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구산업 '3세 경영' 시험대 닻 올랐다 [진격의 중견그룹]③사위 안월환 대표·아들 손장원 전무 경쟁구도, 지분 승계 '미완성'
김형락 기자공개 2020-10-14 08:53:28
[편집자주]
중견기업은 대한민국 산업의 척추다. 중소·벤처기업과 대기업을 잇는 허리이자 기업 성장의 표본이다. 중견기업의 경쟁력이 국가 산업의 혁신성과 성장성을 가늠하는 척도로 평가받는 이유다. 대외 불확실성 리스크에도 불구하고 산업 생태계의 핵심 동력으로서 그 역할을 묵묵히 수행하고 있다. 이처럼 한국 경제를 떠받치고 있는 중견기업들을 면밀히 살펴보고, 각 그룹사들의 지속 가능성과 미래 성장 전략을 점검하고자 한다.
이 기사는 2020년 10월 08일 08:19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구리(동) 가공회사 이구산업이 '3세 경영' 검증작업을 시작했다. 2세 경영인으로 회사를 이끌었던 손인국 이구산업 회장은 올해 사위인 안월환 이구산업 대표이사에게 운전대를 맡겼다. 손 회장 아들 손장원 국일신동 전무도 계열사에서 경영수업을 받고 있다.지분 승계는 미완성 상태다. 손 회장이 이구산업 최대주주 자리를 지키며 적임자를 물색하고 있다. 안 대표와 손 전무가 내놓을 경영성과에 따라 최종 승계 퍼즐이 맞춰질 것이라는 게 회사 안팎의 전망이다.
코스피 상장사 이구산업은 오너 3세 경영 수순에 들어갔다. 지난 3월 안 대표가 손 회장 뒤를 이어 이구산업 신임 대표이사(경영 관리 총괄)로 선임됐다. 김영길 이구산업 대표이사(생산총괄)과 역할을 분담하는 각자대표체제다. 이구산업 창업주 고(故) 손정환 명예회장에서 출발해 아들 손인국 회장, 손자사위 안 대표로 이어지는 계보다.

손정환 명예회장은 1968년 '이구산업사'를 세워 동 가공사업에 뛰어들었다. 1971년 법인전환과 함께 '이구산업'으로 사명을 바꾸고, 1979~1983년 대표이사를 역임했다. 동 가공산업 초기 시장을 개척하며 회사 기틀을 다졌다.
손인국 회장은 부친 뒤를 이어 1983년부터 이구산업 대표이사에 올라 경영을 책임졌다. 1974년 이구산업에 입사해 영업과 관리 업무 등을 맡으며 실력을 쌓았다. 손 회장은 생산능력을 확대해 사세를 키웠다. 경기도 평택시 '포승공장' 설립에 약 841억원을 투자해 연간 생산량을 2만톤에서 6만톤으로 늘렸다. 동판재류 시장에서 점유율을 굳히며 풍산과 과점체제를 형성했다.
손 회장은 올해 본격적으로 3세 경영 체제 전환에 시동을 걸었다. 리더십 교체가 신호탄이다. 지난 3월 이구산업 대표이사직을 내려놨다. 1949년생인 손 회장은 올해 만 71세다.
3세 경영 바톤은 안 대표가 넘겨받았다. 손 회장은 재무관리 능력을 보여준 안 대표에게 이구산업 경영 총괄이라는 중책을 맡겼다. 안 대표는 1970년생으로 올해 만 50세다. 손 회장 딸 손지연(이구에코텍 감사)씨의 남편이다.
안 대표는 10년 넘게 이구산업 CFO(최고재무책임자)를 지낸 '재무통'이다. 서울대학교 경영학과, 미국 인디애나대학교 경영대학원 MBA(경영학석사)를 졸업한 뒤 1996년 삼일회계법인에서 공인회계사로 사회생활을 시작했다.
