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레카운용, 코스닥벤처펀드 잇단 출시…외연확대 '박차' [인사이드 헤지펀드]프리IPO펀드도 곧 설정 예정
이민호 기자공개 2019-04-22 08:38:09
이 기사는 2019년 04월 18일 17:23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지난해 10월 설립된 신생 운용사 유레카자산운용이 코스닥벤처펀드 등 4개 펀드를 한번에 설정하며 외연 확장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유레카운용은 조만간 프리IPO펀드도 출시할 계획이다.18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유레카운용은 이달 들어 4개 펀드를 잇따라 설정했다. 코스닥벤처펀드 2개, 코넥스하이일드펀드 1개, 하이일드펀드 1개다. 4개 펀드 설정액은 총 69억원 규모다.
코스닥벤처펀드인 '유레카코스닥벤처전문투자형사모투자신탁제1호'와 '유레카코스닥벤처전문투자형사모투자신탁제2호'는 각각 30억원과 20억원 규모다. '유레카코넥스하이일드전문투자형사모투자신탁제2호'와 '유레카하이일드전문투자형사모투자신탁제2호'는 14억원, 5억원 규모로 설정됐다. 이들 4개 펀드는 지난해 12월 청산한 펀드 뒤를 잇는 2호 펀드다.
특히 유레카자산운용이 코스닥벤처펀드에 진출한 것은 설립 후 이번이 처음이다. 책임운용을 맡고 있는 장수진 대표가 성장주 투자에 강점이 있는 데다 최근 공모시장이 활황을 보이고 있는 점이 작용했다. 이번 설정한 4개 펀드 모두 한국투자증권이 프라임브로커서비스(PBS)를 맡아 DB금융투자 리테일 창구를 통해 판매했다. 장 대표가 운용을 전담하고 있다.
장 대표는 2011년부터 약 6년간 유리치자산운용에 몸담으며 주식형펀드 매니저로 활약했다. 2016년 10월 전오종 대표가 아너스자산운용을 설립할 때 공동대표이자 최고투자책임자(CIO)로 자리를 옮겼다. 2017년 8월 아너스자산운용을 퇴사한 장 대표는 아크라파트너스를 거쳐 지난해 10월 유레카자산운용을 설립하며 독립했다.
유레카자산운용은 코레이트자산운용으로부터 에쿼티롱숏전략과 공모주전략을 혼합한 펀드를 지난해 12월 말 이관받아 운용 중이다. 이 펀드는 올해 초부터 운용하고 있으며 수익률을 이관 전 대비 4.4%포인트 가량 끌어올린 상태다.
유레카운용은 조만간 프리IPO 투자에도 나설 예정이다. 딜 소싱을 최근 완료하고 펀드자금 조달에 힘을 쏟고 있다. 딜 클로징은 이르면 올 상반기 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위한 헤지펀드 운용역 충원 절차도 진행 중이다.
장 대표는 "올해 하반기 모멘텀 부재상태가 지속되면서 상장주식보다 프리IPO 분야에 수익 기회가 있다고 판단했다"며 "신생 운용사인 만큼 다양한 전략을 취하기보다는 성장주 및 하이테크기업의 프리IPO에 특화된 투자를 집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김연수 한글과컴퓨터 대표, 자사주 매입
- 롯데호텔 서울, 여름 공략 카드 '프리미엄 홈시네마'
- 새마을금고, ‘최빈국’ 라오스에 금융포용 모델 이식
- [Market Watch]미매각 물량, 주관사 '떠넘기기'...발행사들 선넘었나
- [IB 수수료 점검]ICH·수산인더 잇달아 상장, 삼성증권 최대 60억 기대
- '재무구조 개선' 신세계건설, 신종자본증권 규모 줄였다
- 엔씨소프트, '리니지' 신화 넘어설 대안 모색
- 동남아 기프트콘 운영사 쉐어트리츠, 150억 유치 완료
- 첫 중간배당 SFA, 1조 이익잉여금으로 주가 제고 승부
- SK실트론, 하이닉스 기대지 않고 '홀로서기' 성공
이민호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신영운용 재도약의 조건]공룡펀드의 ‘자승자박’…장기부진 독됐나
- [신영운용 재도약의 조건]‘영원한 전략은 없다’ 시장 변화 유연성 부재
- [신영운용 재도약의 조건]잘나가던 가치투자 본가의 ‘날개없는 추락’
- '1조' 펀드 등장에도…레포펀드는 '빙하기'
- 채권 집중 흥국운용, 인수금융펀드 ‘숨은 효자’
- PTR운용 ‘4차산업’ 비상장펀드 투자 성과 ‘쑥쑥’
- 한국증권 GWM, 해외 부동산 ‘공동투자’ 강화
- 황영기의 아이트러스트, 증권사 출신 상품 전문가 영입
- NH헤지, 주전략 ‘메자닌’ 블라인드펀드 추가 설정
- VIP운용, 김민국표 ‘저평가’ 진단 이번에도 적중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