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기업 정상화 방안 결의 지연 '왜?' 채권단, 의사결정 보류…내달 초 결의 가능성 높아
안경주 기자공개 2014-01-28 08:11:01
이 기사는 2014년 01월 27일 10시2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 중인 경남기업에 대한 채권단의 지원 결정이 늦어질 것으로 보인다. 주채권은행인 신한은행은 경영 정상화 방안에 대한 채권단 동의서를 27일(오늘)까지 마감하기로 했다. 하지만 일부 채권금융기관들이 내부 검토를 이유로 여신협의회 안건으로 부의조차 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각 채권금융기관별로 내부 검토와 여신협의회 결정이 마무리되는 다음 달 초쯤 지원 여부가 최종 결정될 전망이다.27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은행은 채권금융기관에 경남기업 경영 정상화 방안 동의 여부를 이날까지 결정해 통보해 줄 것을 요청했다. 앞서 신한은행은 지난 21일 열린 채권단 회의에서 신규자금 4800억 원(전환사채 1000억 원 포함), 1000억 원 규모의 출자전환 등을 포함한 경남기업 경영 정상화 방안을 제시했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채권단 동의를 27일까지 받으면 오는 29일 신규자금 집행을 통해 경남기업에 운영자금 3800억 원을 공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A 채권금융기관 관계자는 "주채권은행인 신한은행이 (경남기업) 정상화 방안을 만들면서 채권단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한 것이 아니다"라며 "입장을 정리하기 위해선 시간이 필요한 만큼 아직 여신협의회를 통한 구체적인 의결 일정을 잡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B 채권금융기관 관계자도 "안건 설명한 이후 신한은행이 지난 23일에 수정결의안을 다시 보내왔다"라며 "경남기업의 2차 워크아웃 개시도 하루만에 결정했는데 경영 정상화 방안까지 충분히 검토할 시간을 주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신한은행은 경남기업 실사 결과와 경영 정상화 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채권단 회의를 두 차례 연기했다. 이에 채권금융기관들은 '기업구조조정 촉진법(기촉법)'에서 정한 회생계획안 수립기한을 지키기 위해서라도 조속한 채권단 회의 개최를 요구하기도 했다.
채권금융기관별 의사결정 일정이 늦어지면서 경남기업 경영 정상화 방안 동의 여부는 다음 달 초께 판가름날 것으로 보인다. C 채권금융기관 관계자는 "다음 달 초께 각 채권금융기관들이 내부 검토를 마치고 여신협의회에 안건으로 부의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한편 무상감자 등을 통해 대주주의 경영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일부 채권단의 주장은 받아들여지지 않을 전망이다.
C 채권금융기관 관계자는 "일부 채권단에서 대주주 지분 무상감사 등을 통해 경영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지적했지만 이번 경영정상화 방안에는 포함하지 않는 쪽으로 가닥이 잡혔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라온시큐어, 5대 1 주식 액면병합 후 거래재개
- [i-point]샌즈랩, 70억 규모 AI 기반 해킹 방어 기술 사업 수주
- '카이아 살리기' 카카오, VC에 보유 코인 양도
- 넵튠 파는 카카오게임즈, '비욘드 게임' 마침표
- [KT 리빌딩]'신생' 넷코어·PM, 최우선 과제 '서비스 안정화'
- 삼성전자 미국법인, '맹활약' 사내 로비스트 키맨 주목
- [Policy Radar]화랑협회, 문체부 배포 '표준서식' 놓고 갑론을박
- 삼성D, 8.6세대 IT OLED '1차 투자' 마무리
- [2025 공시대상기업집단]빗썸, 대기업집단 선정…'이정훈 총수' 지배구조 확립
- 엔씨소프트, '클러스터' 전략으로 족쇄 푸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