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명소노그룹, 강남 선릉역 개발 부지 매입 2000억 넘는 거래 규모, 최상위 호텔 브랜드 '더소노' 적용 개발 전망
이정완 기자공개 2022-07-29 07:17:22
이 기사는 2022년 07월 28일 14:47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대명소노그룹이 서울 강남구 선릉역 인근에 위치한 대형 개발 부지를 매입했다. 매입규모는 2000억원대에 달한다. 부동산투자업계에선 대명소노그룹이 과거 소형 상가가 위치했던 자리에 대형 빌딩을 지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28일 부동산투자업계에 따르면 대명소노그룹은 서울 강남구 역삼동 708-7, 41번지 일대 부지 매입 계약을 앞서 5월 체결했다. 대지면적 1082㎡로 역삼동 708-7번지가 332.1㎡, 역삼동 708-41번지가 749.9㎡ 규모다. 현재 거래 마무리 단계로 알려졌다.
대명소노그룹은 3.3㎡당 약 7억원에 이 부지를 사들였다. 대지면적에 3.3㎡당 거래가격을 계산하면 전체 거래규모는 2300억원에 달한다. 업계 관계자는 “강남역 주변을 제외하고는 강남 지역 최고가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이 부지를 보유하고 있던 부동산 디벨로퍼 스톤빌리지는 매입 반년 만에 대명소노그룹에 땅을 매각했다. 스톤빌리지는 지난해 11월 역삼동 708-7, 41번지를 3.3㎡당 5억5000만원 선에 샀다.
당시 이곳에는 소형 상가인 원광빌딩과 모델하우스로 쓰이던 두올빌딩이 자리하고 있었다. 스톤빌리지는 부지 매입 후 대형 빌딩으로 탈바꿈시키기 위해 인허가 작업을 진행했다. 이 건물을 병원과 업무시설 등으로 활용할 계획이었다. 사실상 매입하자마자 땅을 팔았음에도 높은 시세 차익을 얻을 수 있던 배경이다.
입지 조건도 우수하다. 선릉역사거리에 위치한 개발 부지는 지하철 2호선·수인분당선 선릉역 3번 출구로 나오면 바로 접근이 가능하다. 테헤란로에 맞닿아 있어 전부터 업계의 관심이 높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 과거 스톤빌리지가 세웠던 계획처럼 대명소노그룹도 대형 빌딩을 개발할 것으로 관측한다. 대명소노그룹의 본업이라 할 수 있는 관광·숙박시설이 들어설지에 대해 관심이 쏠린다.
대명리조트로 널리 알려진 대명소노그룹은 2019년 '소노(SONO)' 브랜드를 새로 만든 뒤 호텔과 리조트 사업 확대를 추진 중이다. 이 과정에서 호텔과 리조트의 시설 및 특성에 따라 브랜드를 차별화했다. 최상위 리조트의 경우 소노펠리체, 5성급 호텔로는 소노캄을 사용하는 식이다.
만약 이 부지에 관광·숙박시설이 개발된다면 입지 특성상 최상위 브랜드가 적용될 전망이다. 대명소노그룹은 최상위 럭셔리 브랜드로 더소노를 제시하고 있는데 아직 이 브랜드가 쓰인 호텔은 없다. 첫 번째 더소노 호텔을 역삼동에서 선보일 가능성이 있는 셈이다.
이미 인근 지역에서 유사한 개발 사례도 있다. 지난해 신세계그룹의 조선호텔앤리조트가 조선 팰리스 서울 강남을 개관해 최상급 호텔을 공개했다. 조선 팰리스 서울 강남은 코로나19에도 불구하고 고급화 전략에 따라 인기를 모은 것으로 전해진다.
대명소노그룹 관계자는 “현재 개발 계획을 수립 중으로 구체적으로 정해진 내용은 없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안다운용 "KT&G 변화 열망, 수면 위로 끌어냈다"
- KT&G, 찻잔속 태풍 '행동주의 공세' 성장 플랜 속도낸다
- 백복인 KT&G 사장 "매출 증대 '경영 효율성' 제고 최우선"
- 이엔플러스, '2차전지 주역' 강태경 각자 대표 선임
- [코스닥 주총 돋보기]티에스아이 사외이사, 이사회 1회 출석당 400만원 '꿀보직'
- 한국알콜 행동주의 통했다…트러스톤 이사회 입성 성공
- 새 최대주주 맞은 '아우딘퓨쳐스', 화장품+신사업 밸류업 시동
- [증권사 IB, 유상증자 비즈니스 전략]KB증권, 코스닥 기업 집중 전략...SME본부까지 신설
- [증권사 PF-ABCP 긴급점검]한국증권, 신용보강 확 줄였지만 '브릿지론' 부담가중
- 대규모 차입부담 두산테스나, 믿을맨은 중장기 성장성
이정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A+'등급 올라선 OCI, 공모채 2년 공백 메울까
- [IPO 모니터]국내 첫 '민간 기상기업' 케이웨더, 코스닥 상장 나섰다
- [증권사 PF-ABCP 긴급점검]메리츠증권, 유엔사부지 '브릿지론' 우려 덜었다
- '등급부담' LX하우시스, 공모채 시장 복귀 미룬다
- 메리츠증권, 연봉 상위권 'IB'가 휩쓸었다
- 삼성증권, SK엔무브 공모채 첫 대표주관 따냈다
- LS네트웍스, 올해도 사모채 발행 전략 이어간다
- [이사회 모니터]DB금융투자, '관 출신' 선호...전군표 전 국세청장 영입
- DB금투, 단기차입 한도 '10년만에' 늘렸다
- [이사회 모니터]한화투자증권, 사외이사 '구인난?'...이사회 구성 줄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