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갤럭시S10에 홍채인증 빼나 샘플 개발 움직임 無…FOD 등 대체 인증 수단 탓 입지 축소
이경주 기자공개 2018-06-22 08:04:27
이 기사는 2018년 06월 21일 16:01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삼성전자가 내년 초 출시 예정인 10주년 기념작 갤럭시S10 시리즈(가칭)에 홍채인증 기능을 제외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갤럭시S10용 각종 부품에 대한 샘플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홍채인증 관련 부품은 움직임이 없다. 삼성전자가 디스플레이 지문인식 등 차세대 인증 기술을 갤럭시S10에 도입하기로 하면서 홍채인증 필요성이 줄었다는 분석이다.21일 증권업계와 부품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현재까지 갤럭시S10 시리즈용 홍채인증 모듈에 대한 샘플 개발 주문을 관련 협력사들에게 하지 않고 있다. 홍채인증모듈은 카메라모듈 업체인 파트론이 재작년 8월 공개된 갤럭시노트7서부터 메인벤더(주력 공급사)로 공급해왔다. 서브벤더들 역시 샘플 주문을 받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
삼성전자는 올 5월 초 갤럭시S10에 개발 코드명 'Beyond(비욘드)'을 부여하고 협력사들과 본격적으로 샘플 개발을 진행해 왔다. 디스플레이의 경우 인치 수까지 확정됐다. 일반형 갤럭시S10은 5.8인치, 대화면 갤럭시S10플러스는 6.3인치다. 반면 홍채인증 모듈은 코드명 부여 후 2개월 가까이 시간이 지났지만 개발소식이 없는 상황이다.
업계에선 대체 인증 기술 도입 때문으로 본다. 삼성전자는 갤럭시S10에 최초로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지문인식이 가능한 FOD(Fingerprint On Display) 기능 탑재를 추진하고 있다. 현재 미국 퀄컴과 시냅틱스, 대만 이지스텍 등이 FOD용 센서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업계에선 퀄컴 기술력이 상용화에 가장 가깝게 다가선 것으로 파악한다.
삼성전자는 FOD 외에도 갤럭시S10에 3D센싱 카메라를 활용한 안면인식(페이스ID) 기능 탑재를 검토하고 있다. 이스라엘 맨티스비전(Mantis Vision)과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등이 3D센싱모듈에 필요한 알고리즘 개발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때문에 홍채인증 기능은 후순위로 밀어둔 뒀다는 분석이다. 홍채인증까지 포함되면 갤럭시S10에는 총 3개의 인증 기능이 탑재되며, 이는 필요 이상의 스펙이 된다. 홍채인증은 삼성전자가 선보인지 2년이 지난 기술이다. 10주년을 기념해 '혁신성'이 부여돼야 하는 갤럭시S10에는 상대적으로 어울리지 않는다.
다만 FOD나 안면인식 기능이 기술 난제로 탑재가 쉽지 않을 경우 삼성전자가 홍채인증 기능을 다시 넣는 방향으로 전략을 수정할 수 있다. 홍채인증 부품은 협력사들이 2년 동안 충분히 양산성을 확보한 상태기 때문에 샘플 개발을 늦게 시작해도 단기 공급이 가능하다.
한 애널리스트는 "FOD나 안면인식 탑재가 가능하다면 홍채인증은 빼는 것이 혁신성 제고와 비용절감에서 유리하다"며 "홍채인증은 갤럭시S10이 아니라도 언젠가는 결국 배제될 기능으로 부품 협력사들도 관련사업 비중을 줄이는 추세"라고 말했다.
한편 삼성전자가 오는 8월 초 글로벌 공개할 예정인 갤럭시노트9(가칭)에는 홍채인증 기능이 탑재된다. 삼성전자는 갤럭시노트9에 FOD 기능 도입을 시도했으나 기술 난제로 최종 제외시켰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House Index]자기자본 '1조' 주역 김병영 BNK증권 대표 '유일한' 연임
- [이사회 모니터]대신증권, 여성 이사진 공백 조선영 광운학원 이사장이 메운다
- [한국평가데이터는 지금]3년 장기호흡 이사회, 사외이사 견제기능 '글쎄'
- [넘버원 K-가전 기술]'10초에 제습기 한대씩' 위닉스 초고속 공정시스템
- [셀트리온의 도전, 서정진의 승부수]서정진 명예회장 "M&A 대상 '밸류체인·플랫폼' 염두"
- [셀트리온의 도전, 서정진의 승부수]'불만을 기대로' 미래전략 말하는 '서정진'式 소통법
- [셀트리온의 도전, 서정진의 승부수]돌아온 서정진, 첫 키워드 사과 그리고 강력한 리더십
- 신학철 LG화학 부회장 "CRMA에 현지화 적극 검토"
- 한글과컴퓨터, 네이버클라우드와 'AI 동맹' 체결
- 위지윅스튜디오, 아티스트 'AI 트윈' 밸류체인 구축
이경주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A급 발행사 유동성 점검]CJ CGV, 9%대로 솟은 단기차입 이자율
- [이자비용 분석]SNT모티브, 순이익률 8%…'무차입'의 힘
- [A급 발행사 유동성 점검]해태제과, '판가' 사수에 달린 신용도
- CFO를 잘 뽑으면 벌어지는 일
- [A급 발행사 유동성 점검]넥센타이어, 신용도 사수할까...여전한 변동성
- [배당정책 리뷰]한국타이어, 배당성향 4년 연속 초과 달성
- [배당정책 리뷰]세종공업, 일관성 있네…'유지' 아니면 '확대'
- [A급 발행사 유동성 점검]넥센타이어, 대표에게 위임한 조달
- [A급 발행사 유동성 점검]CJ CGV, 얽힌 실타래 풀 해법 '주가·실적'
- [배당정책 리뷰]'영업손실' SD바이오센서, 배당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