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리포트]'수익성 방어' 한양, 수주채널 다변화 효과수주잔고 5조 상회 기대감, '9148억' 김포북변4구역 하반기 착공
전기룡 기자공개 2024-08-30 07:31:57
이 기사는 2024년 08월 29일 07시5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양이 수익성 방어에 성공했다. 채산성 높은 사업들을 중심으로 수주전략을 펼친 영향이다. 안정적인 재무 건전성에 힘입어 수주잔고 5조원 달성을 목전에 두고 있다. 민간사업 중 최대 규모인 '김포북변4구역 재개발사업(한양 수자인 오브센트)'도 하반기 중 착공이 예정돼 있어 호실적 흐름을 이어갈 전망이다.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한양은 올 상반기 연결 누적으로 매출액 4779억원을 올렸다. 전년 동기 기록한 5166억원 대비 7.5% 감소한 수준이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242억원에서 233억원으로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영업이익률은 4.9%다. 전년 동기(4.7%)보다 소폭 개선됐다.
수익성 위주의 보수적인 수주 전략 덕분이다. 한양은 지난해 상반기 86.1%에 달했던 건축주택부문 매출비중을 56%까지 줄였다.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태 이후 주택사업에 매몰되기 보다 다양한 수주채널을 확보하고 있는 영향이다. 그 결과 건축주택부문과 달리 인프라부문(23.5%), 분양부문(9.9%)의 매출비중이 상승하기 시작했다.
대표적으로는 지난해 말 수주한 '인덕원~동탄 복선전철 7공구'가 언급된다. 한양이 컨소시엄 주관사로서 호반산업·한라산업·대진종합과 함께 시공권을 확보했다. 공사비 3192억원 중 컨소시엄 지분율 70%를 고려한 도급액은 2234억원이다. 현재는 공정률이 계상되기 시작해 착공에 들어갔다는 걸 확인할 수 있다.
'묘도 동북아 LNG 허브 터미널'에서 발생한 종속기업투자처분이익도 보탬이 됐다. 덕분에 당기순이익은 573억원으로 전년 동기(175억원) 대비 227.3% 증가한 상태다. 한양은 지난 3월 해당 사업의 주체인 특수목적법인(SPC) 동북아엘엔지허브터미널의 지분 40%를 GS에너지에게 넘기기 위한 주주간 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재무건전성에서도 한양의 보수적인 잣대를 확인할 수 있다. 한양의 부채비율은 136.8%로 업계 톱 티어 수준에 해당한다. 전년 말(140.8%)보다도 4%포인트 개선됐다. 차입금의존도가 33.2%로 같은 기간 2.2%포인트 상승했지만 다음달 분양하는 '청평 수자인 더퍼스트'의 자산유동화대출이 주요 이유인 만큼 리스크는 미비한 편이다.
매출원천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도 가시화되고 있다. 수주잔고만 4조2208억원에 달한다. 지난해 매출액(1조1367억원)을 감안할 때 3.7년어치의 일감을 확보한 셈이다. 여기에 '부산 연제구 가로주택사업(1000억원)'과 '고양 행신 1-1구역 재개발사업(1800억원)'도 추가 수주했다. 내부적으로는 연말 수주잔고가 5조원을 상회할 것이라 전망하고 있다.
하반기 김포북변4구역 재개발사업의 착공이 예고돼 있다는 점도 호재로 통한다. 도급액은 9148억원으로 한양이 수주한 민간사업 중 최대 규모다. 사업은 김포시 북변동 184번지 일원 15만9057㎡ 부지에 지하 4층~지상 35층, 29개동, 3058가구 규모의 공동주택을 짓는 걸 골자로 한다.
한양 관계자는 "상반기 수익성 위주의 선별적 수주와 동종업계 대비 우수한 원가율 관리를 통해 양호한 실적을 거뒀다"며 "택지사업 외에 도시개발사업, 인프라, 신탁사업 등 수주 채널을 다변화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하반기에도 양질의 사업을 수주하는 선별적인 전략을 이어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세아제강지주의 변신]김철홍 전략담당 이사 "주주들, 하반기 해상풍력 성과확인"
- [thebell desk]무안공항 참사, 국토부 책임은 없을까
- [i-point]코스모신소재, 동종업계 유일 5년 연속 흑자
- [i-point]신테카바이오, AI 언어모델 기반 ‘LM-VS’ SaaS 런칭
- [Deal Story]한솔케미칼 4년만에 공모채 복귀전 '달라진 존재감'
- 금감원 부원장보, 증권사 CFO 호출…무슨 얘기 나눴나
- KB금융의 '호부호형'
- [Gallery Story]서정아트, 이태원 분점 추진 '갤러리 비즈니스 키우기'
- [갤럭시 언팩 프리뷰]삼성의 폼팩터 혁신, XR 기기 출격 주목
- [갤럭시 언팩 프리뷰]글로벌 1위 키워드 'AI·라인업 확대'
전기룡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코스닥 1세대 생존기]'영업이익률 40%대' 리노공업, 현금곳간 3400억대
- [코스닥 1세대 생존기]'이채윤 회장 체제' 리노공업, 지분승계 작업 '아직'
- 'CES 2025 성료' 세라젬, 예비 파트너십 구축 성과
- [코스닥 1세대 생존기]'과감한 재투자' 리노공업, 시총 3조 달성 원동력
- [i-point]'큐브엔터 계열' 아더월드, SL:U 두 번째 시즌 공개
- [i-point]'FSN 계열' 부스터즈, 104억 신규 투자 유치
- [코스닥 1세대 생존기]장수기업 절반 상폐, 상위 150위권 중 30곳 명맥유지
- [i-point]'솔로 데뷔' 민니, 첫 콘셉트 포토 공개
- [i-point](여자)아이들 민니, 첫 솔로 미니앨범 발매
- [i-point]노을, MHRA 등록 완료…영국 진출 가시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