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커넥트·차지비 합병…국내 1위 충전사업자 탄생 합병 방식 및 시기 조율, 다른 계열사와 사업 연계 속도
이호준 기자공개 2023-05-25 10:29:51
이 기사는 2023년 05월 23일 17시3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GS에너지가 자회사 GS커넥트와 차지비의 합병을 추진한다. 전기차 충전 인프라를 설치·운영하는 두 회사를 합병해 시너지를 내겠다는 전략이다. 이 경우 GS에너지는 단숨에 명실상부한 국내 1위 전기차 충전사업자(CPO)를 보유하게 된다.2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GS커넥트와 차지비는 현재 합병작업을 진행 중이다. GS에너지 관계자는 "두 회사의 합병을 추진하고 있는 건 사실"이라며 "현재 내부 작업에 착수했고 합병 방식과 시기에 대한 조율을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달 기준 GS커넥트와 차지비가 국내에 공급 중인 전기차 충전기 합산 규모는 3만7000기에 이른다. 합병 시 점유율 및 충전기 보유 대수 기준으로 국내 1위 충전사업자(CPO)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수준이다. 그동안은 파워큐브코리아가 업계 선두를 유지해 왔다.

업계에서는 두 회사의 합병 이유로 GS그룹의 전기차 충전 사업 역량 강화를 꼽는다. 앞서 두 회사는 지난 2년간에 걸쳐 GS에너지에 인수됐다. 2021년 지엔텔로부터 약 100억원에 GS커넥트가 인수됐고, 2022년에는 975억원에 차지비가 편입됐다.
GS커넥트와 차지비 모두 전기차 충전 인프라를 운영하고 관리 감독하는 충전사업자(CPO)다. 지금까지는 각 사의 성장 방식을 존중하며 통합 작업에 집중했다면, 앞으로는 통합된 법인으로서 중첩된 사업을 피하고 시너지를 내는데 더 집중할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이번 합병으로 GS그룹의 전기차 충전 인프라 사업에도 속도가 더 붙을 것으로 보인다. GS그룹은 미래 먹거리 확보를 위해 2026년까지 21조원을 투자한다는 계획이다. 이 중 약 10조원이 전기차 충전 인프라 사업 등 신사업에 사용될 전망이다.
현재 GS칼텍스와 GS에너지가 구심점이 되어 그룹에서 충전 인프라 사업을 진행 중인 상태다. 합병을 추진 중인 두 회사가 전력제어, 스마트그리드 등 신기술에 강점이 있는 만큼 그룹 내 다른 발전 계열사와의 비즈니스 연계 방안을 짜기도 쉬워질 것으로 보인다.
GS에너지 관계자는 "GS그룹의 목표는 단순히 전기차 충전 인프라 사업만이 아니다"라며 "에너지 산업과 충전 인프라 사업 간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각종 방안을 모색 중"이라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금호타이어, 화재 광주공장 '재건보다 이전' 무게
- '호반 견제' 연대 본격화…㈜LS-대한항공 '지분동맹'
- 되찾은 12%…한진칼, 정석기업 지배 구조 '공고히'
- 현대로템, K2가 끌고간 디펜스솔루션…추가동력도 '탄탄'
- '남은 건' STS뿐…현대비앤지스틸, '외연 축소' 현실화
- [이사회 분석]포스코GS에코머티리얼즈, 포스코 지분율 70%로 '급증'...이사회 구조는 유지
- [i-point]미래컴퍼니, 북아프리카 신시장 개척 본격화
- [i-point]폴라리스오피스,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744억 기록
- [i-point]더바이오메드, 치주질환 조기진단 플랫폼 공동개발 MOU
- 채비, 인도네시아 Helio와 전기차 충전 인프라 MOU
이호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호반 견제' 연대 본격화…㈜LS-대한항공 '지분동맹'
- 되찾은 12%…한진칼, 정석기업 지배 구조 '공고히'
- '남은 건' STS뿐…현대비앤지스틸, '외연 축소' 현실화
- [현대제철을 움직이는 사람들]'변화의 중심' 서상원 부사장, 시험대 오른 내부통합 역량
- [현대제철을 움직이는 사람들]판재사업 키맨 김원배 부사장, 봉형강 정비 중책맡았다
- [현대제철을 움직이는 사람들]새판 짜는 서강현 사장, 구조조정 넘어 조직문화 '리빌딩'
- 현대비앤지스틸도 칼 뽑았다…당진공장 매각 추진
- 확장보다 생존…포스코스틸리온, ‘현금 중심 경영’ 속도
- 이차전지 3사에 1조 수혈…포스코홀딩스 '재무의 힘'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승계 위한 '첫발' 디뎠다...과제는 '순환출자' 해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