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스코스메틱, 생산 부진으로 돌아온 '외형확장책' 빗나간 매출 전망…공장가동률 '10%' 하락
김선호 기자공개 2019-07-24 08:04:00
이 기사는 2019년 07월 22일 15:12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마스크팩 화장품 사업이 주력인 리더스코스메틱이 매출 감소에도 불구 공장 생산능력을 확충한 탓에 공장 가동률 '10%'라는 성적표를 받았다. 리더스코스메틱의 외형확장책이 저조한 공장 가동률이라는 부메랑이 돼 돌아오고 있는 가운데 타격이 더 커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산성앨엔에스는 2003년 코스닥에 상장한 후 2011년 리더스코스메틱을 흡수합병해 골판지 사업에 이어 화장품 영역까지 사업을 다각화했다. 이후 2016년에는 리더스코스메틱으로 상호를 변경하기에 이르렀다. 상호 변경과 함께 골판지 사업부문은 단순 물적 분할했다. 리더스코스메틱 매출 대부분이 마스크팩(90% 이상)에서 나오는 만큼 화장품 사업에 집중해 성장세를 이어나가겠다는 전략인 셈이다.
리더스코스메틱은 2014년 LEADERS COSMETICS SA(스위스), LEADERS COSMETICS 북경유한책임공사, LEADERS COSMETICS VIETNAM CO.,LTD, LEADERS COSMETICS USA INC 자회사를 설립해 해외 시장 개척에 박차를 가했다. 리더스코스메틱은 당시 K-뷰티 인기에 힘 입어 해외 시장에서 가파른 성장을 이룰 것으로 기대했다.
|
이에 따라 공장 생산능력(마스크팩 부직포)도 매년 늘어났다. 2016년 2억1288만8000개의 생산능력은 2017년 2억8246만5000개, 2018년 4억1138만2000개로 증폭됐다. 2014년 자동장비 6대, 수동장비 4대에 불과했던 마스크팩 부직포 생산설비는 최근 부직포 자동장비(2열) 21대, 부직포 자동장비(6열) 22대, 부직포 자동장비(4열) 1대, 전자동장비 1대, 형상자동 2대로 늘어났다.
생산능력과는 달리 리더스코스메틱은 2016년 최고 매출(1813억원)을 보인 이후 지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2017년 '사드 여파'로 인한 악재로 타격을 입은 뒤 회복을 못하고 있는 형국이다. 공장 생산능력은 늘어났으나 매출 감소로 인해 생산실적이 떨어지고 있는 셈이다.
올해 1분기 리더스코스메틱 매출(연결기준)은 전년동기(477억원)대비 52% 하락한 226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의 94%를 차지하는 제품매출액이 179억원으로 전년동기(450억원)대비 60% 하락한 게 주요하게 작용했다. 영업이익은 매출 감소와 판관비 증가로 인해 마이너스(-) 80억원을 보였다.
이로써 리더스코스메틱 공장 가동률은 2016년 84%를 보인 이후 2017년 44%, 지난해 31%로 떨어진 이후 올해 1분기에는 10%까지 추락한 모습이다. 중국향 매출에 기대가 컸던 만큼 '부메랑 효과'로 인한 리더스코스메틱의 타격도 상당한 것으로 분석된다.
리더스코스메틱 측은 매출이 감소하고 있는 상황에서 제품 생산을 늘릴 시 재고자산이 쌓여 회전율에 타격을 입을 수 있어 생산량을 줄일 수 밖에 없었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달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의 왓슨스에 브랜드를 입점시키는 등 동남아 시장 확대를 통한 공장가동률 정상화에 주력하고 있는 모양새다.
리더스코스메틱 관계자는 "중국과 동남아 화장품 시장 확대책은 기존 기조대로 이어나갈 것"이라며 "올해 6월부터 신규 거래가 늘어나 실적을 회복하고 있는 상태"라고 전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수은 조선업 구조조정 리뷰]'아픈 손가락' SPP조선, 1.4조대 손실의 기억
- [VC 펀드분석]미래에셋세컨더리 1호, 기준수익률 10%p 상회 청산
- 뉴지랩파마, '대사항암제' 암 정복 조준…"삶 건강 기여"
- 한국테크놀로지 자회사, 493억 김포 물류센터 추가 수주
- [중견건설사 재무 점검]'워크아웃 벗어난' 신동아건설, 속도내는 재무개선
- [IB 수수료 점검]폭스바겐FSK ‘짠물 수수료’, 수요예측 보상 안하나
- [Rating Watch]SK이노, 단기 재무부담 가중…자금 유출입 균형 관건
- '자본잠식' 석탄공사, 장기CP 발행 대열 합류
- 카카오뱅크·페이 나란히 예심 청구? '제때' 출격 채비
- [하우스 분석]BNK투자증권, 순이익 500억 굳힌다…IB·운용 강화
김선호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퀀텀 점프’ 마켓컬리, '물류·배송' 확장 통했다
- 신춘호의 혜안, 18년전 승계 '갈등없는 남매경영'
- [중소·중견 화장품 이사회 점검]위기의 K뷰티, 롤러코스터 업황 '잠자는 이사회'
- 잇츠한불, 재신임 ‘오너 3세’ 신사업 통할까
- [이사회 분석]선진, 국민연금 반대 '사외이사' 감사위원 후보로
- 잇츠한불, 오너십 한계 '전문경영인' 긴급 수혈
- 신세계·네이버 동맹, 신세계SI '뜻밖의 행운'
- '코로나 충격' 토니모리, 생존 '컨트롤타워' 세웠다
- 한국야쿠르트, '위장간' 신규CF 론칭 기념 이벤트
- LF, 오규식 부회장 '재선임'…2세 승계 숨고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