2000년 이구산업에 합류해 1년 동안 기획실 부장을 지냈다. 이후 칸서스자산운용 PEF(사모펀드) 팀장(2003~2004년), 부동산 자문·중개회사 저스트알 투자사업본부장(2005~2006년), 한원건설 자산운용팀장(2006~2008년)으로 일하며 금융투자업계 이력도 쌓았다. 2008년 이구산업 CFO로 복귀해 경영본부장(2009~2017년), 부사장(2017~2020년)으로 사내에서 입지를 다졌다.
손 회장 아들 손장원 전무도 차기 주자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명지대학교 경영학과 졸업한 손 전무는 2008년 국일신동(코스닥 상장)에 입사해 경영 노하우와 전문 지식을 쌓고 있다. 2012년 국일신동 이사로 승진했고, 2017년부터 영업·구매담당 전무이사로 경영연수를 받고 있다. 손 전무도 금융투자업계 이력을 가지고 있다. 2006~2007년 우리투자증권(현 NH투자증권), 2007~2008년 대우증권(현 미래에셋대우)에서 일했다.
손 회장의 승계 시계는 이제 시작이다. 안 대표와 손 전무가 경쟁하는 구도로 흘러가는 양상이다. 이구산업 대표이사에 오른 안 대표가 유리한 고지를 선점했다. 하지만 추후 손 전무가 맡을 역할에 따라 구도가 바뀔 수 있다. 1979년생인 손 전무는 올해 만 41세다.
지배력 재편 열쇠는 손 회장이 쥐고 있다. 손 회장은 이구산업 지분율 24.66%를 보유한 최대주주다. 안 대표(지분율 0.31%)와 손 전무(2.06%)가 가진 이구산업 지분율은 5% 아래다. 손 회장에게 경영능력을 인정받은 인물이 최종 승계자로 낙점될 것으로 풀이된다.
이구산업 관계자는 "손 회장이 주력 기업인 이구산업 경영을 사위인 안 대표에게 맡기며 3세대 경영을 시작했다"며 "아들인 손 전무도 계열사 국일신동에서 경영수업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아직 손 회장이 이구산업 최대주주이고, 등기임원 역할도 하고 있다"며 "향후 지분 승계를 어떻게 생각하는지는 공식적으로 밝히지 않았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케이뱅크 임추위, 서호성 차기 행장 단독 후보 추천
- 여의도 ‘오투타워’ 내주 입찰...평당 최고가 '관측'
- [이철민의 Money-Flix]<코로노믹스> 혹은 지금 우리에게 던져진 거대한 질문
- 위지윅스튜디오, 美 이어 러시아 공연 IP 확보
- [VC경영전략]넥스트지인베, '스타트업 M&A 촉진자'로 성장 발판
- 한투부동산신탁, 1500억→2000억 증자…업계 최고 수준
- SK디앤디, 매각 불발된 '그랜드 제주 조선' 다시 품는다
- 신세계, 수요예측 흥행 기록 경신…SSG닷컴 '주목'
- SRI채권 인증 주도권 다툼 본격화, 안진·한신평 '두각'
- S-OIL, NH증권 파트너십 여전히 '굳건'…끈끈해진 KB
김형락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스팩 합병 기업 리뷰]덴티스, 투명교정사업 도전장 '승부수'
- 삼영이엔씨, 소수주주 제기 '의결권 행사 가처분' 기각
- 동양물산기업의 '자율주행' 육묘 전략
- [지배구조 분석]'오너 2세' 전학수 용산 대표, 개인회사 덩치 키운다
- [지배구조 분석]에이엔피 2세 승계 구심점 비상장사 '와이에스피'
- 네스엠, 드래곤라자EX 퍼블리싱 계약 체결
- [오너십 시프트]동양물산기업, 에이치엔티 사업 새판짜기 돌입
- 황혜경 삼영이엔씨 대표, 자사주 매입 '지분 확대'
- [스팩 합병 기업 리뷰]'9년만에 배당' 예선테크, 주요주주 이탈 막을까
- 네스엠, 스포츠 베팅 게임 시장 진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