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크립토 프리뷰]약해지는 '불확실성'…가상자산 시가총액 회복 긍정적②코빗 리서치센터 "블록체인 인프라로 VC 투자 진입…레이어2도 주목"
노윤주 기자공개 2023-02-02 13:26:01
[편집자주]
가상자산 업계에 있어 2022년은 유독 가혹한 한 해였다. 전체 시가총액 하락은 물론 루나-테라 몰락, FTX파산 등 대형 악재가 연이어 발생하면서 투자심리가 급격히 얼어붙었다. 그러나 시장 플레이어들은 여전히 활발하다. 악재를 뒤로하고 새로운 시작을 예고하고 있다. 2023년을 뜨겁게 달굴 화두는 무엇일지 또 시장은 어떤 방향으로 흘러갈지 가상자산 분야 전문가들을 만나 이야기를 들어봤다.
이 기사는 2023년 02월 01일 08:10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가상자산 업계에서는 올해 코인 가격 및 투자심리 회복이 가능할지 주목하고 있다. 주요 변수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긴축정책이다. 금리 인하까지 이어지지 않더라도 '예측'이 가능하면 자금이 유입될 수 있다고 봤다. 연준의 정책은 가상자산 가격 변동은 물론 벤처 투자 시장 활성화까지 영향을 미친다.코빗 리서치센터는 일정 부분 투자 활기를 되찾을 것으로 전망했다. 정석문 리서치 센터장(사진)과 최윤영 연구원(사진)은 금리 인상폭을 가늠할 수 있는 단계에 진입한 만큼 불확실성이 줄어들 것이라는 데 공감했다.
◇가상자산 시총 1조5000억 달러까지 확대 가능…펀더멘털도 개선
정석문 센터장은 "지난 1년 시장이 불황을 겪은 이유는 불확실성 때문"이라며 "금리 인상 상한선이 보이지 않아 투자심리가 위축됐던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제 조금씩 그 선이 보이기 시작한다"며 "금융시장에서는 5월을 피크아웃 시기로 점친다"라고 설명했다.
가격 상승에 대해 두 사람 모두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전망했다. 정 센터장은 가상자산 시총이 1조5000억달러(약1850조원)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현재는 1조달러(약 1230조원) 수준이다. 그는 "매크로 이슈에 근거해 연준 금리인상에 브레이크가 걸린다면 어떤 형태로든 자금이 가상자산으로 올 수 있다"며 "가격보다는 시가총액 증대 측면에서 접근했다"고 말했다.
최 연구원도 공감했다. 그는 시장 확대 전망 근거로 두가지를 제시했다. 하나는 하락장에서도 인력 유입 및 기술 개발이 지속됐다는 점이다. 또 다른 점은 상반기 중 매크로 이슈 개선 가능성이다. 그는 "R&D를 꾸준히 개선해 펀더멘털이 개선됐다"며 "유능한 인재 유입이 멈추지 않는 이상 펀더멘털은 계속해 좋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얼었던 VC 시장 올해는 녹을까…인프라·탈중앙화에 초점
벤처 투자시장도 긍정적으로 바라봤다. 역시나 연준의 긴축 통화 정책이 피크아웃된다면 충분히 나아질 수 있다는 예측이다.
최윤영 연구원은 "가상자산 펀딩 시장의 경우 VC 투자금 규모가 3분기 연속 하락 중이라 자금조달이 쉽지 않은 게 사실"이라며 "지금 주목해야 할 건 VC 포트폴리오 분산에 따른 투자처 다각화"라고 말했다.
기존에는 대체불가토큰(NFT), 게임 등 대중에게 친숙한 프로젝트이 주로 투자를 유치했다면 지난해 하반기를 기점으로 웹3 등 인프라 스타트업에도 자금이 들어오고 있다. 최 연구원은 인프라 분야에 벤처 자금이 유입되는 건 상당히 유의미하다고 평가했다.
올해 주목해야 할 키워드로는 '탈중앙화'가 꼽혔다. 그간 가상자산의 대중화 일명 '매스 어답션'이 화두였다면 올해는 블록체인의 근간이라 할 수 있는 탈중앙화 정신이 다시 떠오를 것으로 봤다. 코빗 리서치센터와 협업 중인 메사리의 전망이기도 하다.
