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발 관세전쟁]'화장품 섹터' 적색등 켜지나…운용업계 대응 '분주가성비 인디 브랜드·ODM 기업 중심…전략 재정비 한창
고은서 기자공개 2025-02-10 10:09:11
이 기사는 2025년 02월 05일 14시4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보호무역 강화로 한국 화장품 업종이 긴장하고 있다. 미국 정부가 글로벌 보편관세 도입을 추진하기로 하면서 한국산 화장품의 가격 경쟁력이 위축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자산운용업계는 이에 따라 펀드 투자 전략을 재편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자산운용사들은 미국의 관세 부과 가능성에 포트폴리오 조정을 준비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트럼프 대통령은 선거 당시 재집권 성공 땐 모든 국가에서 수입되는 제품에 대해 10%의 보편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아직 한국에 대한 구체적인 관세 부과 발표는 없지만 긴장감을 놓칠 수 없는 분위기다.
미국 무역적자 축소 정책이 본격화되면 화장품 업종도 타격 업종으로 부각될 수 있다. 특히 미국 수출 비중이 높은 프리미엄 브랜드들은 가격 상승 부담을 소비자에게 전가하기 어려워 매출 둔화가 예상된다. 실제로 국내 화장품 핵심 기업을 담은 미래에셋자산운용의 'TIGER 화장품'이나 신한자산운용의 'SOL 화장품TOP3플러스'의 낙폭이 가장 컸던 날은 미국의 관세부과 결정이 보도된 이달 3일이었다.

운용업계는 단기적인 악재 속에서도 기회를 찾고 있다. 미국의 관세 부과 가능성을 반영해 화장품 업종의 비중을 조정하고 있다. 기존에는 중국·동남아 지역에서 생산하는 브랜드들을 중심으로 투자 기회를 모색했다면 이제는 미국·유럽 현지 생산 인프라를 갖춘 기업들을 타깃으로 하는 움직임이 나타나는 모습이다.
일각에서는 가성비 브랜드들이 새로운 기회를 찾을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관세 부과 시에도 최종 소비자 부담이 크지 않은 가성비 인디 브랜드 중심으로 수출이 확대될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보편관세가 현실화되면 고급 브랜드 대비 수요 탄력성이 낮은 가성비 제품군이 상대적으로 유리한 시장 환경이 조성될 것"이라며 "대형 브랜드 중심으로는 실적 불확실성이 커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내 제조자개발생산(ODM) 기업들의 수혜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생산기지 이전도 본격적으로 논의되고 있다. 중국 시장 의존도가 높은 화장품 기업들은 미국의 대중 무역 규제 강화에 대응해 생산거점을 다변화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서다. 동남아시아, 멕시코 등이 새로운 생산기지 후보로 거론되면서 ODM 기업들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질 전망이다.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중국에서 생산된 화장품의 미국 수출이 어려워질 경우 글로벌 브랜드들은 새로운 제조 파트너를 찾을 것"이라며 "코스맥스, 한국콜마 등 국내 ODM 기업들이 새로운 수주 기회를 얻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베스트
-
- [스타트업 1st 감사보고서]'기업가치 1400억' 포엔, 올해 매출 270억 목표
- '김동환호' UTC인베, 첫 펀딩 시동…다음 타깃은
- '오일머니'도 주목한 달바글로벌…밴드 상단 확정적
- [VC 투자기업]위펀, M&A로 가파른 성장세 이었다
- [thebell interview]"솔라스타넥서스, AI 투자 집중…500억 펀드 결성"
- [LP Radar]새마을금고, 3년만 벤처출자 시동…펀딩난에 호재
- KCGI 세무조사 주시하는 OK금융그룹, 대응 카드 '만지작'
- IBK운용, 공들인 첫 헤지펀드 1년만에 청산
- 날개 단 푸른인베스트먼트, AUM 1700억 돌파
- '성장주+미국채' 조합…신한운용 하이브리드 전략
고은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성장주+미국채' 조합…신한운용 하이브리드 전략
- "팔란티어 변동성 잡는다"…신한운용 커버드콜 전략 가동
- 메리츠, WM·IB 경계 허문다…PIB센터로 '승부수'
- 한화운용, '유블레스47' 엑시트 후 청산 수순
- [2025 주총 행동주의 리포트]전환기 맞은 쿼드운용 전략, 짙어진 실용주의 색채
- 신한프리미어, VVIP 전용 '프리미어홀' 만든다
- 유니스토리운용, 키맨 효과 뚜렷 '전략 다변화'
- 유니스토리운용, NPL 펀드로 틈새 수요 '선점'
- 르네상스 이건규, 하이일드펀드로 8%대 매듭
- "코레이트식 공모주 전략 고도화…'IPO 새판' 오히려 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