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제약·바이오 포럼]"강화된 기평 제도…정량적 지표도 주목해야"김원제 삼성증권 부장 "평가기관별 맞춤 전략 필요"
최은수 기자공개 2021-04-29 13:39:17
이 기사는 2021년 04월 28일 16:49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바이오벤처들이 최근 강화된 기술성장기업 상장특례제도(기술특례상장)에 효율적으로 대응하려면 평가를 수행하는 기관별 맞춤형 전략을 세워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헬스케어 업체들은 기술평가 시 '기술완성도'와 '상용화 경쟁력' 항목에서 대체로 낮은 등급을 받았는데 이런 취약 부분을 중점 보완해야 효율이 높다는 분석이다.김원제 삼성증권 IB부문 부장(사진)은 28일 열린 '2021 더벨 제약·바이오포럼-코로나 시대, 바이오텍 펀딩과 생존 전략 변화'에서 기술특례상장을 활용하는 바이오벤처들의 기업공개(IPO) 전략을 제시했다.

그는 "헬스케어 섹터의 성장은 2015년 이후매출은 없지만 기술을 앞세운 바이오벤처들의 기술특례 상장에 힘입은 바가 크다"며 "일부 업체가 택했던 성장성, 이익미실현 등 특례 상장의 수요 또한 기술특례로 쏠릴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김 부장은 "작년 코로나19 사태로 제약·바이오 섹터의 재평가가 이뤄졌고 역대 최다인 25개의 바이오벤처가 특례상장제도를 발판으로 상장에 성공했다"며 "올해 또한 20개 내외의 상장사가 기술특례를 통한 시장 입성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 부장은 "다만 상장한 일부 바이오텍에서 문제가 발생하고 추정실적과 실제와의 괴리가 크다보니 거래소에선 올해 들어 기술평가를 보수적인 방향으로 개선한 상태"라며 "상장을 준비하는 바이오벤처들은 변화한 제도에 대응하기 위한 세부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거래소는 올해 들어 기술평가 항목 총수를 26개에서 35개로 늘리는 등 기술평가 제도를 강화했다. 정성적 평가와 정량적 평가를 겸해 기술평가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제도 개선이다.
김 부장은 "주관사들도 기술평가 제도 변화에 대응하고 있다"며 "기존엔 경영안정성과 재무안정성을 중심으로 업체 실사를 진행해 왔는데 최근엔 임상 파이프라인 분석과 임상의 진척 현황도 함께 살펴보고 있다"고 말했다.
김 부장은 "기술평가를 준비하는 바이오벤처들은 선정된 평가기관별 맞춤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며 "각 기관이 중점을 두는 평가항목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간 바이오벤처들의 6개의 기술평가 항목 점수 통계를 살펴 보면 기술완성도, 상용화 경쟁력 등이 낮은 배점 요인이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그는 "토익(TOEIC)시험에서 듣기(L/C)와 독해(R/C) 부분 중 본인이 취약한 부분을 집중적으로 보완해 고득점을 받는 학습 및 수험 전략을 떠올리면 이해가 쉬울 것"이라며 "기술의 진행정도, 라이선싱 계획의 신뢰성 등을 구체적으로 기술하는 지 여부가 기평 성패를 가를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최은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HLB, 2년 반만에 주주배정 증자…임상 자신감?
- 부광약품, 발사르탄 제제 3종 자진 품목허가 취하
- 동구바이오, HLB제약 CB 인수로 상장사 투자 재개
- [SK바이오팜을 움직이는 사람들]3년 반만에 FDA 관문 넘은 'BD 전문가' 박정신 부장
- [SK바이오팜을 움직이는 사람들]신경계질환 한우물 판 '유공 순혈' 정구민 연구소장
- [SK바이오팜을 움직이는 사람들]세노바메이트 만들어낸 '성공한 외골수' 조정우 대표
- 오름테라퓨틱, 'ADC+TPD' 항암제 임상 1상 진입
- 中 진출 전환기 맞은 메디톡스, 합작법인 지분 관건
- 제일약품, '2형 당뇨 복합제 JT-003' 3상 환자 모집
- 정부·바이오텍 대표 만남, 제약사는 왜 빠졌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