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bell

전체기사

[라인야후 탈네이버 논란]주인 바뀐 라인넥스트, 블록체인 사업 추진 '오히려 좋아'크레센도 컨소시엄 최대주주로, 카카오 블록체인과 통합 '속도'

노윤주 기자공개 2024-05-17 13:04:57

이 기사는 2024년 05월 16일 14:29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라인에서 블록체인 사업을 담당하는 계열사 '라인넥스트' 지배구조에 변화가 생겼다. 곽동신 한미반도체 부회장이 라인넥스트 재무적투자자(FI)로 합류하면서 크레센도 컨소시엄이 지분 과반 이상을 보유한 최대주주 자리에 올라섰다.

라인넥스트 내부에서는 이 같은 주주 변경을 오히려 환영하는 눈치다. 라인 공동 최대주주인 네이버의 지분 매각 이슈에서 한 발 떨어져 블록체인 사업을 차질 없이 준비할 수 있기 때문이다. 향후 자체 블록체인 '핀시아'를 카카오 측 블록체인 '클레이튼'과 통합하는 작업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최대주주 변경, 모회사 후광 지우는 라인넥스트

곽동신 한미반도체 부회장은 최근 크레센도 컨소시엄에 합류해 라인넥스트 지분 8.5%를 직접 취득했다. 작년 말 41.67%의 지분을 확보해 라인넥스트 2대주주가 됐던 크레센도 컨소시엄의 지분율은 곽 부회장의 참여로 50%+1주까지 확대됐다.

라인 종속회사로서 블록체인 사업을 이끌던 라인넥스트에는 주주 손바뀜이라는 큰 변화가 일어났다. 우선 라인은 이번 최대주주 변경과 무관하게 라인넥스트가 라인의 블록체인 사업 담당 계열사임에는 변함이 없다고 강조했다.


라인넥스트 임직원들은 이번 최대주주 변경을 반기고 있다. 강력한 모회사의 색채를 지우는 것이 현재 추진 중인 블록체인 사업에 오히려 도움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라인넥스트는 올 초부터 자체 블록체인 플랫폼 '핀시아'를 카카오의 '클레이튼'과 합병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핀시아와 클레이튼 두 블록체인 프로젝트는 대기업인 모회사의 후광을 받으며 출발했지만 성과는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국내 시장 공략에 어려움을 겪었던 라인과 글로벌 진출에 고배를 마셨던 카카오의 약점을 그대로 물려 받았다.

마지막 보루로 선택한 게 통합이다. 양측의 강점과 약점이 서로 상반된 만큼 통합이 강점은 살리고 약점은 보완하는 결과를 낳을 것으로 봤다. 특히 블록체인은 국경 없는 글로벌에서 통하는 서비스를 만들어야 존속이 가능하다. 두 프로젝트가 모회사의 색채를 지우려하는 이유다.

양측은 최근 정식 통합 프로젝트명 '카이아'를 공개했고 내달 중 아부다비에 통합 재단도 출범할 계획이다. 이번 통합 미션에서 라인넥스트가 맡고 있는 역할이 크다. 당초 자금력은 클레이튼이, 기술개발과 서비스 등은 라인넥스트가 담당하기로 암묵적 역할이 나눠졌기 때문이다.

◇네이버-라인 지분 이슈에서 탈출, 의사결정 속도

이번 최대주주 변경을 내부에서 반기는 목소리가 나오는 또 다른 이유는 네이버의 라인 지분 매각 이슈에서 한 발 떨어질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타 라인 계열사에 비해 외부 이슈에서 비교적 자유롭게 사업을 추진할 수 있어 차라리 잘 된 일이라는 내부 평가가 나온다.

블록체인 업계 관계자는 "네이버의 지분 매각 이슈에서 라인넥스트가 크게 영향을 받는 게 없다"며 "되레 조용하다고 느껴질 정도"라고 설명했다. 이어 "라인넥스트는 카이아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려 하고 있는데 최대주주 변경으로 의사결정에도 속도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기존에는 라인이 라인넥스트 지분 100%를 소유하고 있는 구조였다. 네이버와 소프트뱅크가 라인이 100% 지분을 보유하고 있었다. A홀딩스→Z홀딩스→라인→라인넥스트(한국)→라인넥스트(미국)으로 지배구조가 이어졌었다.

현재는 지분 대부분을 크레센도가 가지고 있다. 작년 말 기준 크레센도 컨소시엄은 예고했던 1억4000만달러(약 1820억원) 중 1300억원 규모로 1차 딜클로징을 했다. 이 때 크레센도가 획득한 주식 수는 79만5401주(41.6%)다. 인수를 위해 설립한 특수목적법인 루드윅홀딩스(SPC)가 해당 주식을 보유하고 있다.

당시 공시에서 라인넥스트는 올해 4월 중 FI들이 합류해 22만7256주를 추가 취득한다고 공시한 바 있다. 곽동신 한미반도체 부회장의 라인넥스트 투자도 그 일환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더벨 서비스 문의

02-724-4102

유료 서비스 안내
주)더벨 주소서울시 종로구 청계천로 41 영풍빌딩 5층, 6층대표/발행인성화용 편집인이진우 등록번호서울아00483
등록년월일2007.12.27 / 제호 : 더벨(thebell) 발행년월일2007.12.30청소년보호관리책임자김용관
문의TEL : 02-724-4100 / FAX : 02-724-4109서비스 문의 및 PC 초기화TEL : 02-724-4102기술 및 장애문의TEL : 02-724-4159

더벨의 모든 기사(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copyright ⓒ thebell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