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B생명, 변액보험 채권 비중 높여 국내주식형 '선방' [보험사별 실적]채권 30% 편입 수익률 방어 효과
최필우 기자공개 2019-01-16 08:46:45
이 기사는 2019년 01월 14일 15:32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증시 급락 여파로 전체 생보사 국내주식형 변액보험 펀드가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한 가운데, KDB생명의 수익률 하락폭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주식형 변액펀드 내에 채권 편입 비중을 늘려 증시 노출 비중을 줄인 게 주효했다. 국내채권형은 상반기 최하위권에 머물렀으나 하반기 선전하며 부진을 만회했다.14일 theWM에 따르면 지난 2018년(2019년 1월 2일 기준) KDB생명의 국내주식형 수익률은 -11.7%다. 이는 전체 생보사들이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한 가운데 가장 양호한 수준이다. 국내주식형 유형수익률 -15.74%와 비교하면 4.04%포인트 높다.
|
KDB생명의 주력 변액펀드는 '인덱스혼합형2'다. 이 변액펀드는 순자산 1675억원으로 국내주식형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 상장지수펀드(ETF)를 편입해 지수를 추종하는 전략을 사용하면서도 지난해 약세장에서 수익률 하락폭을 줄일 수 있었던 것은 채권 편입 비중이 높기 때문이다. 이 펀드는 주식, 채권, 수익증권에 각각 62.2%, 24.9%, 3.8% 비중으로 투자한다. 주식 비중은 국내주식형 평균과 비슷한 수준이다. 채권 비중은 평균 대비 22%포인트 높고, 수익증권 비중은 26.74%포인트 낮다. 증시 하락에 따른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으면서 수익률 하락폭이 작아진 것으로 풀이된다.
국내주식형 '혼합성장형'과 '혼합성장형(변액종신 보장형)' 역시 채권 비중이 각각 31.2%, 33.1%로 높은 편이다. KDB생명은 안정성을 담보하기 위해 주식형 변액펀드에도 채권을 높은 비중으로 편입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상승장 흐름이 이어졌던 지난 2017년에는 국내주식형 수익률 18%를 기록해 유형수익률을 3.32%포인트 밑돌았다.
국내주식형 순자산은 3363억원으로 928억원(21.6%) 감소했다. 국내주식형 순자산 급감 여파로 전체 변액펀드 순자산은 1091억원(15.6%) 감소했다.
국내채권형은 수익률 3.72%로 유형 평균인 3.58%를 웃돌았다. 상반기 수익률 0.82%로 국내채권형 최하위권에 머물렀으나 하반기에 부진을 만회했다. 상반기 금리인상 속도가 빨라져 편입 채권 듀레이션을 조절하는 데 난항을 겪었으나, 하반기 들어 금리인상 속도가 둔화되면서 안정을 찾은 것으로 보인다.
해외투자 변액펀드는 순자산이 작아 존재감이 미미했다. 해외주식형 순자산은 43억원(25.4%) 감소한 126억원이다. 지난해 9월 '선진국주식형'을 설정했으나 순자산이 18억원까지 늘어나는 데 그쳤다. 해외채권형과 해외기타형 순자산은 각각 13억원, 49억원에 불과하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시노펙스, 갤럭시S21 출시 기념 이벤트 실시
- 유한양행 '레이저티닙' 31호 국산신약 등극
- 규제·분양 줄다리기, 건설사 신용도 '안정적'
- LG헬로비전, 수익성 약화에도 AA급 방어 '이상 무'
- 신성통상, 차입금 부담 가중...하이일드 등급 탈출 요원
- SML제니트리, 코로나 '취합진단' 미국 FDA 승인
- [증권사 커버리지 지도]삼성그룹, 5년내 최대 발행...'1등 파트너' KB증권
- [증권사 커버리지 지도]현대중공업그룹, 핵심 파트너 'KB·NH' 향한 신뢰 굳건
- [증권사 커버리지 지도]롯데그룹, KB·한국 파트너십 공고…삼성 '부상'
- 대성홀딩스, 2월 공모채 500억 착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