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팜테코, '비만시장' 겨냥 3400억 베팅 세종 신공장 착공 SK바이오텍 구심점…GLP-1 계열 펩타이드 수주 예고, 2027년께 상업 가동 기대
한태희 기자공개 2025-06-18 08:33:21
이 기사는 2025년 06월 17일 14시3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SK그룹의 의약품 CDMO(위탁개발생산) 계열사 SK팜테코가 국내 자회사 SK바이오텍을 통해 세종 신공장 착공에 돌입했다. GLP-1 계열 비만치료제 등 글로벌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펩타이드 의약품 생산 역량을 확보해 수주에 나선다.SK팜테코는 CGT(세포·유전자치료제) 분야로 확장을 추진 중이나 사업 초기인만큼 아직 확실한 수익성을 마련하지 못한 상황이다. 국내 자회사를 중심으로 기존 주력 사업인 합성의약품 CMO(위탁생산) 역량을 강화해 내실 다지기에 집중한다.
◇내년 말 완공 후 상용 가동 목표, 6공장 구조 건설도 함께 진행
17일 업계에 따르면 SK팜테코는 최근 국내 자회사 SK바이오텍을 통해 세종시에 위치한 5공장 착공에 돌입했다. 약 2~3개월 전부터 본격적인 공사에 돌입한 것으로 파악된다. 이르면 내년 말 공장 완공 후 상용 가동을 할 것으로 예상한다.
SK바이오텍은 앞서 작년 8월 원료의약품 및 의약중간체 생산플랜트 증설을 목적으로 3147억원을 투자한다고 공시했다. 이어 같은 해 10월 3400억원 규모로 저분자 및 펩타이드 생산 능력 확장을 위해 세종시에 최첨단 시설을 신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새롭게 건설되는 5층 건물은 약 12,634㎡로 연간 수십 톤에 달하는 저분자 및 펩타이드 의약품 생산이 가능한 8개의 생산 트레인을 포함한다. 최첨단 펩타이드 R&D 시설과 임상 및 상업적 용도로 사용 가능한 cGMP 킬로 랩 및 파일럿 플랜트를 아우른다.
펩타이드는 2개 이상의 아미노산의 펩타이드 결합에 의해 연결된 화합물이다. 전세계적으로 각광받고 있는 세마그루타이드 등 GLP-1 계열 비만치료제 역시 펩타이드 기반 치료제로 관련 시장 확대와 함께 펩타이드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SK바이오텍은 국내 5번째 생산기지인 이번 공장 건설과 함께 6공장 외부 구조 건설도 함께 진행한다. 캐파 확장을 통해 의약품의 초기 임상 단계부터 상업 생산까지 유연한 대응을 목표로 한다. 신규 공장 운영을 위해 약 300명의 인력도 추가 채용할 예정이다.
◇CGT 사업 수익성 부진, 합성의약품 CMO 역할 주목
SK그룹은 2019년 통합 시너지 창출을 위해 통합법인 SK팜테코를 설립하며 CMO 사업 역량을 SK팜테코 산하로 일원화했다. SK바이오텍, SK바이오텍아일랜드, 앰팩(AMPAC), 이포스케시, CBM 등 국내를 포함한 글로벌 각지에서 법인을 운영하고 있다.

SK팜테코는 2021년을 기점으로 고성장이 예상되는 CGT(세포·유전자치료제) 사업 확장에 나섰다. 프랑스 소재 CMO 기업 이포스케시를 인수한 게 대표적 사례다. 2023년에는 미국 CBM(The Center for Breakthrough Medicines)에 추가 투자해 경영권을 확보했다.
다만 공격적 투자로 늘어난 매출 외형에도 사업 초기인만큼 수익성은 부진하고 있다. SK팜테코의 작년 매출은 8497억원으로 같은 기간 약 2170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2023년 기록한 약 920억원의 영업손실 대비 적자 폭이 2배 이상 늘었다.

SK팜테코는 2028년 나스닥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23년에는 5년 내 상장 조건으로 일정 수익률을 보장한 프리IPO 투자를 유치했다. IPO 과정에도 안정적 영업실적을 내고 있는 SK바이오텍 중심 국내 CMO 사업의 역할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SK바이오텍의 작년 매출은 2070억원으로 전년 2024억원 대비 소폭 증가했다. 같은 기간 392억원의 영업이익, 334억원의 순이익을 내며 SK팜테코의 연결 실적에 공헌하고 있다. 내년께 5공장이 완공되면 이같은 성장세에도 힘을 보탤 전망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i-point]케이사인, 양자내성암호 솔루션·인증서 발급 시스템 출시
- [피플 & 보드]박진영, JYP엔터 이사회 출석률 0%…명목상 등기임원
- [사외이사 보수 리포트]100대 기업 사외이사 평균 연봉 8400만원
- [포스코의 CFO]정경진 부사장, 포스코인터 차질 없는 성장투자 과제
- [Board Change]현대건설, CFO 사내이사 전통…이형석 이사회 합류
- [다시 ESG, 이사회 역할은]'껍데기' ESG위원회, 단순 IR 보고 기관 전락 막으려면
- [지배구조 분석/셀트리온]외부 조달로 지배력 늘리는 홀딩스
- [영상]인투셀, ADC '특허문제' 오해와 진실
- [한라캐스트 IPO]금융당국 투자위험요소 보강 주문, 공모절차 연기
- [i-point]크라우드웍스-디파인드AI, 학습 데이터 유통 협력
한태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K-바이오 CGM 진출 전략]오상헬스케어 묘수 특허 관리 고려한 '알레헬스' 인수 과정
- [thebell note]CJ '바이오'의 7년 전 선택
- 인투셀, 특허이슈에 핵심인력 이탈까지 '전열 바뀐다'
- [뉴로핏 IPO]100명의 연구인력, 기술력 구심점 '6인'의 C레벨 맨파워
- 인투셀, 에이비엘 L/O 결별 '특허' 발목…전방위적 영향
- [K-바이오 CGM 진출 전략]골리앗 '애보트·덱스콤' 시장 양분…'특허·FTO' 분석 핵심
- [2025 상반기 제약바이오 마켓리뷰]한산했던 M&A '뷰티' 활약, 매출·법차손 '생존결단'도 눈길
- 해외 유통사에 1000억 쓴 에스디바이오, '키미오랩' 또 인수
- [JPI헬스케어 IPO]FI 일괄 매각 제한 확약에도 '6개월 오버행' 이슈 잔존
- '대웅 자회사' 대웅개발, 의료 디벨로퍼 출신 대표 선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