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템임플 의식했나' 덴티움, 첫 '배당정책' 수립 3년간 배당총액 전년비 20% 증액…미온적 '주주정책'에서 전향적
최은진 기자공개 2023-02-02 13:25:19
이 기사는 2023년 02월 01일 16:37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국내 임플란트 2위 기업 덴티움도 '주주행동주의'를 의식하는 분위기다. 그동안 소극적이었던 배당을 '정책'까지 만들며 주주들에게 공개했다. 오스템임플란트 등 치과의료기업이 주주환원정책에 미온적이라는 비판이 제기되는 데 따라 선제적으로 나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당기순이익 기준 배당전략을 수립하는 관행과는 다르게 전년대비 배당총액을 기준으로 삼았다.덴티움은 공시를 통해 2023년~2025년 3년간의 배당정책을 공개했다. 배당금총액을 전년 규모의 20% 이상으로 현금배당한다는 게 주요 골자다. 3년으로 기간을 설정한 건 투자자의 예측가능성 제고 하기 위해서다. 주식시장 등의 환경변화를 반영하기 위해 해당기간이 지난 후 배당정책을 재검토 한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배당금총액은 22억원이다. 배당정책대로면 올해 배당금총액은 4억4000만원 늘어난 26억4000만원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작년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이 764억원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상당히 미미한 수준이다. 그러나 배당 등 주주환원정책에 그리 적극적이지 않았던 과거를 고려하면 꽤 고무적이라는 평가다.
덴티움은 2018년 첫 배당에 나섰다. 주당 150원, 배당금총액은 13억원이었다. 배당성향은 4%에 불과했다. 이듬해 배당을 건너뛰고 2020년 재개했다. 대신 전년도 못한 배당을 고려해 배당성향을 8%로 올렸다. 2021년엔 배당성향이 다시 4%로 축소됐다.

보통 배당정책은 당기순이익 기준 배당성향을 기준으로 정한다. 벌어들인 실적을 주주들에게 환원한다는 의미다. 이를 감안하면 덴티움의 배당정책은 일반적인 관행과는 다소 동떨어져 있다. 순이익이 아닌 전년비 배당금총액을 기준으로 늘려나간다는 얘기다.
하지만 임플란트 등 치과업계가 주주친화정책에서 다소 거리가 멀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덴티움의 이 같은 행보는 눈에 띈다는 평가다. 임플란트 선두기업인 오스템임플란트의 경우엔 2020년 첫 배당에 나섰다. 배당성향은 8%에 그쳤다. 다음해인 배당성향을 13% 올렸다. 업계 3위인 디오는 아예 배당을 하고 있지 않다.
덴티움이 갑작스레 배당정책을 수립한 건 주주행동주의를 의식한 행보로 보는 시각이 많다. 오스템임플란트가 낮은 지배력이 공격의 빌미가 되며 사모투자펀드운용사(PE)로부터 주주제안 등 공격적인 행동주의가 제기됐다. 덴티움 역시 최대주주인 정성민 회장의 지분율이 17.34%에 불과하다. 특수관계자 포함해도 19%에 그친다.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이 평가한 ESG 평가등급은 최하위권인 'D'에 불과하다. 환경, 사회, 지배구조 부문에서 각각 D, C, D등급을 받았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배당절차 변화 바람]제약바이오 선두는 하나제약, 매출 상위사 '아직'
- 금양인터, 와인스팟 2호점 오픈…1호점 오픈 5개월 만
- 시노펙스, 나노 ePTFE 멤브레인 후가공 센터 준공
- [챗GPT발 AI 대전]카카오, 한국형GPT 업그레이드…헬스케어 응용 도전
- [셀트리온의 도전, 서정진의 승부수]3년 표류한 中 사업 '철수'…신사업 새판짜기 돌입
- [항암제 혁명 CAR-T 톺아보기]킴리아 쫓는 바이오텍, 고형암 공략…자체 공장도 내재화
- [SM엔터 경영권 분쟁]하이브, 카카오 공개매수 참여…'실리·명분 잡는다'
- ADC 기업 '레고켐', 기술이전 넘어 '자체임상'으로 재도약
- 크림, 2년 새 기업가치 10배 뛰었다…유니콘 '눈앞'
- 'M&A 원점' 보령바이오파마, 키워드는 '적정 가치'
최은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셀트리온의 도전, 서정진의 승부수]3년 표류한 中 사업 '철수'…신사업 새판짜기 돌입
- [셀트리온의 도전, 서정진의 승부수]'신약에서 확장으로' 바뀐 신사업 기조…힘받는 'OB'
- [제약바이오 ESG 트래커]덩치 커져도 평가 제자리, 후계자 백인환 사장 나섰다
- [셀트리온의 도전, 서정진의 승부수]경영 복귀 신호탄, 5조 빅딜 '체력·역량' 과시한다
- [thebell desk]돈 버는 바이오의 '돈 쓰는 법'
- 에이비엘바이오, 단돈 100만원 출자 '美법인' 39억 대여금
- 삼성바이오로직스, 이자 '3배' 내년까지 1조 갚는다
- R&D로 돈 번 에이비엘바이오, 신규 투자처 '강남빌딩'
- [제약바이오 ESG 트래커]존림의 무기 ESG…환경 민감한 CMO, 'E' 집중전략
- [제약바이오 ESG 트래커]'글로벌 기업' 브랜딩 전략, 눈높이 못따라간 해외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