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금융 GIFT펀드에 4개 운용사 지원 JC파트너스·파라투스인베스트·포스코기술투자·SKS PE' 도전장
강철 기자공개 2019-10-29 08:22:04
이 기사는 2019년 10월 28일 10시1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JC파트너스, 파라투스인베스트먼트, '포스코기술투자-L&S벤처캐피탈', SKS PE 등 총 4곳의 운용사가 한국성장금융투자운용의 신기술사업 활성화 출자사업(GIFT펀드)에 지원했다.한국성장금융투자운용은 28일 4곳의 운용사가 GIFT펀드 사업에 제안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GIFT펀드(Governmental Industrial Fund for new Technology&Commercialization)는 개방형 혁신성장(Open Innovation) 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정부와 시중은행이 조성한 기금이다. 지난달 30일 사업 계획을 발표한 후 한달동안 지원을 받았다.
JC파트너스, 파라투스인베스트먼트, '포스코기술투자-L&S벤처캐피탈' 컨소시움, SKS PE 등이 도전장을 던졌다.
한국성장금융투자운용은 이들 4곳의 후보를 대상으로 서류 심사, 현장 실사, 구술 평가 등을 실시할 예정이다. 평과 결과를 토대로 최종 위탁 운용사 1곳을 선발한다. 늦어도 다음달 중순에는 결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성장금융투자운용이 이번 사업에 출자하는 모펀드의 재원은 350억~500억원이다. GIFT펀드에서 200억~300억원, 성장사다리펀드에서 150억원을 각각 출자한다. 운용사로 선정된 업무집행조합원(GP)은 민간 자금을 매칭해 700억~1000억원의 펀드를 만들어야 한다. 결성총액은 상호 합의로 조정할 수 있다.
펀드의 주요 투자 대상은 소재·부품 분야의 혁신기술 사업화 기업이다. 여기에 약정총액의 60% 이상을 투자해야 한다. 세부적으로 △민간·공공 기술을 사업화하는 곳 △전략사업 밸류체인 또는 연구개발(R&D) 과제를 수행하는 곳 △사업화 연계 기술을 개발하는 곳 △공공 분야 혁신수요 활용을 위해 신기술을 사업화하는 곳 등이다.
TCB 기술 등급이 상위 5등급 이상인 기업도 투자 대상이다. 이들 기업에 약정총액의 80% 이상을 투자한다는 계획을 제출할 시 선정 과정에서 우대를 받는다.
펀드의 운용 기간은 GP가 자율적으로 제안할 수 있다. GP는 결성총액의 약 1.5%를 관리보수로 받는다. 성과보수의 기준 수익률은 IRR 6%다. 8% 이상의 IRR을 달성할 경우 수익의 20%를 추가 인센티브로 받는 풀캐치업(Full Catch up)을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자사주 리포트]두산, 3분의 1만 소각하는 이유는
- [Financial Index/금융지주]신한금융, 부채비율 43%…우리금융 출자여력 '넉넉'
- [Financial Index/SK그룹]절반 이상 PBR '1배 미만', 체면 살린 SK바이오팜
- [Financial Index/LG그룹]그룹 자존심 지킨 에너지솔루션, 2024년 PBR '3.86배'
- [교보생명 SBI저축 인수]SBI홀딩스, '경제적 권리' 70% 합의…실속 챙겼다
- [KT 리빌딩]멈춰선 계열사 늘리기, 이제는 내실 다지기 '집중'
- [i-point]크라우드웍스, '인력양성바우처 지원사업' 공급
- GS칼텍스·현대백 회사채 최저금리…'크레딧 안정성' 부각
- [i-point]큐브엔터, 소속 걸그룹 '아이들' 컴백 확정
- [NPL 자금조달 리포트]대신F&I, 공격적 투자에 단기조달 확대…NPL 매입 '적기 대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