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16년 10월 27일 08시04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주먹구구식 채권시가평가가 회사채 금리를 왜곡하고 있다. 채권평가의 기준부터 정립해야 한다" 한 투자은행(IB)업계 관계자의 말이다. 이 관계자는 최근 금융위원회 주도로 발표한 신용평가시장 선진화 방안의 실효성에 의문을 표하며 채권 가치를 메기는 채권평가사에 대한 내용이 빠진 것에 불만을 토로했다.채권시가평가는 부채자본시장에 전환점을 가져온 '수요예측 제도'의 기본 바탕이 되는 중요한 요소다. 금융투자협회의 권고 개정안에 따라 모든 발행사는 공모 희망금리를 제시할 때 민간평가금리를 활용해야 한다. 기존 한국자산평가, KIS채권평가, 나이스P&I와 후발주자 FN자산평가까지 총 4곳의 평가금리를 산술평균해 희망금리의 기준을 정한다. 당시 금투협은 발행사 우위 시장에서 나타나는 금리왜곡현상을 해소하기 위한 조치라고 밝혔다.
그러나 시장 관계자들은 이 평균값 자체가 시장의 컨센서스와 괴리가 많다는 불만을 제기한다. 한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같은 채권에 대해 평가사별로 금리차이가 너무 크게 날 때는 직접 전화해 문의하는데 강하게 어필하면 다음날 어느 정도 조정이 되는 경우까지 있다"고 밝혔다. 결국 명확한 기준 없이 기계적이고 도식적으로 금리를 산정한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채권시가평가를 도입한지 20년 가까이 흘렀지만 아직까지 명확한 규정이 없다는 것도 문제다. 각 채평사의 평가 담당자의 시각에 따라 주먹구구식으로 금리가 산정되고 있다. 개별 기업의 신용이슈가 발생할 때는 채평사마다 서로 눈치를 보다 어느 한곳이 금리를 조정하면 비슷한 수준으로 따라하기에 나서는 경우도 허다하다.
오죽하면 시장에서 채평사별로 시가를 평균낼 것이 아니라, 한두 곳만 선별적으로 골라 쓰는 게 오히려 낫다는 비아냥 섞인 아이디어까지 나오고 있다.
또 다른 문제는 평가 담당 인력이 턱 없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적은 인력이 매일 200개가 넘는 전체 채권을 모두 평가하기 때문에 금리에 영향을 주는 이벤트를 따라가기도 어렵다. 특히, 평소 유통이 적은 채권은 거래가 이뤄졌을때 자산운용사에서 채평사에 연락해 거래가 있었음을 알리고 가격에 반영해줄 것을 강조하는 경우도 있다. 정립된 체계가 사실상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는 비판이 나온다.
채권평가업계의 높은 이직율을 고려할 때, 같은 업무를 담당하는 직원이지만 평가사 별로 담당자의 업력 차이가 커 판단이 크게 갈릴 때가 있다는 것 또한 시장의 불만이다.
민평금리는 채권 발행 시 금리 산정의 기준이 된다. 민평금리의 왜곡은 곧 발행 채권 가치의 왜곡으로 이어진다. 채권시가평가가 주먹구구식으로 이뤄진다면 발행사나 투자자 모두에게 유무형의 손해를 끼칠 수 있다. 기준이란 시장 참가자 대부분이 동의할 때 가치를 갖는다. 회사채 시장 활성화의 첫 걸음은 채평사에 대한 명확한 평가 기준 정립에서 시작해야 할 것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위세아이텍, 공공데이터 품질관리 역량 '재입증'
- [RWA가 쏘아올린 VC 펀딩난]종투사 모험자본 투자 의무화, 출자 숨통 틔울까
- 세라젬, '셀트론 순환 체어' 신규 출시
- '융복합 테마파크' 모노리스, 대성파인텍 품에 안긴다
- [VC 투자기업]아이벡스메디칼, 140억 시리즈C 유치…IPO '시동'
- [VC 투자기업]앱테크 '마이비' 운영 원셀프월드, 프리A 오버클로징
- '정성재호' BNK벤처, 지역투자 선봉장 면모 '눈길'
- [스타트업 1st 감사보고서]'약국 생태계 확장' 바로팜, 올해 1000억 매출 조준
- [VC 투자기업]'유전자 치료기술' 글루진테라퓨틱스, 50억 유치 순항
- [VC 투자기업]캐스팅엔, IPO 주관사에 미래에셋…2027년 상장 목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