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오션, '주력사업 선전' 수익성 안정화 '벌크·비벌크' 고른 성장…곡물사업은 매출 축소
고설봉 기자공개 2018-08-16 08:04:00
이 기사는 2018년 08월 14일 15시3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팬오션이 주력사업에서 선전하며 올 2분기 실적 성장세를 이어갔다. 벌크선부문과 비벌크선부문 등 해운업에서 수익을 거두며 안정된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하림그룹 편입 뒤 새로 진출한 곡물사업에서 매출이 줄고 수익성이 악화하는 등 어려움을 보였다.팬오션은 올 2분기 연결 기준 매출 6788억원, 영업이익 501억원, 순이익 373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지난해 동기 대비 매출은 7.32%, 영업이익은 2.52%, 순이익은 87.16% 각각 늘었다. 전체적으로 고른 성장세를 보였다.
|
매출은 주력인 벌크선부문에서 대부분 발생했다. 올 2분기 기준 팬오션의 벌크선부문 매출 비중은 75.48%로 집계됐다. 지난해 동기 69.35%보다 매출 비중이 대폭 상승했다. 매출 비중은 상반기 전체 매출에서 내부거래를 제거한 뒤 각 부문별 실적을 나눈 값이다.
벌크선부문은 전용선 사업을 기반으로, 스팟영업을 확대하며 매출 키웠다. 팬오션은 벌크선부문 핵심사업으로 자리잡은 스팟영업에서 리스크 관리 및 선대 포트폴리오 구성 등 시장 대응력을 강화하며 꾸준히 좋은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더불어 지속적으로 건화물선운임지수(BDI)가 상승 기조를 보인 것이 주요하게 작용한 것으로 해석된다.
컨테이너선, 원유 운반선, LNG 운반선 등이 속한 비벌크선부문은 올 2분기 매출 비중은 13.88%를 기록했다. 지난해 1분기 13.96%와 비슷한 수준이다. 다만 매출은 지난해 동기대비 6.7% 늘어났다.
곡물 등 기타 사업부문은 매출 비중이 확연하게 줄었다. 지난해 2분기 매출비중 24.44%에서 올 2분기 17.05%로 낮아졌다. 더불어 주력 사업부문 중 유일하게 지난해 동기 대비 매출도 줄었다. 지난해 2분기 곡물 등 기타 사업부문 매출은 1546억원에서 올 2분기 1157억원으로 33.56% 감소했다.
|
각 사업부문별 수익성도 매출 성장세와 비슷한 추이를 보였다. 벌크선부문은 올 2분기 영업이익률 8.84%를 기록했다. 지난해 2분기 9.35%보다는 소폭 낮아졌지만 여전히 안정된 수익을 거두고 있다. 비벌크선부문도 꾸준히 영업이익을 내고 있다. 다만 영업이익률은 지난해 2분기 8.94%에서 올 2분기 5.59%로 하락했다.
그러나 곡물 등 기타 사업부문의 경우 올 2분기 영업손실이 발생하며 적자로 돌아섰다. 지난해 2분기 영업이익 82억원을 기록했지만 올 2분기에는 영업손실 4억원이 발생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률은 0.53%에서 마이너스(-) 0.31%로 돌아섰다.
팬오션의 곡물사업이 매출이 줄어들고 수익성이 악화한 것은 하림그룹과의 내부거래를 대폭 줄이면서 안정적인 매출처를 잃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상반기 502억원 규모였던 팬오션의 하림그룹 계열사 매출은 올 상반기 344억원으로 줄었다.
곡물 등 기타 사업부문에서 영업손실이 발생했지만 올 2분기 팬오션의 수익성은 크게 떨어지지 않았다. 매출 비중이 높은 주력 사업군에서 매출이 불어나고, 수익성도 안정화 하면서 영업이익률은 예년과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됐다. 올 2분기 영업이익률은 7.38%를 기록했다.
팬오션 관계자는 "시황예측 및 리스크 관리 등 선제적인 대응력 강화를 통해 안정적인 성장 기조를 이어갈 것"이라며 "신규 진출한 곡물사업에서도 국제적인 경쟁력 확보 및 영업 기반 확대를 위한 노력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삼성 바이오 재편]인적분할에 담긴 과세 고민, '적격분할 요건' 주목
- HD현대건설기계, 울산공장 재편 완료…수출·가동률 '탄력'
- HD현대중공업, 엔진기계 수주 가이던스 70% 달성
- '매각 타진' 케이카, 1분기 수익성 제고 성공
- 신용등급 오른 대한항공, 앞으로가 더 기대되는 배경은
- ‘SUV 신흥 강자’ 노리는 KGM, ‘액티언’으로 정조준
- 동서식품, 사회공헌활동 '강화'…ESG 경영 '고도화'
- [i-point]케이사인, KISA 양자내성암호(PQC) 시범전환 사업 수주
- [i-point]나우로보틱스, 서진오토모티브에 자동화로봇 공급
- [i-point]엔켐, 중국 LFP·ESS용 전해액 공급 확대
고설봉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경영권 위협받는 한진칼]압박수위 높이는 호반, 한진칼 공략포인트는
- [감액배당 리포트]KISCO홀딩스, 대규모 '비과세 배당'...주주연대 '만족못해'
- [영상]항공시장 다크호스 대명소노, 티웨이항공에서 멈춰선 이유는
- [경영권 위협받는 한진칼]한진그룹, LS그룹과 혈맹…리스크 선제적 차단
- [경영권 위협받는 한진칼]'탄탄해진' 한진그룹 지배력...KCGI 분쟁 때와 다르다
- [경영권 위협받는 한진칼]지배구조 취약한 국적항공사…우호지분 45.5% '이상무'
- [항공시장 경쟁체제 점검]에어프레미아, 취항편 늘렸지만 고객 유치 실패
- [항공시장 경쟁체제 점검]티웨이항공, 장거리노선 '정상궤도' 올릴 수 있나
- [감액배당 리포트]엠에스오토텍, 자회사 명신산업 자본금 대규모 회수
- [항공시장 경쟁체제 점검]'다크호스' 대명소노, 티웨이항공에 '올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