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바이오팜의 해외 공급 물량↑, 실제 美 매출로 이어질까 100% 자회사 SK라이프사이언스와 거래규모 전년대비 10% 성장
임정요 기자공개 2021-11-02 08:57:33
이 기사는 2021년 11월 01일 14:58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지난달 기준 SK바이오팜의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 1월~10월 공급계약은 전년 대비 11% 증가한 1598억원이었다. 이 중 97%가 자회사인 SK라이프사이언스에 공급한 내용이다. SK라이프사이언스가 최종 고객에게 판매 성공 시 SK바이오팜의 연결매출로 잡히게 된다. 늘어난 공급계약이 실제 판매에 반영됐는지는 이달 예정된 실적 발표에서 확인할 수 있을 전망이다.올 1월~10월 SK바이오팜이 미국 유통판매망 법인 SK라이프사이언스와 체결한 세노바메이트 공급계약은 7건이며 총액은 1554억원 가량이다. 100% 자회사인 SK라이프사이언스와는 내부거래여서 연결매출에 반영되진 않는다. 이후 실질적인 외부 판매로 이어져 재고 소진이 돼야 매출로 잡히게 된다.

늘어난 공급계약의 일정 부분은 판매로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SK바이오팜은 작년 반기 영업손실이 -830억원이었던 것에서 올 반기 영업이익은 462억원으로 턴어라운드에 성공했다. 작년 반기 순손실 -870억원도 올 반기 순이익 995억원으로 흑자전환했다.
SK바이오팜 관계자는 "SK라이프사이언스와 맺은 공급계약이 바로 판매로 이어져 매출로 잡히는 건 아니지만 공급계약 규모 성장이 판매 성장과 비례한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반기보고서 상 미국 수익은 303억원 정도였다. 이 관계자는 "매분기 점진적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고 말하며 "(세노바메이트가) 궤도에 오르는데 3~4년이 걸릴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SK바이오팜의 모든 매출은 해외에서 나오고 있다. 상업화된 제품은 2개다. 독자적으로 개발한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와 미국 재즈파마슈티컬(Jazz Pharmaceutical)에 기술이전한 수면무호흡증 치료제 '솔리암페톨'이다. 올해 반기기준 이 두 약으로 SK바이오팜이 기록한 매출은 1640억원이었다. 99%가 세노바메이트, 1%가 솔리암페톨이었다.
SK바이오팜은 미국 직접 영업의 비결을 'CNS 분야 특성'으로 설명한다. 미국에서 뇌전증 등 중추신경계(CNS) 질환을 진료하는 신경과 전문의 수는 약 1만 여 명이다. 고혈압 등 일반적인 분야에 20만 명 전문의가 있는 것과 비교해 타겟할 의사가 현저히 적다. 80~120명 수준의 현지 인력 채용으로 영업이 가능하다는 거다.
보통의 국내 회사들은 현지 파트너를 통해 약을 판매하는 과정에서 수수료를 떼이지만 SK바이오팜은 새는 돈 없이 독자적으로 미국 진출을 이루고 있다. 미국 외 지역에선 직접 판매를 고집하지 않는다. 아벨테라퓨틱스가 유럽 지역 개발 및 상업화 권리를 가졌고 오노약품공업이 일본 내 권리를 가졌다. 아벨과 오노는 SK바이오팜에 경상기술료, 마일스톤, 로열티를 지급하며 이 또한 세노바메이트 실적으로 잡힌다. 한국과 중국에선 세노바메이트 허가를 위한 임상 개발 단계를 밟고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디벨로퍼 열전]미래인, 청담 '프리마호텔' 고급 주거시설로 개발
- 삼성물산, 부동산개발협회 신고식…디벨로퍼 '노크'
- [Company Watch'동남아 겨냥' 로보로보, 중국 편중 리스크 해소할까
- [ESG위원회 중간점검]한국타이어, 이사회와 동일한 멤버구성…역할 커지나
- [기업형 VC 돋보기]지앤텍벤처투자, 암흑기 국순당 든든한 버팀목
- [Rating Watch]현대로템, 실적·재무 합격점…2년만에 'A' 복귀
- [Rating Watch]사명변경 다올증권, 신용도 'A'로 산뜻한 출발
- 유안타증권, 증시침체 영향 벗어나지 못했다
- 이노그리드, 연내 IPO 예심청구…"밸류보다 기술"
- 에이프릴바이오, 코스닥 마음 돌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