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아로직 주요주주 '리드드래곤', 삼부토건 인수에도 참여 우선협상자 DST로봇 컨소시엄 참여, 국내기업 연이어 눈독
김경태 기자공개 2017-06-19 08:02:56
이 기사는 2017년 06월 16일 10:24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삼부토건 매각이 마무리 단계에 이르면서 디에스티(DST)로봇 컨소시엄의 주축을 이루는 중국계 자본에 관심이 모아진다. 디신퉁그룹은 이번에도 리드드래곤유한공사(LEAD DRAGON LIMITED)와 손을 잡고 인수를 추진하고 있다.16일 인수합병(M&A)업계에 따르면 삼부토건 인수 우선협상자인 DST로봇 컨소시엄에 리드드래곤이 참여했다.
M&A업계 관계자는 "리드드래곤은 디신퉁그룹과는 별개의 회사로 알고 있다"며 "홍콩과 중국 등에서 활발한 투자 활동을 하면서 디신퉁그룹과 자주 협력하는 곳"이고 말했다.
리드드래곤은 2008년 1월 영국령 버진아일랜드에 설립됐다. 현 대표이사는 리밍(Li Ming)이다. 리드드래곤의 한국기업 투자는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디신퉁그룹이 2015년 3월 DST로봇을 사들일 때 주주로 참여했다. 당시 DST로봇의 지분 9.40%를 확보해 베이징 링크선 테크놀러지(Beijing linksun Technology)에 이어 2대주주로 올라섰다. 올 1분기 말에는 4.0%로 4대주주다.
지난해 2월에는 코아로직을 품었다. 리드드래곤은 6개 업체와 함께 '제일 컨소시엄'을 이뤘다. 리드드래곤은 코아로직의 지분 36.61%를 확보해 최대주주가 됐다.
리드드래곤은 지난해 7월에는 코아로직을 통해 동아에스티로부터 엠아이텍(M.I.TECH)을 300억 원에 사들이며 추가 M&A에도 적극적이었다.
한편 DST로봇 컨소시엄은 총 5개 업체로 구성돼 있다. 리드드래곤 외 중국자본인 디신퉁그룹 소속 업체가 참여했다. 국내에 기반을 둔 곳은 DST로봇과 무궁화신탁, 투자조합 등 3곳이다. 서울회생법원은 이달 13일 DST로봇 컨소시엄을 삼부토건 우협으로 결정했다. 차순위(예비)협상대상자는 대우산업개발 컨소시엄이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다음 주 화요일이 MOU 체결 기한"이라며 "우협 선정 후 5영업일 이내에 하면 되고 현재 막바지 논의 중"이라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VC 투자기업]'투자자 러브콜' 메타센테라퓨틱스, AI솔루션 도입 박차
- 메디포럼, 대만국립보건원과 뇌질환 공동연구 본계약
- KB가 투자한 KODA, 가상자산 커스터디업 시작 '비트코인 맡는다'
- [격변기 한화그룹의 선택]3세 시대 탄생 일조하는 키맨 '윤안식·신용인 전무'
- [격변기 한화그룹의 선택]미리보는 승계 시나리오, '정공법' 유력
- [ESG 모니터/그린(E) 리포트]삼표·아세아시멘트, ESG위원회 출범 '초읽기'
- [현대엔지니어링 IPO]현대차 투자 '그랩'도 상장 추진, 보스턴다이내믹스 미래는
- [Company Watch]CB 발행 나선 삼보모터스 재무 전략 '현금비축'
- [모빌리티 人사이드]'ESG경영' 외친 강용석 서연이화 대표, 부품사 한계 벗어날까
- 해외 스타트업 발굴 귀재 SK㈜, '투로'도 잭팟 터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