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bell

전체기사

[지배구조 분석/현대코퍼레이션]정몽혁 회장, 스마트한 자전거래? 그룹 지배력 강화지주-자회사 '주식 교환'...홀딩스 지분 18.9%→23.6%

김서영 기자공개 2021-04-12 13:20:42

이 기사는 2021년 04월 09일 16:20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정몽혁 현대코퍼레이션(옛 현대종합상사) 회장(사진)이 '스마트한' 방식으로 지배력을 강화했다. 보유 중인 현대코퍼레이션 주식을 매각해 그룹 지주사격인 현대코퍼레이션홀딩스 지분을 사들였다. 정 회장이 양사 주식을 비슷한 금액에 사고 팔았다는 점에서 사실상 '자전거래'라고 봐도 무방하다. 정 회장은 사실상의 주식 맞교환으로 추가 자금 투입 없이 그룹 지배력을 크게 높였다.

9일 상사업계에 따르면 정 회장은 전날 보유 중인 현대코퍼레이션 주식 32만주(2.42%)를 현대코퍼레이션홀딩스에 매각했다. 주당 처분가액은 전날 종가인 1만9650원이다. 이와 함께 정 회장은 현대코퍼레이션홀딩스가 보유 중인 자사주 42만4865주(4.67%)를 블록딜(시간외대량매매)로 사들였다. 주당 처분가액은 전날 종가 1만4800원으로 책정됐다.

눈길이 끄는 것은 두 주식 거래 규모가 모두 '62억8800만원'이라는 점이다. 현대코퍼레이션홀딩스 주식을 사들이는 금액과 현대코퍼레이션 주식을 파는 금액을 맞춘 것으로 분석된다. 그 결과 정 회장은 자금을 들이지 않고도 지주사 격인 현대코퍼레이션홀딩스 지분율을 18.95%에서 23.62%까지 끌어올렸다.

통상 오너 일가나 최대주주가 지배력 강화를 위해 지분을 매집할 때 주식담보대출을 받거나 배당을 확대해 자금을 마련한다. 정 회장은 현대코퍼레이션홀딩스와의 주식 매매로 손쉽게 지배력 강화를 꾀했다는 평가를 받는 이유다.
(출처: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현대코퍼레이션 관계자는 "정몽혁 회장의 주식 거래는 주식 스와프(swap)의 성격은 아니다"라며 "그동안 약점으로 지목된 정몽혁 회장의 낮은 지분율을 높여 책임경영에 나서는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정 회장은 최근 현대코퍼레이션홀딩스 지분을 늘리고 있다. 2015년 초 지분율은 8.3%였다. 그해 12월 현대중공업으로부터 주식을 매수해 최대주주에 올랐다. 지분율은 17.96%로 높아졌다. 정 회장은 지난해 주식을 추가로 사들여 지분율을 18.95%로 높였다.

1961년생인 정 회장은 정신영 동아일보 기자와 장정자 현대학원 이사장의 외아들이다. 부친 정신영 씨는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의 다섯째 동생이다.

정 회장은 32세 나이에 현대오일뱅크(옛 현대정유)와 현대석유화학 대표이사에 올랐다. 그러나 외환위기 여파로 인한 경영 악화에 책임을 지고 대표이사 자리에서 내려왔다.

정 회장은 당시 현대종합상사를 통해 재기에 나섰다. 정 회장은 현대중공업과 함께 2010년 워크아웃을 졸업한 현대종합상사를 인수했다.

5년 뒤 현대종합상사는 계열 분리를 거쳐 현대중공업그룹으로부터 독립했다. 현대종합상사를 중심으로 하는 현대종합상사그룹으로 거듭났다. 현대코퍼레이션홀딩스는 지배구조 최상위 기업으로서 지주회사 역할을 하고 있다. '정몽혁-현대코퍼레이션홀딩스-현대코퍼레이션'으로 이어지는 지분 구조다.

현대코퍼레이션은 5대 상사(포스코인터내셔널·삼성물산·LG상사·현대코퍼레이션·SK네트웍스) 가운데 점유율 4위로 매년 4조원대 매출을 기록했다. 다만 지난해 부진을 겪었다. 연결기준 매출액은 2조8809억원으로 전년(4조2634억원) 보다 47.9%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332억3815만원, 영업이익률은 1.15%를 기록했다. 업계는 코로나19 장기화와 미·중 무역전쟁 심화 등 대외환경 악화를 원인으로 꼽았다.

현대코퍼레이션은 올들어 경쟁력 제고를 위한 변화에 나섰다. 지난달 초 현대종합상사에서 현대코퍼레이션으로 사명을 변경했다. 종합상사업이라는 한계에서 벗어나 신사업 육성을 통해 사업 영역을 새롭게 확대하겠다고 사측은 밝혔다.

현대코퍼레이션은 신사업 추진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지난달 24일 개최된 정기 주주총회에서 사업목적 추가를 골자로 한 정관 변경안을 의결했다.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 제조와 판매업 △전기차 부품 제조 및 판매업 △친환경 소재 및 복합소재 제조·판매업 △수소 등 에너지 인프라 구축 등을 신규 사업으로 낙점했다.
(출처: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더벨 서비스 문의

02-724-4102

유료 서비스 안내
주)더벨 주소서울시 종로구 청계천로 41 영풍빌딩 5층, 6층대표/발행인성화용 편집인이진우 등록번호서울아00483
등록년월일2007.12.27 / 제호 : 더벨(thebell) 발행년월일2007.12.30청소년보호관리책임자김용관
문의TEL : 02-724-4100 / FAX : 02-724-4109서비스 문의 및 PC 초기화TEL : 02-724-4102기술 및 장애문의TEL : 02-724-4159

더벨의 모든 기사(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copyright ⓒ thebell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