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BS 업무 만족도 조사]'몸집 불린' 미래대우, 서비스 만족도도 가장 높았다계약고 2위, 서비스 '질'도 업그레이드…'주문처리·마케팅' 호평
최필우 기자공개 2020-02-04 13:37:37
이 기사는 2020년 01월 31일 15시3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2019년 한해 헤지펀드 운용사들이 가장 좋은 점수를 준 프라임브로커서비스(PBS) 파트너는 미래에셋대우다. 자산운용사들이 준 점수의 평균이 가장 높았을 뿐만 아니라 주문처리와 마케팅 부문에서 두각을 드러냈다. 2019년말 기준 PBS 계약고 2위에 올라서는 등 외형을 키운 미래에셋대우는 만족도 측면에서도 호평을 받으며 양과 질을 모두 충족시켰다.더벨이 헤지펀드를 운용하는 자산운용사를 대상으로 'PBS 업무 만족도'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미래에셋대우는 24개 운용사들로부터 45점 만점에 33.4점을 얻었다. 이는 전체 PBS 파트너 중 가장 높은 점수다. 설문은 지난 1월 15일부터 29일까지 진행됐으며 각 운용사가 계약을 맺고 있는 PBS에 한해 응답하도록 했다. 대표성을 높이기 위해 전체 헤지펀드 운용사들을 대상으로 전수 조사를 시행했다.
만족도 조사 항목은 PBS의 주요 업무인 △대차(Securities lending & borrowing) △차익거래·신용공여(Cash lending) △스왑(Swaps)·해외지원(Overseas Business) △주문처리(Trading) △시딩(Seeding)·자금 유치(Capital introduction) △위험관리(Risk management) △마케팅(Marketing) △수탁 관리자(Custodian)였다. 여기에 전반적인 업무에 대한 만족도를 볼 수 있는 항목을 추가해 총 9가지 항목에 대한 조사가 이뤄졌다.

미래에셋대우가 가장 좋은 평가를 받은 항목은 주문처리다. 주문처리 점수는 3.88점으로 전체 PBS 평균인 3.75점을 웃돌았다. 미래에셋대우가 경쟁사 대비 헤지펀드 운용사들의 주문을 가장 빠르고 정확하게 처리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내부 조직을 정비해 업무 영역간 원활한 의사소통을 가능케 한 게 수준 높은 서비스로 이어졌다.
또 마케팅 측면에서도 호평받았다. 마케팅 점수는 3.72점이었다. 업계 평균이 3.47점에 그쳤던 점을 감안하면 헤지펀드 운용사들이 미래에셋대우의 마케팅 역량에 높은 점수를 줬음을 알 수 있다.
미래에셋대우는 PBS 서비스를 이용하는 헤지펀드 운용사가 투자한 기업들의 IR 주최를 돕는 등 운용사 관리에 정성을 기울였다. 해당 운용사의 포트폴리오를 알리는 동시에 피투자기업들이 후속 투자를 유치할 수 있게 도왔다. 이같은 노력이 마케팅 점수에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1위를 차지한 분야 외에도 전반적으로 좋은 점수를 받았다. 미래에셋대우가 6개 PBS 파트너 중 가장 낮은 점수를 받은 항목은 하나도 없었다. 경쟁사와 비교하지 않고 미래에셋대우의 항목별 점수만 보면 가장 낮은 점수를 받은 항목은 차익거래였다. 차익거래 항목은 3.52점을 받았다. 하지만 이는 6개 증권사 중 3위에 해당하는 점수로 해당 부문에서 부진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미래에셋대우 PBS를 이용하는 헤지펀드 운용사 관계자는 "특정 분야에 약점이 없어 전반적인 서비스에 만족감을 느끼고 있고 작은 사안에 대해서도 섬세하게 논의를 나누고 있다"며 "시드머니 등을 제공할 때도 업계 분위기에 휩쓸리기 보다 일관된 기준을 가지고 있어 공고한 파트너십을 맺을 수 있는 곳"이라고 평가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한국GM, 내수부진에 자산 매각…철수설 재등장하나
- 나이벡, 美 바이오사에 '계약금 109억' 섬유증 물질 기술이전
- 현대차, 아이오닉 시리즈 50만대 벽 넘었다
- [i-point]그리드위즈, 2024년 ESG 보고서 공개 "탄소배출 감축 성과"
- [i-point]빛과전자, 삼성전자 우수협력사 우수상 수상
- [코스닥 상장사 매물 분석]KH그룹, 대양금속 손 떼고 빛과전자 인수 선회
- [i-point]투비소프트, 자연어 모델 활용 프로그램 생성 특허 획득
- [i-point]ICTK, 양자 기술 기업 BTQ와 전략적 MOU
- 한투운용 'ACE 빅테크7+커버드콜', 두자릿수 배당률 눈길
- 이지스운용, 스페인 '네슬레 HQ' 매각…손절 선택
최필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금융사 임베디드 동맹 분석]인뱅 플랫폼에 지방은행 자본력 얹었다
- [iM금융 시중은행 전환 1년]전국구 금융그룹 걸맞은 경영진 갖췄다
- [금융사 임베디드 동맹 분석]JB금융, 기업금융·외국인 대출 핵심 '핀테크 연합'
- [금융사 임베디드 동맹 분석]우리은행, BaaS 신사업에 기업금융 경쟁력 십분 활용
- [iM금융 시중은행 전환 1년]'PRM 여신' 4조 돌파, 탄력받은 아웃바운드 영업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은행·자산운용과 시너지, 임종룡 회장 리더십에 달렸다
- [iM금융 시중은행 전환 1년]포트폴리오 리밸런싱 한창…가계대출 '40%' 고지 보인다
- [금융사 임베디드 동맹 분석]하나은행, '당근·네이버' 손잡고 자금조달 경쟁력 강화
- [iM금융 시중은행 전환 1년]'외형 성장' 아닌 '체질 개선' 택했다
- [금융사 임베디드 동맹 분석]신한금융, 더존비즈온과 'ERP 뱅킹' 야심찬 청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