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림, HMM 인수]걸림돌 된 경영 관여…강석훈 회장 "해진공과 협의해 볼 것"매각-원매자 간 이견에 결렬…향후 매각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
이재용 기자공개 2024-02-16 08:26:57
이 기사는 2024년 02월 15일 14시3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KDB산업은행 HMM 민영화 작업의 최대 걸림돌로 경영권 관여 문제가 꼽힌다. 산은 및 해양진흥공사와 하림-JKL컨소시엄의 협상이 최종 결렬된 데에도 매각 후 경영 관여에 대한 이견 탓이 컸다.특히 매각 측의 한 축인 해양수산부와 해진공 측이 국가 해운산업에서 차지하는 HMM의 역할과 특수성상 일정 부분 감시를 지속해야 한다는 의견을 굽히지 않았으나 하림-JKL컨소시엄 측은 이를 꺼렸다.

앞서 산은과 해진공은 하림-JKL컨소시엄과 7주에 걸쳐 HMM 경영권 매각 협상을 벌였으나 일부 사항에 대한 이견으로 협상이 최종 결렬됐다. 애초 양측은 큰 틀에서 합의한 뒤 기간을 재연장해 협상을 이어나갈 예정이었으나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특히 '경영권 관여'라는 중추적 이견이 조율되지 않으며 딜이 깨졌다. 하림-JKL컨소시엄은 매각 측이 이번 HMM 지분 매각으로 영구채만 보유하게 되므로 경영에 관여해선 안 된다고 주장했다. 반면 매각 측은 HMM 매각이 해운산업에 미치는 영향 등을 고려해 일정 부분 관여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하림은 매각 측에 △주주 계약 유효기간을 5년으로 제한 △JKL파트너스의 지분 매각 제한 기간 3년 등을 요청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경영에 일정 부분 관여하겠다는 의지를 놓지 않은 셈이다. 하림의 요구를 받아들이면 매각 측은 추후 현금 배당 제한과 정부 측 사외이사 지명 등의 경영 견제 권한이 소멸한다.
하림그룹은 거래가 무산된 이후 "그간 은행과 공기업으로 구성된 매도인 간의 입장 차이가 있어 협상이 쉽지 않았다"며 "실질적인 경영권을 담보해 주지 않고 최대주주 지위만 갖도록 하는 거래는 어떤 민간기업도 받아들이기 어려울 것"이라는 입장을 내놨다.
하림그룹의 주장대로 HMM에 대한 자율 경영권을 담보해 주지 않는다면 새 원매자가 나타나도 대립이 반복될 가능성이 높다. 향후 매각을 매끄럽게 종결하려면 매각 측 간, 매각 측과 원매자 간 경영권 관여 문제는 반드시 조율돼야 할 과제인 셈이다.
한편 강 회장은 앞으로의 HMM 경영권 매각 일정에 대해서는 "현재 말할 수 있는 게 없다"고 일축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오아시스, 티몬 인수 불발…공은 법원으로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주관사 삼일회계법인 선정, M&A 속도 전망
- [엔알비 IPO]모듈러 첫 상장주자, 금융당국 신고서 보강 주문에 일정 연기
- [영상]ESR켄달스퀘어리츠, 유증 이유는? 캐피탈 리사이클링!
- [Company Watch]뉴엔AI, 공모가 최상단 확정 '시총 1300억'
- 예보 4조 채권 위탁운용사에 대형사 6곳 뽑았다
- 신한PWM, 압구정로데오에 네번째 패밀리오피스 낸다
- 기지개 켜는 푸른파트너스운용, 대체투자본부 신설
- NH증권, LA서 역이민 수요 확인…계좌 개설 성과
- 하나대체운용, NH증권 간 '환헤지' 송사 승기
이재용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국책은행과 상장사의 '균형점'
- 미래에셋생명 변액연금보험, '가교연금' 수단으로 주목
- [Sanction Radar]현대카드, FATF 위험국 대상 EDD 위반…임직원 제재
- [하나은행을 움직이는 사람들]'제2 수익 창구' 영남권 책임지는 이재헌 부행장
- [Policy Radar]금감원, 은행 부행장들 총 소집한 까닭은
- [Policy Radar]보험사 자본규제, 조기 완화됐다
- [이사회 분석/한국산업은행]경제 전문가 2인 합류…위원회 재구성 마무리
- [하나은행을 움직이는 사람들]수익성 확보 '선봉장' 김진우 부행장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성대규 체제' 내달 출범…이사회 진용 완성
- [Sanction Radar]주요국 자본시장 감독기구, 서울에 집결한 까닭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