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상증자 신흥강호 KB證, 우투證에 우세승 [thebell League Table / ECM 유상증자]중형 딜 중심 시장 확대…GS建·KCC建·동국제강 주관
임정수 기자공개 2014-10-01 09:56:04
이 기사는 2014년 09월 30일 20시4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회사채(DCM) 시장의 강자로 통하는 KB투자증권이 유상증자 시장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기업 재무개선용 유상증자 딜을 잇따라 따 내면서 다른 대형 증권사들을 모두 제치고 올해 3분기까지 유상증자 리그테이블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다. 연말까지 이같은 추세를 이어가면 더벨이 리그테이블 집계를 시작한 이래 처음으로 연간 유상증자 실적 부문에서 1위도 노려볼 수 있게 됐다.30일 더벨이 집계한 ECM 리그테이블에 따르면 국내 증권사의 2014년 3분기까지 유상증자 주관 실적은 총 41건, 2조 8407억 원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같은 기간 25건, 6982억 원 대비 건수는 16건 늘고, 금액은 2조 1425억 원이나 증가했다. 금액 기준으로 유상증자 시장이 4배로 확대된 것이다.
특히 GS건설, KCC건설, 동국제강, JB금융지주 등 재무개선이 필요한 기업의 유상증자가 시장 규모를 키우는 데 일조했다. 대부분 1000억 원~6000억 원 수준의 중형 딜이다. 대규모 딜이 없는 상황에서 B의 실적에 단비 역할을 톡톡히 했다.
주선 경쟁도 치열했다. 올 들어 3분기까지 KB투자증권과 우리투자증권이 박빙의 승부를 이어가는 가운데 금액 기준 실적 면에서 각각 1위와 2위를 달리고 있다. 순위 상으로는 상반기와 크게 달라진 게 없다.
KB투자증권은 상반기 GS건설 유상증자((5150억 원)를 우리투자증권과 공동으로 주관했고, KCC건설(1089억 원) 유상증자도 마무리했다. 3분기 들어서는 동국제강(1499억 원), JB금융지주(1698억 원) 유상증자 딜을 추가하면서, 근소한 차이로 우리투자증권을 앞섰다.
우리투자증권은 상반기에 GS건설(5150억 원), 포스코플랜택(718억 원)을 주관한 데 이어 3분기에 메리츠금융지주(1663억 원), AK홀딩스(748억 원)의 유상증자를 맡았다. 두 증권사가 맡은 딜 건수는 같으나 규모에서 순위가 판가름 났다.
|
ECM 부문의 트랙레코드가 없었던 KB투자증권이 잇따라 유상증자 주관 실적을 쌓게 된 것은 회사채 시장에서 기업들과의 관계를 돈독히 해 온 게 큰 도움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GS건설과 KCC건설, 동국제강 모두 어려울 때 회사채 발행을 도와준 것에 대한 보답으로 KB투자증권에 유상증자 주관을 맡긴 것으로 알려졌다.
상반기까지 유상증자 실적이 없었던 한국투자증권이 3분기에 단 숨에 3위로 껑충 뛰어 올랐다. 5146억 원 규모의 BS금융지주 유상증자 주관을 맡아 순위권에 진입했다. 상반기까지 5위에 랭크돼 있었던 KDB대우증권도 3분기에 1914억 원어치의 한진중공업 유상증자를 추가하면서, 4위로 한 계단 순위가 상승했다.
반면 JB금융지주 유상증자를 맡아 3위에 올라 있었던 현대증권은 3분기에 동국제강 유상증자 공동 주관 실적을 추가하는 데 그쳐 5위로 밀려났다. 다른 증권사들이 3분기에 이렇다 할 유상증자 실적을 추가하지 못한 가운데 KTB투자증권은 3분기에 유진투자증권(700억 원) 등을 주관하면서 9위에서 6위로 3단계 점프했다. 상반기까지 5위와 7위였던 대신증권과 신한금융투자는 8위와 9위로 내려 앉았다.
실속 측면에서는 우리투자증권이 가장 우세했다. 금액 기준 주관 실적은 2위에 그쳤으나 올 들어 유상증자 시장에서 가장 많은 수수료를 받아 챙기면서 조정실적 기준으로 1위를 차지한 것으로 집계됐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라온시큐어, 5대 1 주식 액면병합 후 거래재개
- [i-point]샌즈랩, 70억 규모 AI 기반 해킹 방어 기술 사업 수주
- '카이아 살리기' 카카오, VC에 보유 코인 양도
- 넵튠 파는 카카오게임즈, '비욘드 게임' 마침표
- [KT 리빌딩]'신생' 넷코어·PM, 최우선 과제 '서비스 안정화'
- 삼성전자 미국법인, '맹활약' 사내 로비스트 키맨 주목
- [Policy Radar]화랑협회, 문체부 배포 '표준서식' 놓고 갑론을박
- 삼성D, 8.6세대 IT OLED '1차 투자' 마무리
- [2025 공시대상기업집단]빗썸, 대기업집단 선정…'이정훈 총수' 지배구조 확립
- 엔씨소프트, '클러스터' 전략으로 족쇄 푸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