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 2030을 위한 '위비짠테크 적금' 52주짠·매일매일캘린더·원데이절약플랜 성공시 1% 우대금리
원충희 기자공개 2017-06-29 10:03:06
이 기사는 2017년 06월 29일 10시0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우리은행의 '위비 짠테크 적금'은 알뜰하게 모아서 본인이 추구하는 특정아이템(여행, 맛집, 수집품 등)을 집중 소비하는 1인 가구 2030세대 특성을 반영해 개발한 상품이다. 일명 '짠테크'로 불리는 절약니즈를 금융과 접목해 특화시켰다.이 상품을 활용하는 대표적인 방식 중 하나가 '52주 짠플랜'이다. 52주(1년)간 매주 1000원씩을 더 이체하는 재테크다. 월~금요일 가운데 하루를 선택하고 최초 이체금액을 1000원~5만 원 중 설정하면 지정한 요일에 최초 이체금액이 자동 이체된다. 그 다음 요일부터는 기 이체된 금액에 1000원씩 더 해서 자동이체가 되는 구조다.
가령 이체요일을 화요일로 정하고 이체금액을 1만 원으로 설정하면 이후 첫 화요일에는 1만 1000원이, 그 다음 화요일에는 1만 2000원 이런 식으로 이체금액이 1000원씩 늘어난다. 최초 이체금액을 1000원으로 하고 52주간 꾸준히 적립하면 약 137만 8000원을 모을 수 있다. 크게 부담되지 않으면서 적립자금을 늘릴 수 있어 저축습관을 기르려는 알뜰족들에게 각광받는 재테크 기법이다. 50주 이상 적립에 성공하면 금리우대 연 1%의 혜택까지 받을 수 있다.
|
캘린더 강제저축법으로 알려진 '매일매일 캘린더플랜'으로도 활용 가능하다. 매월 달력의 일자에 맞춰서 1000원씩 더 늘려가는 방식을 적금 자동이체로 구현하면 된다. 첫 이체날짜(공휴일제외)를 지정하고 그날부터 매 영업일에 1000원, 2000원, 3000원 이런 식으로 1000원씩 자동이체금액이 늘어나며 매달 첫 영업일이 되면 다시 1000원부터 자동이체가 시작되는 형태다.
공휴일을 제외한 한 달을 약 20일 정도로 감안해 매일 빠짐없이 적립한다고 하면 한 달간 약 21만 원, 1년간 약 252만 원을 모을 수 있다. 총 200회 이상 이체에 성공할 경우 연 1%의 금리우대 혜택도 제공된다.
하루 생활비 목표금액을 미리 정해놓고 실제로 쓴 생활비를 입력하면 차액만큼 달력에 기재되고 아낀 생활비는 적립되는 간편한 이체서비스도 있다. '1DAY 절약플랜'이 그것이다. 하루 생활비를 봉투나 달력에 꽂아놓고 쓰는 봉투살림법으로 잘 알려진 방식이다. 이 또한 200회 이상 적립에 성공할 시 연 1%의 우대금리 혜택이 주어진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thebell interview]황민영 부대표 “AI 검증 돕는 세계적 기업 되겠다”
- [thebell interview]"사제파트너스, 글로벌 파워 갖춘 K-커뮤니티 꿈꿔"
- [thebell interview]"클레이디스, AI로 3D 쉽게 생성…1분만에 뚝딱"
- 에트리홀딩스, 윤상경 대표 곧 임기만료…공모 돌입
- 산은 미국법인, 프라임마스에 70억 베팅
- ' VC협회장사' 퀀텀벤처스, 과기부 AI GP는 따낼까
- 한국벤처투자 신임 대표에 이대희…첫 '관 출신' 사례
- [thebell interview]황건필 대표 “미국에 햄버거 조리 로봇 도입할 것”
- 신스타프리젠츠, 30억 시리즈A 익스텐션 라운드 시동
- 어니스트벤처스, 과기부 SaaS 재도전 성공할까
원충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이사회 분석/한화오션]지분 파는 2대주주 산은, '의결 참여권' 향방은
- [지배구조 분석/한진칼]외부주주들 영향력 확대, '양날의 칼' 우군
- [Financial Index/금융지주]자본력 풍족한 KB, 보완자본 의존도 큰 우리
- [지배구조 분석/신영증권]자사주만 51%, 소각 못하는 이유
- 코리안리의 지배구조 시험대
- [지배구조 분석/코리안리]원종규의 오너십, 자사주+백기사 '이중방벽'
- [지배구조 분석/두산]오너 개인보다 가문…'친족경영'으로 지배력 보강
- [지배구조 분석/엔씨소프트]김택진, 지분 희석 보완책 '백기사'
- [지배구조 분석/네이버]지분에 기대지 않는 창업자 이해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