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랜우드·베인캐피탈, 한화첨단소재 인수금융 리파이낸싱 추진 3400억 규모, 하나·우리은행 공동주선사 낙점…신디케이션 구성 착수
이영호 기자공개 2024-09-11 08:09:43
이 기사는 2024년 09월 10일 14:50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글랜우드크레딧과 베인캐피탈이 한화첨단소재 인수금융 리파이낸싱을 추진하고 있다. 2년 전 투자 건으로 이번 리파이낸싱을 통해 두 운용사는 이자율을 큰 폭으로 낮출 것으로 예상된다.10일 IB업계에 따르면 최근 글랜우드크레딧·베인캐피탈은 한화첨단소재 투자 인수금융 리파이낸싱을 위해 하나은행과 우리은행을 공동 주선사로 낙점했다. 이에 하나은행과 우리은행은 신디케이션 구성을 위해 금융사를 대상으로 물밑 접촉에 나선 것으로 파악된다.
이번 리파이낸싱 규모는 약 3400억원으로 알려졌다. 이 중에는 리캡(자본재조정) 금액이 일부 포함돼 대출 규모가 소폭 늘었다는 전언이다. 리캡은 차입을 일으켜 배당금 등 형태로 투자금을 조기 회수하는 전략이다.
앞서 글랜우드크레딧·베인캐피탈은 공동 투자 형태로 2022년 말 한화첨단소재와 에이치에이엠홀딩스 지분을 각각 47.24%씩 매입했다. 한화솔루션이 보유하고 있던 양 사 보통주와 함께, 두 법인이 각각 새로 발행한 전환우선주를 혼합해 매입하는 구조다.
거래금액 6800억원 중 2800억원을 대출금으로 충당했다. 당시에는 하나증권과 우리은행이 공동주선사로 나섰다. 나머지 4000억원은 글랜우드크레딧과 베인캐피탈이 2000억원씩 부담했다.
글랜우드크레딧·베인캐피탈이 리파이낸싱을 마무리 지을 경우 대출 이자율이 유의미한 수준으로 떨어질 전망이다. 2022년 일으킨 인수금융 금리는 7% 초반이었던 것으로 관측된다. 금번 딜로 이자율은 5% 중반까지 떨어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한화첨단소재와 에이치에이엠홀딩스는 모두 한화솔루션의 자회사다. 한화첨단소재는 자동차 경량복합소재와 태양광 모듈 보호 필름을 주력 사업으로 영위 중이고, 에이치에이엠홀딩스는 자동차 경량복합소재 해외 사업을 담당한다. 한화그룹의 미래 먹거리를 책임질 계열사로 부상하면서 재무적투자자(FI)로부터 6800억원을 투자받는데 성공했다.
글랜우드크레딧과 베인캐피탈은 향후 회사 IPO를 통한 투자금 회수 시나리오를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사실상 상장 전 지분투자 성격을 띈 모양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KAI, 2500억 모집에 2.4조 몰려…수요예측 '대성공'
- 나래에너지서비스, 투자자 사로잡은 '실적 안정성'
- 얼라인이 주목한 코웨이…올해 현금흐름 싹 바뀐다
- 사라지는 해외 TR ETF…삼성운용 선두 자리 '위협'
- 코람코 '더에셋' 브랜드 확보…시리즈 오피스 만든다
- [사무관리사 경영분석]하위권 생존 경쟁, 스카이펀드서비스 존재감 눈길
- SI타워 매각 나선 KB운용, 자문단서 'NAI' 결국 뺐다
- LG화학 '부정적' 아웃룻에도 조 단위 매수주문
- 밴드 상단 과감히 높인 HD현대케미칼, 수요예측 '성공'
- 포스코, 모빌리티솔루션 매물로 내놓은 배경은
이영호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베트남 빈그룹 '손절' SK, 풋옵션 '있으나 마나'
- 포스코그룹, '포스코모빌리티솔루션' 매각 추진
- [thebell note]'가지치기' 필요한 LCC 시장
- 팬오션 임직원 자사주 '매입행렬'...주가는 '답보상태'
- [2025 승부수]'재도약' 외친 티웨이, 중장거리 노선 수익성은 '과제'
- [2025 승부수]주인바뀐 '첫해' SK렌터카, 중국자본 인식탈피 '숙제'
- [영풍-고려아연 경영권 분쟁]찬성은 하는데…집행임원제 놓고 '동상이몽'
- [영풍-고려아연 경영권 분쟁]영풍-MBK, 고려아연 주주명부 확보했다
- [영풍-고려아연 경영권 분쟁]한화의 '딜레마'...집중투표제 찬성시 돌아올 '부메랑'
-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지방공항 거점' 확장전략 '올스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