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동·가로수길 '중소형빌딩' 매매 활발 [수익형부동산 Review]글로벌 IT기업 사무실 이전 잇따라..아마존, GS타워에 둥지
고설봉 기자공개 2014-09-03 09:13:00
이 기사는 2014년 09월 01일 10시1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삼성동 한전부지 매각 작업이 본격적으로 진행되면서 일대 수익형부동산 시장에도 훈풍이 불었다.지난주(8월 25일~29일) 한전부지 인근 유화빌딩이 거래됐다. 연이어 경매가 유찰되던 물건이었으나 한전부지 개발 호재로 거래가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신사동에서는 두 건의 빌딩 거래가 성사되며 가로수길의 인기를 다시 한번 증명했다.
임대차 시장은 조용했다. 다만 불경기로 기업들의 사무실 이전이 활발하지 않은 상황에서 글로벌기업의 오피스 임차가 눈에 띈다. 파일럿 오피스를 운영하던 아마존이 역삼동 GS타워에 둥지를 틀었다. 구글은 대치동 오토웨이 타워에 구글 캠퍼스를 열었다.
◇삼성동 인근, 가로수길 중소형빌딩 강세
테헤란로 유화빌딩이 650억 원에 거래됐다. 파크하얏트호텔과 바로 연결된 빌딩으로 향후 호텔 등으로 개발될 것으로 업계는 분석하고 있다. 한전부지 및 잠실 종합운동장 개발과 연계해 물건 컨디션이 나쁘지만 거래가 성사된 것으로 보인다.
유화빌딩은 지난해 12월 경매감정가 653억 원에 경매에 나왔지만 유찰을 거듭하며 경매가 취하됐다. 건물에 근저당 설정이 많아 지분구조가 복잡하고, 일반 오피스로는 경쟁력 확보가 힘들어 재건축이 요구되는 빌딩이다.
최근 서울에서 가장 '핫'한 상권으로 꼽히는 가로수길 일대에서는 빌딩 거래가 두 건 진행됐다. 1990년 초반 완공된 빌딩으로 노후화 된 건물이지만 가격 상승이 계속되는 가로수길의 인기를 증명이라도 하듯 거래가 성사됐다.
㈜비엠케이리미티드가 신사동 643-1번지 중소형빌딩을 85억 원에 취득했다. 대지 506.50㎡, 연면적 1420.50㎡의 지하1층~지상4층 건물로 1992년 완공됐다. 2종일반주거지역으로 3.3㎡당 약 5500만 원 수준에 거래됐다.
정성진 어반에셋 대표는 "언주로 이면에 위치하고, 제2종 일반주거지역이나 중소기업 회사 사옥용으로 인기가 많은 지역"이라며 "인근 시세 및 건물 노후도를 고렸을 때 적정가격에 매매됐다"고 밝혔다.
강남구 신사동 628번지에서는 개인이 중소형 빌딩을 취득했다. 대지면적 226.30㎡, 연면적 624.71㎡의 지상1층~지상5층 건물로 1991년 완공됐다. 제3종 일반주거지역으로 매매가격은 알려지지 않았다. 3종 주거지역임을 감안할 때 3.3.㎡당 6000만 원 정도에 매매된 것으로 보인다.
강북권에서는 안국역 1번 출구와 지하로 연결돼 있는 중소형빌딩이 매물로 나왔다. 4필지를 하나로 묶어 건물을 올렸다. 대지면적 611.57㎡, 연면적 1,071.07㎡의 지하1층~지상3층 규모로 매도금액은 200억 원 정도다. 건물 내 비관, 전기 등 리모델링이 진행 중이다. 정 대표는 "보증금 10억 원, 월 임대료 5500만 원 정도의 수익이 예상된다"며 "삼청동, 안국동을 가기 위한 외국인관광객 수송 버스가 승하차 하는 지역으로 관광객 점포용으로 활용도가 높다"고 밝혔다.
◇글로벌 IT기업 임차
오피스빌딩 임대차 시장에서는 글로벌 IT기업들의 임차가 눈에 띈다. 세계적인 온라인 마켓 아마존은 무역센터에 있던 파일럿 오피스를 정리하고 역삼동 GS타워로 이전했다. 임차 면적은 약 4000㎡(1200여 평)로 월 임대료는 9만 8500원 수준이다. 한국 시장 진출이 활발해 짐에 따라 향후 추가 임차가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구글은 삼성역 인근 도곡동 오토웨이 타워에 구글 캠퍼스를 열었다. 전세계에서 세 번째로 문을 여는 것으로 아시아지역 최초다. 임차 면적은 약 4960㎡(1500여 평)이다. 임대료는 밝혀지지 않았다. 구글 캠퍼스의 임차로 오토웨이 타워의 전체적인 가치가 증대됐다는 평이다.
|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DS단석, 켄텍과 미래 에너지 신산업 생태계 구축 MOU 체결
- [스타트업 1st 감사보고서/thebell interview]"바로팜, '약국·제약사·소비자' 상생 생태계 방점"
- [VC 경영분석]TS인베 흑자전환…하반기 세컨더리펀드 관리보수 기대
- 프렌드투자, 카이스트 모빌리티 연구소와 맞손
- [LP Radar]성장금융, 상반기 6개 출자 대기…딥테크·반도체 집중
- 핀테크혁신펀드, 주목적 비율 낮추자 경쟁 '치열'
- 유한의 캐시카우 'CDMO', 유한화학 뒷배 '길리어드'
- HLB의 넥스트 리보세라닙 구심점 'HLB제넥스' 활용법
- 삼진제약, 비공개 60억 대여금 제공…대상은 '아리바이오'
- [삼성 바이오 재편]삼성바이오로직스, 특관 제거 효과 '매출 늘고 리스크 던다'
고설봉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항공시장 경쟁체제 점검]AP홀딩스, 에어프레미아 인수자금 감당 가능할까
- [thebell desk]흔들리지 말아야 할 국적항공사
- [경영권 위협받는 한진칼]압박수위 높이는 호반, 한진칼 공략포인트는
- [감액배당 리포트]KISCO홀딩스, 대규모 '비과세 배당'...주주연대 '만족못해'
- [영상]항공시장 다크호스 대명소노, 티웨이항공에서 멈춰선 이유는
- [경영권 위협받는 한진칼]한진그룹, LS그룹과 혈맹…리스크 선제적 차단
- [경영권 위협받는 한진칼]'탄탄해진' 한진그룹 지배력...KCGI 분쟁 때와 다르다
- [경영권 위협받는 한진칼]지배구조 취약한 국적항공사…우호지분 45.5% '이상무'
- [항공시장 경쟁체제 점검]에어프레미아, 취항편 늘렸지만 고객 유치 실패
- [항공시장 경쟁체제 점검]티웨이항공, 장거리노선 '정상궤도' 올릴 수 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