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HQ '시가 수준' 분리매각, 채권단 매각의지 반영 삼본전자, 게임 이어 미디어·엔터사업 시너지 노려
최필우 기자공개 2020-11-12 08:24:16
이 기사는 2020년 11월 11일 14:33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최근 공개입찰에 나선 딜라이브가 자회사 IHQ를 분리매각 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게임에 이어 미디어, 엔터 사업에 진출하려는 삼본전자가 원매자로 등장했다. 딜라이브 채권단이 강한 매각 의지를 갖고 있어 시가 수준의 매매가 급물살을 탄 것으로 보인다.11일 삼본전자 관계자는 "미디어사업과 엔터사업 진출을 오래 전부터 계획해왔다"며 "IHQ 인수 양해각서를 체결했고 세부적인 조율을 남겨두고 있다"고 말했다.
인수 대상은 딜라이브와 딜라이브강남케이블티브이가 보유한 IHQ 지분이다. 지난 9월말 기준 딜라이브와 딜라이브강남케이블티브이는 IHQ 지분을 각각 34.65%, 10.83% 보유하고 있다. 총 45.48%다.
매매가는 1000억원 수준으로 확인됐다. IHQ 시가총액은 최근 2300억원 안팎이다. 삼본전자가 인수하기로 한 IHQ 지분이 40% 중반대임을 감안하면 시가 수준으로 거래가 이뤄지는 셈이다. IHQ의 전신인 의류업체 리보라가 2004년 옛 싸이더스를 인수할 때 영업권 822억원이 발생한 것과 달리 이번엔 웃돈이 얹어지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IHQ가 작년과 올해 영업 적자를 기록하고 있는 것과 별개로 채권단의 강한 매각 의지가 매매가에 반영된 것으로 관측된다. 딜라이브 채권단은 유료방송 인수합병(M&A) 시장이 매수자 우위로 굳어진 상황에서도 공개입찰에 나섰다. IHQ 분리매각에 성공해야 딜라이브 매각 절차가 순탄해질 수 있어 눈높이를 낮춰야 하는 상황이다.
삼본전자는 이어폰, 헤드폰, 블루투스 음향 기기 제조가 본업이다. 글로벌 기업 JVC, 오디오테크니카사 등에도 ODM 제품을 납품하고 있다.
지난 8월에는 하루엔터 지분 100%를 인수하면서 게임을 사업 포트폴리오에 포함시켰다. 하루엔터는 게임 개발과 퍼블리싱 서비스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여기에 연예인 매니지먼트를 비롯한 엔터테인먼트사업, 방송 채널 운영과 프로그램 제작을 포괄하는 미디어사업을 영위하는 IHQ를 인수해 수익원을 다변화한다는 구상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위지윅스튜디오, 美 이어 러시아 공연 IP 확보
- 한투부동산신탁, 1500억→2000억 증자…업계 최고 수준
- SK디앤디, 매각 불발된 '그랜드 제주 조선' 다시 품는다
- [thebell PB Survey]"불 붙은 코스피, 1분기 3300 넘는다"
- 전장으로 몸값 높이는 LG전자, EV 30조 눈앞
- [Company Watch]'소재기술 강자' 알엔투테크, 모빌리티 신시장 진입
- [CFO 워치]김원진 현대제철 전무, 비제철 출신 '멀티 플레이어' CFO
- [CFO 워치]서강현 현대차 부사장, 현대제철 찍고 '화려한 복귀'
- 강신호 CJ대한통운 대표, 첫 과제는 ESG 개선?
- 세트렉아이 인수한 한화, 위성산업 밸류체인 구축
최필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네이버스노우, 적자 불구 자회사 투자 이어간다
- 이필재 KTH 대표 성공적 자사주 매입, 본보기 될까
- 카카오엠 업은 바람픽쳐스, 자금줄 트고 성장 가속도
- 쿠팡 업은 KTH, '콘텐츠 잠재력' 재평가 받을까
- 장세정 카카오엠 본부장, 'IPO 성공 DNA' 심는다
- 의견수렴 돌입한 과기부, 현대HCN 딜 마무리 시점은
- 카카오엠, 자회사 이앤티스토리 합병 절차 밟을까
- 감사위원 물갈이 앞둔 LGU+, 분리선출 영향은
- [2021승부수]스카이라이프, IPTV 주도 유료방송 판 흔든다
- [2021승부수]삼성SDS, '삼성전자 그늘' 벗어날 적기 맞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