 인수하면 수직 계열화가 가능하다. 브릿지스톤, 던롭 등 타이어업체가 골프용품을 생산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국내 SI 중에서는 테일러메이드 우선매수권을 보유한 F&F가 인수후보로 거론된다. F&F는 센트로이드인베스트먼트파트너스(이하 센트로이드)의 테일러메이드 인수 펀드 출자자(LP)로 참여하면서 우선매수권을 확보했다.
F&F가 우선매수권 행사를 결정하면 국내 PEF 운용사도 F&F의 우군 형태로 테일러메이드 인수전에 참전할 가능성이 크다는 평가다. 물밑에서 F&F에 접촉하는 대형 PEF 운용사들도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센트로이드는 2021년 2조1500억원을 투입해 테일러메이드를 인수했다. 인수 이후 테일러메이드는 실적이 크게 상승했다. 최근 5년간 연평균 매출 성장률은 10%, 상각전영업이익(EBITDA) 성장률은 15% 수준을 기록했다. 작년 EBITDA는 2억2200만달러(3042억원) 수준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딜
-
- 'MG·신협 참여' 웰투시, 에스아이플레스 인수 펀딩 완료
- 한앤코의 남양유업 자사주 선물…국내 PEF 새 흐름 되나
- [삼정KPMG를 움직이는 사람들]부동산·레저 자산 시장을 설계하다, 진형석·서광덕 전무
- [2025년 정기 신용평가 점검]거센 등급하향 압박…석화·건설 '회복 요원'
- [SK플라즈마 IPO]중복상장 부담 컸다…탄력적 스케줄 운영 '무게'
- '에코비트 볼트온' IMM, 코엔텍 인수전 참여 검토
- 발전소 유동화 나선 SK이노, '복수 기관' 선정할까
- [SK플라즈마 IPO]주관사 선정 늦어진다…IB 하우스 두고 '장고'
- [Rating Watch]신용등급 'A-'와 'BBB+' 사이…한 노치로 '기로'
- [Deal Story]방산·조선 호조, HD현대 시장선 'AA급' 평가
감병근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10년 만 엑시트' 퀸테사·헤임달·JKL, 지디케이화장품 매각 완료
- 'CGI홀딩스 무대응' CGV, 튀르키예 FI 상환 지연 전략 재연하나
- 제네시스PE, '자이에스앤디 주택관리사업·AJ대원' 인수
- [LP Radar]산은 AI 펀드 출자 돌입, 중소형 PE 참여 확대되나
- ’애경산업 인수 참전’ 폴캐피탈코리아, 투자 확대 행보 주목
- [thebell League Table]'FI vs SI' 김앤장·광장, 고객군 극명히 갈렸다
- [thebell League Table]김앤장, 법률자문 선두 유지…매서운 광장의 추격
- '볼트온 속도' EQT, 대영기업 재활용 사업부 인수
- '폐기물 바이아웃 명가' 한투PE, 재활용업체 주원 인수
- SK이노베이션, SK온 FI 투자금 조기 상환 타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