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TF, 35개월만 월간 첫 흑자 "리오프닝에 실적 기대" 국내 택스리펀드 영업익 2억 달성, 2020년 1월 이후 처음…강진원 대표 "가파른 회복세"
신상윤 기자공개 2023-02-01 11:03:42
이 기사는 2023년 02월 01일 10시3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국내 택스(TAX)리펀드 1위 기업 '글로벌텍스프리(GTF)'가 35개월 만에 월간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올해 전 세계 리오프닝 기대감에 창사 이래 최대 실적 기록도 예상된다.1일 GTF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국내 택스리펀드 사업은 매출액 19억원, 영업이익 2억원을 기록했다. 이달 GTF 연결 기준 매출액은 72억원, 영업이익은 8억원을 기록해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최고치를 달성했다. 국내 택스리펀드 사업이 흑자 전환한 것은 2020년 1월 이후 35개월 만이다.
GTF는 비용 절감을 위한 노력 등에 힘입은 것으로 설명했다. 무엇보다 임직원 수가 크게 조정됐다. 2019년까진 200명 내외의 임직원은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며 조직 및 인력 효율화 등으로 100명 수준까지 줄었다. 소모성 비용 줄이기 위한 장비 고도화 및 즉시환급 비중 확대 등으로 사업전반의 고도화도 병행됐다.

특히 국내에서 월간 기준 흑자 전환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처음이라는 상징적인 의미와 더불어 향후 실적 개선의 가능성을 보여준 것으로 풀이된다. 여기에 싱가포르는 올해와 내년 부가가치세율 인상돼 매출 증가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프랑스도 파리를 중심으로 영업망을 강화하고 있다.
GTF는 지난해 전자지급결제대행업(PG)에도 진출했다. 간편결제와 택스리펀드 서비스를 통합해 원스톱 프로세스 구축으로 사업다각화 및 수익성 강화에 나설 계획이다.
강진원 GTF 대표는 "올해는 그동안 억눌렸던 해외여행 수요 해소와 글로벌 한류 신드롬 등에 힘입어 국내 택스리펀드 시장이 가파른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며 "한국보다 먼저 방역 조치를 완화한 해외 자회사는 지난해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한 가운데 GTF의 매출과 영업이익도 많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이어 "올해 연결 기준 사상 최대 실적도 충분히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삼성 바이오 재편]인적분할에 담긴 과세 고민, '적격분할 요건' 주목
- HD현대건설기계, 울산공장 재편 완료…수출·가동률 '탄력'
- HD현대중공업, 엔진기계 수주 가이던스 70% 달성
- '매각 타진' 케이카, 1분기 수익성 제고 성공
- 신용등급 오른 대한항공, 앞으로가 더 기대되는 배경은
- ‘SUV 신흥 강자’ 노리는 KGM, ‘액티언’으로 정조준
- 동서식품, 사회공헌활동 '강화'…ESG 경영 '고도화'
- [i-point]케이사인, KISA 양자내성암호(PQC) 시범전환 사업 수주
- [i-point]나우로보틱스, 서진오토모티브에 자동화로봇 공급
- [i-point]엔켐, 중국 LFP·ESS용 전해액 공급 확대
신상윤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토목 엔지니어링 뉴 리더십]전경수 유신 회장, 대표 복귀 후 'EPC·신재생' 영토 확장
- 삼성E&A, '본드콜' 발생 태국 플랜트 계약 끊어냈다
- 삼성물산 건설부문, 성장세 가파른 '인도' 공략 본격화
- [토목 엔지니어링 뉴 리더십]'오너 2세' 황규영 건화 대표, 상장 전 수익성 회복 과제
- [토목 엔지니어링 뉴 리더십]건화, IPO 재추진…도화엔지 색 지운다
- [건설리포트]SK에코플랜트, '용인 반도체' 날개 달았다
- [토목 엔지니어링 뉴 리더십]도화엔지, 미완에 그친 지배구조 안착 '안갯속'
- [토목 엔지니어링 뉴 리더십]곽준상 도화엔지 부회장, '신재생·EPC'로 새 지평 열까
- '반도체 소재' 더하는 SK에코플랜트, 효과는 내년으로
- [대광그룹은 지금]'오너 2세' 조영훈 회장, 대광건영으로 지배구조 재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