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더벨 경영전략 포럼]"'디지털·탄소·공급망' 글로벌 대전환 통합 대응 필요"정철 KIEP 선임연구위원 "미중 패권전쟁 등 디커플링 가속화, 산업구조 진영화 대비"
문누리 기자공개 2022-06-29 07:38:47
이 기사는 2022년 06월 28일 15:16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최근 미국 상원에서 혁신경쟁법(USICA)이, 하원에서 미국경쟁법이 각각 통과되는 등 미중 패권전쟁이 첨단 기술 위주로 변화하고 있다. WTO 다자무역체제도 몰락하면서 새로운 국제질서 필요성이 대두된다. 디지털과 탄소중립, 공급망재편 등 대전환 이슈에 통합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정철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선임연구위원(사진)은 6월 28일 오전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에서 '신냉전과 하반기 경영변수' 주제로 열린 '2022 더벨 경영전략 포럼'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날 정 위원은 "팬데믹과 전쟁을 거치면서 세계화의 종말 논란이 나오고 있다"면서 "탈냉전 이후 경제통합에 대한 신뢰와 컨센서스가 최근 무너졌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말과 올 초까지만 해도 향후 글로벌 경제가 나아질 것으로 기대했지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발발하고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큰 위험요인으로 작동하면서 변수가 급증했다고 진단했다.
정 위원은 "유가와 식품가격지수 등이 전쟁 이후 치솟는 것을 볼 수 있다"면서 "반도체 생산에 필요한 가스 등 공급망 이슈와 식량위기 등으로 이어져 스태그플레이션으로 맞물릴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이 가운데 국제사회가 다같이 협력해야 하지만 서방의 탈중국화(디커플링)와 미중 패권경쟁 등으로 경제정책 불확실성이 올라가면서 단기간에 해결하기에 어려울 것이란 지적이다.
정 위원은 "디커플링이 가속화할텐데 글로벌 산업 구조상 완전한 디커플링은 불가할 것"이라며 "다만 첨단기술 등에선 선택적으로 디커플링할 수 있겠다"고 말했다.
일종의 진영화가 촉진될 가능성이 대두되면서 경제안보도 중요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는 진단이다. 정 위원은 "특히 디커플링이 가속화되면 글로벌 공급망의 진영화가 촉진될 가능성이 높다"면서 "중장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제사회의 통합적 협력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중장기적 관점에서 신 경제협력모델인 디지털경제동반자협정(DEPA),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IPEF) 등을 통해 새로운 기회와 위협요인을 파악하고 대응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면서 디지털 규범의 필요성이 증대됐기 때문에 디지털 대전환에 통합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정 위원은 "기후변화와 탈탄소 정책 등도 향후 속도 조절의 문제"라며 "경제통상 정책에 인권과 민주주의 등 가치 관련 이슈가 결합되면서 결국 ESG경영의 중요성도 더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포스트 팬데믹 시대에 전쟁 같은 외부충격이 빈번해질 가능성이 높은 만큼 공급망을 다양하게 하고 투자 전략 수립시 다양한 시나리오 분석력을 내재화해야 한다는 분석도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건설사 시공능력 평가]대보건설, 시평액 주춤 불구 '기술능력평가' 약진
- 동원개발, 금강주택 상대 '비스타' 상표권 분쟁 완승
- '드파인' 내세운 SK에코플랜트, 주택시장 새 지평 연다
- [이사회 모니터/KAI]전문위원회 5개 중 2개는 '유명무실'
- 인마크리츠운용, 글로벌 네트워크 발판 우량 임차인 확보
- [지속가능경영 리뷰]포스코건설, 최대 관심사 '기후변화' 부상
- 베어링PEA, '주가 급락' PI첨단소재 인수 끝까지 간다
- 대법원 가는 와이디온라인 재판, 미래에셋PE 무죄 확정 '내년으로'
- 스톤브릿지, 2호 펀드 덩치 키운다 '최대 7000억'
- 릴슨PE의 '펀딩 빙하기' 해법
문누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대체육 식품사 열전]통합 롯데제과, '제로미트' 비건 브랜드 힘준다
- [대체육 식품사 열전]풀무원, '식물성 지구식단' HMR 카테고리 확장
- [대체육 식품사 열전]대상, 배양육 투자로 비건 소재사업 키운다
- [대체육 식품사 열전]농심, 'HMMA' 공법 살려 프리미엄 시장 겨냥
- [대체육 식품사 열전]CJ제일제당, 자체개발 'TVP' 해외 라인업 확대
- [MZ세대 플랫폼 프리즘]무신사, 'MUSINSA JAPAN' 달고 해외 공략 본격화
- 아모레퍼시픽, 투자담당 '미래성장팀' 전략실로 흡수
- [H&B 적자생존]롭스, 롯데마트 콜라보 '숍인숍' 시너지
- [H&B 적자생존]아리따움, '디지털 전환 전략' 가맹점 살리기 집중
- 아모레, 뷰티영업 '채널→브랜드·비대면' 색깔 바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