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업 구조개선 펀드, 멀티클로징 노린다 현대-수림창투, 상반기 내 500억 규모로 결성…연내 1000억으로 증액
정강훈 기자공개 2017-04-25 08:08:11
이 기사는 2017년 04월 21일 09시5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조선업 구조개선 펀드를 준비하고 있는 운용사들이 멀티클로징 카드를 속속 꺼내 들고 있다.21일 벤처캐피탈업계에 따르면 현대기술투자와 수림창업투자는 상반기 내에 조선업 구조개선 펀드를 500억 원 규모로 결성한다는 계획이다. 이후 연내에 약정총액을 1000억 원으로 증액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지난해 한국벤처투자는 4차 정시 출자사업에서 조선업구조개선 펀드의 위탁운용사(GP)로 BK인베스트먼트, KB인베스트먼트-포스코기술투자(Co-GP), 현대기술투자-수림창업투자(Co-GP) 등 3곳을 선정했다. 모태펀드가 50%를 출자하며 BK인베스트먼트와 KB인베스트먼트-포스코기술투자는 각각 500억 원, 현대기술투자와 수림창업투자는 1000억 원 규모로 조합을 결성할 계획이었다.
현대기술투자와 수림창업투자는 벤처투자조합으로서는 큰 금액인 1000억 원대 펀드 결성에 도전하게 됐다. Co-GP 구조로 펀드레이징 부담을 완화하고, 현대기술투자의 조선업 투자 경험을 활용한다는 전략이었다.
결성시한은 최종 선정일로부터 3개월이었지만 운용사들은 시한을 연장했다. 현대기술투자와 수림창업투자는 상반기 내에 펀드 결성을 마무리하기 위해 우선 500억 원 규모로 조성하고, 연내 진행될 여러 연기금·공제회 등의 매칭 출자사업을 통해 멀티클로징을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다른 운용사인 KB인베스트먼트-포스코기술투자도 멀티클로징을 택했다. 우선 400억 원을 결성한 뒤 향후 500억 원으로 증액할 예정이다. 현재 1차 클로징을 위한 LP 모집은 사실상 마무리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벤처투자는 출자사업을 공고할 당시 올 1월을 결성시한으로 제시했다. 부득이한 사유가 발생할 경우 중진 계정은 2개월까지 시한을 연장할 수 있다. 하지만 펀드 결성이 장기화되자 오는 6월까지 펀드 결성을 마친다는 방침을 세웠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교보생명 지주사 전환 전략 점검]조대규 사장, '보험 대표, 지주 TF' 도맡으며 남다른 입지
- [i-point]채비, 전자금융업 라이선스 취득
- [i-point]엑스플러스, 어린이날 맞아 '캐치! 티니핑' 굿즈 기부
- [i-point]김하용 킵스파마 대표 "삼일PwC 지정감사 이상 무"
- [thebell interview]"수익성 회복에 집중, 기업·투자금융 확대로 미래 동력 확보"
- [보험사 기본자본 점검]KB라이프, 손실흡수력 최상위…하방 압력은 큰 부담
- [Policy Radar]상호금융 PF 대출, '20% 룰' 도입되나…당국·업계 줄다리기
- [금융 人사이드]하나저축, 심사본부장에 그룹 출신 전상윤 이사 선임
- [Sanction Radar]멜라트-우리은행 손배소 판결 가른 'SDN'
- [보험경영분석]보장성 늘린 농협생명, 441% 초우량 킥스비율 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