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 임원 124명, 자사주 3.76만주 수령 책임 경영 의지 표명, C레벨 6명 중 5명 선택
노태민 기자공개 2025-02-06 07:51:24
이 기사는 2025년 02월 05일 08시14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SK하이닉스 임원 124명이 초과이익분배금(PS) 명목으로 자사주를 수령했다. 업계에서는 SK하이닉스가 책임 경영 의지를 다시 한번 표명한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5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SK하이닉스 임원 124명이 지난달 24일 초과이익분배금(PS) 명목으로 자사주를 총 3만7580주를 수령했다. 자사주를 받은 지난달 24일 SK하이닉스 종가(22만1000원)를 기준으로 83억518만원에 달하는 규모다.

앞서 SK하이닉스는 지난달 초 임직원들에게 주주 참여 프로그램 시행을 공지했다. PS의 일부(최대 50%)를 자사주로 선택해 1년간 보유하면 매입 금액의 15%를 현금으로 추가 지급하는 내용이다.
이중 자사주를 가장 많이 수령한 임원은 안현 SK하이닉스 개발총괄(CDO) 사장이다. 그는 1574주를 수령했다. 안 사장의 보유주식은 4407주로 늘었다. 곽노정 SK하이닉스 대표이사 사장은 950주를 받았다. 이에 따라 곽 사장의 보유 주식은 5570주로 증가했다.
김주선 AI인프라(CMO) 사장, 차선용 미래기술연구원(CTO) 부사장, 김영식 양산총괄(CPO) 부사장 등 C레벨 임원들이 성과급으로 자사주를 받았다. 김 사장과 차 부사장, 김영식 부사장이 수령한 자사주는 각각 1022주, 629주, 1518주다. 또 다른 C레벨인 송현종 코레이션센터 사장의 경우 자사주를 수령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고대역폭메모리(HBM) 개발 및 양산의 주역으로 꼽히는 박명재 부사장, 손호영 부사장, 이규제 부사장 등이 PS로 자사주를 받은 것이 눈에 띈다.
증권 업계에서는 SK하이닉스 임원들의 자사주 수령 행렬을 환영한다는 분위기다. 증권 업계 관계자는 "SK하이닉스 주가가 높은 상황에서 임원들이 PS로 자사주를 받는 행위 자체가 투자자에게 신뢰를 줄 수 있다"며 "국내 증시에서 SK하이닉스와 같은 케이스가 늘어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SK하이닉스가 PS를 자사주로 지급한 것은 2023년 이후 두 번째다. 2023년에도 2022년 성과에 대한 PS를 자사주로 받을 수 있는 옵션을 부여한 바 있다.
삼성전자도 임원들의 책임 경영 강화를 유도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달 임원에 대한 초과이익성과급(OPI)의 일부를 자사주로 지급하는 내용을 공지했다. 상무는 성과급의 50% 이상, 부사장은 70% 이상, 사장은 80% 이상의 자사주를 선택해야 한다. 등기임원은 100%다. 해당 주식은 1년 후인 2026년 1월 지급된다. 부사장 이하는 지급일로부터 1년간, 사장단은 2년간 각각 지급받은 주식을 매도할 수 없도록 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한화큐셀 박승덕 사장, 복귀 4년만에 대표 내정
- [i-point]신테카바이오, 중기부 ‘산학연 Collabo R&D’ 사업 선정
- 디지털 자격증명, 일상 속으로…전환 초읽기
- [i-point]스카이인텔리전스, 엔비디아 인셉션 회원사 선정
- IPO 포석 깐 세아윈드, RCPS 지속 발행 배경은
- [KAI 밸류업 점검]지배구조 준수율 70% '재진입' 목표, 중점개선 항목 '주주'
- [SK이노 에너지 전초기지 베트남]글로벌 재생에너지 파이프라인 2030년까지 '2배 이상' 확대
- [SK이노 에너지 전초기지 베트남]“바람만으로 20만가구 전력공급”...SK E&S 최초·최대
- [이해진의 복귀, 네이버의 큰 그림]AI 기술 내재화, 반도체까지 키운 '꿈'
- [Company Watch]일진전기, 재무 체력 키우고 신사업 ‘질주’
노태민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Company Watch]SK하이닉스, 엔비디아에 '4.8조' 물량 메모리 팔았다
- 한미반도체, SK하이닉스와 'TC 본더' 거래 재개
- [네패스그룹은 지금] 아픈 손가락 FO-PLP 중단, 대여금 회수 '미지수'
- 황철주 주성엔지 회장의 '혁신론'
- 삼성·SK, '하이 NA EUV' 달라진 투자 셈법
- 엠케이전자, 원가부담에도 '영업익 전년비 45%↑'
- [삼성 빅딜 리부트] 삼성전자, 공조+반도체 '패키지딜' 가능성↑
- [삼성 빅딜 리부트]2.4조 달하는 플랙트 인수 대금 '차입 불가피'
- [네패스그룹은 지금]'범핑' 분야 선두주자, 삼성 핵심 파트너로 성장
- [하이테크 소부장 리포트]원익그룹, DDI 진출 4년차…삼성D 공급 먼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