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재계 2위로 만든 반도체, 여전한 우선순위 [투자에서 길을 찾다]⑤5년간 142조원 투입…미래 먹거리 그린 비즈니스 67.4조 투자
김위수 기자공개 2022-05-27 13:43:41
[편집자주]
윤석열 정부 출범에 맞춰 주요 그룹들이 잇달아 대규모 투자계획을 내놓고 있다. 문재인 정부 때보다 많아진 투자 규모와 일사분란한 움직임이 눈에 띈다. 친기업 정부와의 '코드 맞추기'라고 색안경을 끼고 볼 필요는 없어보인다. 시대의 흐름에 적응하기 위한 당연한 움직임으로 보는 편이 자연스럽다. 더벨이 주요 그룹의 명운이 걸린 투자 계획을 들여다봤다.
이 기사는 2022년 05월 26일 16:36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결국은 반도체다. SK그룹의 투자계획 중 절반 이상은 반도체와 반도체 소재 사업에 집중됐다. 절반이 넘어가는 투자규모만 봐도 SK그룹에서 반도체 사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가늠된다. 투자가 지속되는 만큼 미래 성장성도 높다. SK그룹의 '반도체 독주'가 언제까지 이어질지 주목된다.반도체 사업이 SK그룹에서 차지하는 위상을 살펴보면 놀랄만한 일은 아니다. 공정거래위원회 기업집단포털에 따르면 SK그룹의 지난해 전체 매출은 169조원으로 나타났고, 전체 당기순이익은 18조원으로 집계됐다.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SK하이닉스의 지난해 매출은 43조원으로 전체 그룹 매출의 25.4%를 책임졌다. 당기순이익만 따져보면 비중이 훌쩍 높아진다. 지난해 SK하이닉스의 당기순이익은 9조원으로 그룹 전체 당기순이익의 절반을 차지했다.
SK그룹의 전폭적인 지원으로 그룹내 반도체 사업의 강세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실제 SK그룹은 이미 적극적인 인수합병(M&A)을 통해 반도체 사업을 확장하고, 소재·부품·장비를 아우르는 밸류체인을 구축한 상태다.
SK하이닉스는 지난해 말 인텔 낸드 사업부(현 솔리다임)를 10조3000억원을 들여 인수하는 '빅딜'을 성사시켰다. SK㈜도 지난달 전기차에 사용되는 실리콘카바이드(SiC) 전력반도체 설계·제조사 예스파워테크닉스의 경영권 인수 및 유상증자에 1200억원(지분 95.8% 확보)을 투자하며 사업 확장에 나섰다.
반도체 사업과 시너지를 낼 수 있도록 소재에도 투자를 지속해왔다. 지주사 SK㈜를 통해 2015년에는 반도체 특수가스 기업인 OCI머티리얼즈(현 SK머티리얼즈)와 웨이퍼 사업을 영위하는 SK실트론을 2017년 인수했다.
여기에 향후 5년간 이뤄질 142조원의 투자를 더하는 만큼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SK그룹의 성장이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SK그룹 관계자는 "인공지능과 디지털전환 등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은 반도체"라고 강조했다.
SK그룹의 반도체 역사에 최태원 회장(사진)의 '신의 한 수'를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모두가 우려했던 하이닉스(현 SK하이닉스) 인수를 최 회장이 강하게 밀어붙인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하이닉스는 연 2000억원의 적자를 내며 워크아웃에 들어간 기업이었다.

반도체·소재 사업 다음으로 투자비중이 높은 곳은 그린 비즈니스 분야다. 전기차 배터리부터 배터리 소재, 신재생에너지가 주된 사업영역이다. SK그룹은 아직 이 사업분야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대부분 사업이 아직 적자 상태다.
그럼에도 6년간 67조원이 넘는 금액을 투자하기로 결정한 것은 사업에 대한 확신이 없이는 불가능한 일이다. 그린 비즈니스에 대한 투자가 반도체와 마찬가지로 SK그룹의 성장으로 되돌아올지 주목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NHN클라우드, 오픈스택 강점 살려 매출 8000억 정조준
- '초격차 3나노' 치고 나가는 삼성전자, '내실 다지기' 주력
- 빈그룹 손잡은 LS전선아시아, '버스덕트' 사업 날개
- KT, 'cm' 단위 위치 잡아 미래 모빌리티 시장 선점 포석
- 네오위즈, 블록체인·신규 IP 겨냥 투자 '잰걸음'
- "애플 넘을 차별점 있다"…'LG+SM' 피트니스캔디 출사표
- 게임사 내부거래의 역설
- [thebell League Table]포스코 지주사 효과' 김앤장, 기업재편 자문 '독보적'
- [thebell League Table]'증권사 전성시대' KB·한국·NH, 선두권 경쟁 치열
- [thebell League Table]세종vs김앤장, 실물시장 최강자 두고 '진검승부'
김위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태광그룹은 지금]환경등급 B, 지속가능 성장 계획 '흐릿'
- [태광그룹은 지금]낮은 배당성향에 인색한 투자, 주주환원 개선될까
- [태광그룹은 지금]임원 구성, 성별·세대별 다양성 확보 과제
- [태광그룹은 지금]빨라진 경영 시계, 변화의 배경은
- [태광그룹은 지금]'정도경영' 자리 잡았나
- [금호석화 박준경 시대 열린다]박준경의 임무, 이사회 독립성과 책임 경영의 균형
- [금호석화 박준경 시대 열린다]'입증책임' 짊어진 박준경의 무거운 어깨
- [금호석화 박준경 시대 열린다]박주형 전무 이사회 진입 가능성은
- [금호석화 박준경 시대 열린다]고영훈→박준경 '배턴 터치'…영업 중심 이사회
- 용퇴한 이웅열 명예회장, 매출 4억 계열사 행사장에 등장한 이유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