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M인베가 찜한 ‘애그테크’ 플랜티팜, 200억 투자유치 순항 그린랩스발 악재에도 150억 펀딩 완료, 기업가치 2000억 '눈앞'
김지효 기자공개 2023-06-09 07:30:51
이 기사는 2023년 06월 08일 15시1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애그테크(Agtech) 기업 플랜티팜의 시리즈B 투자유치가 순항하고 있다. 플렌티팜은 사모투자펀드(PEF) 운용사 IMM인베스트먼트(이하 IMM인베)가 경영권을 들고 있는 팜에이트의 자회사로 국내 최대 규모의 수직농장을 운영하고 있다. 이번 투자금을 통해 기술 고도화와 해외시장 진출에 주력한다는 복안이다.8일 투자업계에 따르면 IMM인베는 플랜티팜의 시리즈B 투자유치를 진행하고 있다. 현재 약 150억원의 투자금을 확보했으며 이달 말 200억원 규모로 펀딩을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투자유치가 순항하면서 국내 애그테크 기업 전반에도 온기가 도는 분위기다. 올해 초 그린랩스발 악재에 국내 애그테크 기업들은 찬바람을 피하지 못했다. 하지만 플랜티팜이 투자금을 유치하면서 분위기를 반전시키는 데 성공했다. 플랜티팜은 투자자들로부터 가시적인 딜 파이프라인과 해외시장 진출, 연구개발(R&D) 역량, 딸기·버섯·새싹보리 등 고부가가치 작물로 다변화 등의 노력을 인정받았다.
이번에 확보한 투자금으로 플랜티팜은 고부가가치 작물과 원료 작물 레시피 개발을 통해 상용화 작물 범위를 확대하고 완전 자동화와 무인 재배가 가능한 인공지능(AI) 솔루션 기반의 차세대 수직농장을 개발한다는 복안이다. 농장 수익성 개선을 위한 신품종 연구개발도 진행한다.
또 중동과 미국 등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해 해외 현지에 수직농장을 구축한다. 중동 ·중앙아시아·동남아시아 등 핵심 시장에 유통 및 판매 네트워크를 활용할 수 있도록 현지기업과 조인트벤처(JV) 설립도 준비하고 있다. 플랜티팜은 이를 기반으로 내년 하반기 진행할 시리즈C 펀딩에서는 해외 재무적 투자자(SI)와 전략적 투자자(FI)를 유치한다는 계획이다.
플랜티팜은 국내 최대 규모의 수직농장인 1350평 규모의 ‘티팜광산’을 포함해 75개, 7000여평 이상의 스마트팜을 운영하고 있다. 연간 800톤 이상의 스마트팜 작물 재배역량과 100여종의 이상의 재배 레시피를 보유하고 있다.
IMM인베는 2014년 플랜티팜의 모회사인 팜에이트에 30억원 투자를 시작으로 추가 투자를 단행해 경영권을 인수했다. 지난해 말 기준 지분 54.95%를 확보한 최대주주다. 지난해에는 중동 스마트팜 기업인 ‘퓨어하베스트’에 투자하기도 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베스트
-
- [Policy Radar]회사채 캡티브 영업 검사, 한국·신한증권으로 확대
- [대성창투의 시프트업]달바글로벌·밸런스히어로 회수 성과 기대감 커진다
- [LP Radar]대형사 몰린 새마을금고 출자, 경쟁률 '4대 1' 이상
- ‘세금 폭탄’ 심본투자파트너스, LP 신뢰 하락 우려는
- 야놀자, 클라우드 이익률 10% 상회…실적 견인
- 키움운용, 슈로더 집합투자업 흡수…글로벌 역량 강화
- '미래에셋 키맨' 장의성, 파르나스 '더 세이지' 이끈다
- [스튜어드십코드 모니터]더제이운용 의결권 행사, 뚜렷한 보수적 기조
- 케이클라비스운용, NPL 2호 설정 매듭…지방은행 출자 참여
- KCGI운용, 첫 목표전환형 '조기성과'…2호도 발빠른 론칭
김지효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저평가 시그널: PBR 0.3]지역난방·가스공사, 누적된 미수금에 구조적 저평가
- [thebell interview]“PBR 1배 미만 경영권 위험…지분 40%도 안심 못해”
- [사외이사의 투자성과]DSC인베, '공대 출신' 사외이사 5년 만에 원금 5배 회수
- [사외이사 BSM 점검]현대백화점그룹, 법률·경영 등 전문성 치중
- 비지배주주, 너의 이름은
- [사외이사 BSM 점검]미래에셋그룹, 기업경영 전문가 다수…ESG ‘빈자리’
- [사외이사 BSM 점검]셀트리온그룹, 빠진 곳 없는 '육각형' 이사진
- [사외이사 BSM 점검]DL그룹, 사외이사 ‘전문성 분산 배치’… 소수 정예 체제 구축
- [사외이사 BSM 점검]두산그룹, 사외이사 법률·규제 전문가 ‘쏠림'
- [사외이사 BSM 점검]LS그룹, 사외이사 절반이 '재무통'… 자본시장 신뢰 방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