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소득층 월평균 가구소득 저소득층 '5배' [신한은행 2019 보통사람 보고서]저소득층 적금·청약, 고소득층 보험·금융상품 투자 선호
김진현 기자공개 2019-04-17 08:45:35
이 기사는 2019년 04월 16일 14시1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국내 고소득층 월평균 가구 소득이 저소득층보다 5배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산 규모는 9배나 차이가 났다.16일 신한은행이 발간한 '2019 보통사람 금융생활 보고서'에 따르면 월 가구소득 700만원 이상인 고소득층 가구가 월 가구소득 300만원 미만인 저소득층 가구보다 4.8배 더 많은 소득을 벌어들이는 것으로 집계됐다. 저소득층이 한달간 벌어들이는 가구소득 평균은 195만원으로 고소득층의 938만원에 비해 743만원 적었다.
가구간 소득격차가 크다보니 사용할 수 있는 잉여자금 격차는 더 크게 벌어졌다. 저소득층은 소비와 저축을 제외한 잉여자금은 13만원에 불과했다. 반면 고소득층은 223만원을 잉여자금으로 활용할 수 있었다. 이는 약 17.6배 차이나는 수치다.
|
저축성향은 저소득층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전체 소득이 적기 때문에 저축 금액은 크지 않았다. 저소득층은 전체 소득 가운데 33.5%(65만원)를 저축에 사용했다. 반면 고소득층 저축 비중은 24%(225만원)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저소득층일수록 적금과 청약상품을 선호했다. 저소득층은 전체 저축 금액 가운데 51.5%(34만원)을 적금과 청약상품에 투자했다. 반면 고소득층은 전체 저축 금액 가운데 35.8%(81만원)가 보험 상품으로 나타났다. 투자상품 선호도도 고소득층이 높게 나타났다. 고소득층은 전체 자산의 8.1%(20만원)를 투자상품으로 저축한 반면 저소득층은 4.2%(3만원)에 그쳤다.
두 계층의 자산 규모는 9배 가량 차이가 났다. 고소득층 평균 자산은 8억9057만원이었다. 반면 저소득층은 9905만원을 보유했다. 고소득층일수록 자산 가운데 부동산 비중이 높았다. 고소득층은 77.8%(6억9286만원)을 부동산으로 보유했다. 저소득층은 61.8%(6121만원)이 부동산이었다. 자산규모가 큰 고소득층이 부채 비중도 높았다. 고소득층은 평균 부채는 1억1182만원이었다. 자산 대비 63%가 부채였다. 반면 저소득층 부채 평균은 3145만원으로 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8%가량으로 낮게 나타났다.
|
한편 국내 경제활동 가구의 57.2%가 부채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부채 잔액은 평균 7249만원이었다. 부채 잔액은 아파트 담보대출 9169만원, 전·월세 자금 대출 4703만원 순 높게 나타났다. 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부동산 관련 대출이 높은 비중을 나타냈다.
신한은행은 지난해 9월부터 10월까지 한달간 시장조사기관 나이스디앤알을 통해 전국 만 20세 이상 64세 이하 직장인 1만명을 대상으로 이메일(E-mail) 조사를 실시했다. 신뢰수준은 95%고 최대 허용 오차는 ±0.98%포인트다. 표본은 성·연령·지역별 모집단 구성비를 고려한 '층화추출법'을 사용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턴어라운드' 가온그룹, 와이파이7 선점 효과
- [i-point]라온메타-마인즈AI, 의사 국가고시 실기시험 제공
- [레페리는 지금]기업가치 산정 '고차방정식', 성장성 인정받을까
- [지앤푸드는 지금]계열 리스크 일단락…비상장사 관리 숙제 여전
- '지분 수증' 신세계 정유경 회장, 남매의 뚜렷한 '대비'
- [지배구조 분석]지주사 체제 정비 삼양식품, 중장기 승계 포석
- [지배구조 분석]삼양라운드스퀘어, 416억 지분 매입 '보유 현금' 활용
- [주주 프렌드십 포커스]현대지에프홀딩스, TSR 40% 육박…플러스 전환 성공
- 젝시미스, 중국 공략 가속화…매장 4곳 추가 오픈
- [코스닥 유망섹터 지도]'국내 피팅 1위' 성광벤드, 북미시장 장악력 '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