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원, 카카오뱅크 손잡고 반등 노린다 어플 로그인·홈화면에 광고 노출, 제휴 계약 후 '첫 시도'
유나겸 기자공개 2025-01-20 08:07:41
이 기사는 2025년 01월 17일 10시4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코인원이 카카오뱅크와 손잡고 본격적인 점유율 회복에 나섰다. 카카오뱅크 앱 광고를 시작으로 협력을 강화해 가상자산 시장에서의 입지 확대를 노리고 있다. 트럼프 당선 후 가상자산 시장이 활발해진만큼 점유율을 서둘러 끌어올리겠다는 생각이다.17일 업계에 따르면 코인원은 9일과 10일 이틀에 걸쳐 카카오뱅크 플랫폼을 통한 광고를 진행했다. 카카오뱅크 로그인 화면에 '코인 투자는 코인원에서'라는 문구와 함께 코인원의 캐릭터와 로고 이미지를 노출했다. 로그인 후 홈 화면에도 비슷한 내용의 광고를 실었다.

우선 코인원과 카카오뱅크의 연은 2022년 맺어졌다. NH농협은행에서 이곳으로 제휴은행을 변경하며 코인원의 고객수 확대 기대가 컸다.
코인원은 지난해 7월 카카오뱅크와 협력해 원화 출금 수수료를 0원으로 낮추고 거래 수수료 선불 할인제도 등을 도입하며 점유율 상승을 꾀했다. 지난해 12월에는 인증 과정을 단순화한 카카오뱅크 인증 시스템을 도입했다. 기존 '휴대폰 인증-신분증 인증-1원 계좌 인증-상세 정보 입력'의 복잡한 네 단계를 '휴대폰 인증-1원계좌 인증' 두 단계로 간소화했다. 인증시간을 단축시켜 고객의 편의성을 높인다는 목적이었다.

하지만 코인원은 눈에 띄는 점유율 변동성을 보여주지 못했다. 시장 점유율이 1% 미만으로 떨어진 날도 있을 만큼 성과가 미미했다. 과거 업비트가 인터넷 은행 케이뱅크와 협력해 비대면 계좌 개설로 시장 점유율을 크게 확대했던 사례와는 대조적이었다. 국내 가상자산 시장은 업비트(두나무)와 빗썸 양강 체제를 형성하고 있으며 코인원, 코빗, 고팍스가 뒤를 쫓는 구조다. 1위인 업비트와 코인원의 점유율 차이는 약 70배에 달한다.
다만 올해부터는 카카오뱅크와 협력을 시작으로 점유율 회복을 위한 다양한 시도를 할 것으로 보여 반등을 이룰 가능성이 기대된다. 특히 미국 대선에서 트럼프가 당선된 이후 가상자산 시장이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 긍정적이다.
코인원 관계자는 "올해부터 카카오뱅크와 상호협력을 어느때보다 강화하고 있고 이번 광고도 그 일환으로 봐주시면 될 것 같다"며 "시장 점유율 확대를 위해 카카오뱅크와 보다 적극적으로 협력해 시너지를 만들어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넥스턴바이오사이언스, 넥스턴바이오 흡수 합병
- [i-point]'사기혐의 피소' 에스엘에너지 “회사 무관 개인 관련 사안”
- [Korean Paper]5년만에 발행 나선 동양생명, 꾸준한 IR 통했다
- [Korean Paper]철강 디스카운트 없었다…포스코홀딩스 달러채 흥행
- 현대건설, 천안 '힐스테이트 두정역' 선착순 공급
- [i-point]케이쓰리아이, 글로벌 대기업향 XR시뮬레이터 후속수주
- [i-point]아이씨티케이, 미군 전시회 'LANPAC·TECHNET' 참가
- [i-point]한컴-KT, 공공 AI시장 공략 협력
- [i-point]'AI 헬스케어 정조준' 씨아이테크, 엠오디 흡수합병
- [삼성그룹 북미 대관조직 분석]삼성전기·SDI·디스플레이, 해외법인 관세폭탄 '촉각'
유나겸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SKT를 움직이는 사람들]김용훈 에이닷사업부장, 유료화 전 서비스 고도화 과제
- 코인원, 카카오뱅크 업고 '점유율 사냥' 본격화
- [SKT를 움직이는 사람들]정석근 GPAA 사업부장, 최우선 미션 '에스터 안착'
- KT밀리의서재, '밀리 스토리' 론칭
- [NHN 리빌딩]'결제 투톱' 페이코·KCP, 실적 확대 돌파구 협업
- [NHN 리빌딩]공공 발판 삼아 민간으로, NHN두레이 '흑자 시동'
- [Company Watch]1분기 숨 고른 LS일렉트릭, 2분기 '반등' 시동
- [NHN 리빌딩]'알짜 자회사' NHN링크, 티켓링크로 웃었다
- [NHN 리빌딩]게임사에서 IT 기업으로, 사업 다각화 전략 '통했다'
- [산일전기 상장 그후]이사회 구성원 확대했지만…내실·균형 '글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