정석문 센터장은 "가상자산은 사회, 경제, 금융, 암호, 컴퓨터공학 등 여러 분야의 집합기술"이라며 "탄생 이유는 사이버펑크에 기반한 개인의 자유와 경제적 독립"이라고 말했다. 이어 "상승장에서는 본질을 등한시한 경향이 있었고 사건사고로 연결됐다고 볼 수 있다"며 "초심으로 돌아가자는 뜻"이라고 덧붙였다.
정센터장은 '레이어2'에도 주목했다. 레이어2는 이더리움의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는 솔루션 중 하나다. 블록체인은 정보와 거래가 몰릴수록 속도가 느려지는 병목현상이 발생한다. 이에 하나의 메인넷 아래 레이어2라는 하위 블록체인을 만드는 방안이 고안됐다. 정보는 레이어2에서 처리하고 거래처리 결과만 메인넷(레이어1)에 전송해 처리 부담을 덜어주는 방법이다.
정 센터장은 "레이어2는 꾸준히 성장했다"며 "아직 레이어2 토큰이 많지 않은 상황인데 향후 더 많이 나오지 않을까"라고 예측했다.
◇코빗 리서치, 2023년도 가상자산 정보 제공 위해 달린다
코빗 리서치는 지난 1년간 일주일에 하나의 리포트를 내는 것을 목표로 달려왔다. 다음 1년은 더욱 시의성을 살린 리포트를 발간하는 게 목표다.
정 센터장은 "기관투자자들이 요구하는 수준의 논리와 전개 분석으로 가상자산을 제도권화하는 데 일정부분 기여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타 거래소에서도 하나 둘 리서치팀이 만들어진 것을 보면 우리가 시작한 리서치 운영이 가치를 인정받은 게 아닐까"라고 덧붙였다.
최 연구원은 "가상자산은 여러 분야 지식이 많아야 한다"며 "코빗에 합류해 많이 배웠고 앞으로는 더욱 독자 친화적인 리서치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케이피에스, 세기리텍 품고 실적 '퀀텀점프'
- 맞춤 수면시대 연 코웨이 '비렉스 스마트 매트리스'
- 시노펙스, 국내 최초 나노급 ePTFE 설비 구축
- [챗GPT발 AI 대전]국내 첫 GPT-3 서비스 꺼낸 SKT, 7년을 갈고 닦았다
- [삼성SDI 로드 투 아메리카]해외 R&D 허브 보스턴, 배터리 경쟁력 백년대계 담당
- [챗GPT발 AI 대전]엔비디아 GPU에 도전하는 국내 팹리스들
- 컴투스 주주, '배당액 확인 후 투자 선택' 가능해 진다
- [블록체인 STO 유망주]금융 이해도 높은 웨이브릿지, ST 틈새시장 파고들까
- 에비드넷, 김일호 CFO 주도...상장 작업 착수
- 삼일제약, 북미 법인 자본금 납입 '해외 드라이브' 시작
노윤주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블록체인 STO 유망주]금융 이해도 높은 웨이브릿지, ST 틈새시장 파고들까
- 업비트의 '80% 점유율'…산정 기준 해외로 넓혀야 하나
- 두나무, 청년 위한 ESG 확대…'넥스트드림' 공개 임박
- [블록체인 STO 유망주]슈퍼블록 '가벼운 블록체인' 무기로 STO 시장 공략
- [고팍스 경영권 매각 쟁점]바이낸스, 콘크리트 점유율 깨는 '메기' 될까
- 국내 상장 재시동 건 위믹스…빗썸·코빗 선택에 쏠리는 눈
- [블록체인 STO 유망주]'증플 비상장'이 ST 물꼬 틀까...증권업 진출 교두보 기대
- '자산 감소' 두나무, 상호출자제한집단 해제 가닥
- 코빗, 신한은행과 1년 재계약…이체한도는 여전한 숙제
- "취업까지 이어지는 IT 교육…올해는 블록체인·해외진출 목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