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러시아 공장 증설 잠정 '중단' 연초 10~15만대 증설 추진..우크라이나 사태 등 여파에 보류
양정우 기자공개 2014-09-26 08:45:00
이 기사는 2014년 09월 24일 14시0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현대자동차가 러시아 생산 공장(HMMR) 증설 계획을 잠정적으로 중단했다.24일 현대자동차그룹에 정통한 관계자는 "현대차가 올해 초부터 러시아 공장 생산 캐파를 10~15만 대 가량 확대하는 증설을 추진했다"라며 "하지만 우크라이나 사태가 터지면서 계획이 잠정적으로 보류된 상태"고 말했다.
현대차가 러시아 공장 증설에 나서는 건 예견됐던 수순이다. 올해 상반기 러시아 공장의 가동률은 119.1%(생산 실적 11만 7500대). 전 세계 현대차 생산 공장을 통틀어 가장 높은 수준이다. 지난해 생산 실적은 총 22만 9400대로 전년(22만 4420대)보다 더 늘어났다. 이미 연간 생산량은 생산 능력(20만 대)을 뛰어넘은 지 오래다.
|
앞선 관계자는 "현대차 러시아 공장이 숨 가쁘게 돌아가고 있지만 향후 수요가 더 늘어날 지 확신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러시아 자동차 시장의 침체는 점점 가시화되고 있다. 유럽기업인협회(AEB)에 따르면 지난달 러시아에서 판매된 자동차는 17만 2000대에 그쳤다. 전년 동기와 비교해 25.8% 줄었다. 1~7월 누적 판매량도 전년보다 10% 감소한 140만여 대로 집계됐다. 현대·기아차도 지난달 판매량(2만 7000대)이 13.4% 감소했다.
다만 현대·기아차는 러시아 점유율 1위를 3개월째 수성하고 있다. 지난달 시장 점유율은 15.7%였다. 현지업체 아브토바즈가 15.6%(2만 6000대)로 2위를 차지하며 현대·기아차의 뒤를 바짝 추격하고 있다. 러시아에서 승승장구하는 이유는 현지화 차종인 솔라리스 때문이다. 현대차 엑센트를 기반으로 거친 현지 기후의 특성을 반영해 개발했다.
현대차 관계자는 "러시아 공장을 증설한다는 계획이 있었는 지 확인할 수 없다"라며 "현지 차량 수요를 고려할 때 현재 공장 캐파가 적절한 것으로 보인다"라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스타트업 1st 감사보고서]'기업가치 1400억' 포엔, 올해 매출 270억 목표
- [thebell note]미국에서 키운 '혁신의 숲'
- '김동환호' UTC인베, 첫 펀딩 시동…다음 타깃은
- '오일머니'도 주목한 달바글로벌…밴드 상단 확정적
- [VC 투자기업]위펀, M&A로 가파른 성장세 이었다
- [thebell interview]"솔라스타넥서스, AI 투자 집중…500억 펀드 결성"
- [LP Radar]새마을금고, 3년만 벤처출자 시동…펀딩난에 호재
- [AACR 2025]미국 클리아랩 인수하는 딥바이오 '매출 다변화' 예고
- [AACR 2025]대웅제약도 항암신약 경쟁 가세 "타깃·속도 자신있다"
- 엘앤씨바이오, 중국법인 영업권 2000억 인식 '활용법' 관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