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태펀드, 3차 정시출자 가점 요건 단순화 중소 VC 불리한 항목 덜어내, 대주주 독립성 요건 등 삭제
방글아 기자공개 2019-06-20 08:02:07
이 기사는 2019년 06월 19일 11:26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국벤처투자가 올해 3차 정시 출자사업에서 가점 요건을 단순화하고 선정 배제 기준 중 대주주 독립성 요건을 삭제하는 등 적잖은 손질을 가했다. 모회사 등 다양한 채널에서 자금 조달이 가능한 중소형 벤처캐피탈(VC)들이 상대적으로 수혜를 볼 전망이다.
|
이번 모태펀드 출자사업의 주요 변화는 가점 요건 단순화다. 올해 2차례에 걸쳐 진행한 출자사업에서 운용사 선정 우대 기준을 10가지 이상 제시한 것과 달리 4가지로 좁혀 변화를 꾀했다.
대표적으로 5% 이상 자체 출자 제안, 트랙 레코드 가점 요건이 삭제됐다. 올해 1차에서 최초로 선보인 우대 기준인 5% 이상 자체 출자 제안 가점 요건은 자기자본을 토대로 운용 조합 지분율을 높이기 쉬운 대형 VC들에 유리한 항목으로 평가됐다. 팔로우온 투자, 계정별 주목적 투자 등 기존 트랙 레코드 또한 연혁이 짧은 신생 VC들의 걸림돌로 작용했다.
남은 우대 요건은 △지방·창업초기·여성기업에 30% 이상 보통주 투자 제안 △수도권 외 지역 소재 또는 지역 관계기관 출자 참여 △출자확약서 서면 확인 △외국 자본 10% 이상 출자 등 4가지다. 선정 배제 기준 가운데서는 대주주 독립성 요건(대주주 등 외부 압력으로 독립적 의사결정이 곤란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을 삭제했다.
전반적으로 소규모 VC에 불리하다는 평가를 받은 항목들을 덜어낸 반면 정책 자본의 성격을 강화했다. 시한 내 자펀드 결성을 순조롭게 마칠 수 알짜 중소 VC들에 높은 평가가 이뤄질 것이란 포석으로 해석된다. 최근 벤처 투자 업계 유동성 확대로 VC를 자회사로 두고 그룹 사업과 시너지를 꾀하려는 시도가 늘고 있어 이 같은 VC들에도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란 평가다.
한편 신생 VC들을 중심으로 한 출자사업은 다음 정시를 통해 진행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국회에서 추가경정(추경) 예산안이 통과되면 혁신성장 부문에 대규모 출자금을 배정한 4차 정시를 진행할 전망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상장게임사 리포트]'남매경영' 한빛소프트, 주가 하락에 지배력 확대
- 인프라웨어, K-비대면 바우처 사업 덕 SW 이용률↑
- 브이티지엠피, 펜타곤과 콜라보 통해 일본시장 확장
- '공격적 밸류' 아모센스, 김병규 회장만 구주매출
- [VC 펀드분석]타임와이즈 '중소상생조합', 커머스 연결 징검다리
- [이사회 분석]한신공영, 이사진 '물갈이'…사외이사 충원도
- 신한알파리츠, 1.5조로 덩치 키운다…삼성화재 빌딩 인수
- 대림산업 '지주사' DL, 공정위에 전환 신고 '잰걸음'
- 태영건설, 감사위원 분리선출…상법개정안 충족
- [LGES·SK이노 배터리 분쟁]ITC 최종 판결에도 팽팽한 평행선, 합의는 멀었다?
방글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코스닥 CB 프리즘]'FI 엑시트' 핑거, 주주구성 변화는
- 제우스 일본 자회사, 현지 IPO 추진…중국·대만 공략
- 제우스, '日 반도체사업' 국내 역진출…무역규제 대응
- [코스닥 주총 돋보기]인성정보, 20년만에 감사 교체…에스넷 장악 '마침표'
- [코스닥 주총 돋보기]'이사회 확대' 라온시큐어, 글로벌 사업화 속도낸다
- [코스닥 주총 돋보기]감사위 도입 삼진, 삼성 출신 중용 이어간다
- [코스닥 주총 돋보기]지니언스, 'EDR 퍼스트무버' 로드맵 선보인다
- '초고속 상장' 핌스, 유홍우 연구소장 스톡옵션 잭팟
- [코스닥 CB 프리즘]이엔드디, 1년 새 전환사채 가치 10배 상승 배경은
- [코스닥 CB 프리즘]이엔드디, 평가손실 '80억'…창업주 잭팟 기회 '물거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