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앤씨바이오, 中 우려 해소 "CICC 1차 출자 완료" 합작사 설립 직후 2300억 밸류…1차 100억 납입 완료, 2차 122억 예정
서은내 기자공개 2020-12-24 14:36:35
이 기사는 2020년 12월 24일 14시34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엘앤씨바이오의 중국 합작법인이 중국국제금융공사(CICC)의 1차 자금 납입을 완료했다. 그간 CICC의 출자가 지연되면서 엘앤씨바이오의 중국 진출에 대한 시장의 우려가 이어졌다. 중국 조인트벤처가 설립 직후 곧바로 2300억원의 투자 가치를 인정받고 이번에 해당 밸류로 1차 자금납입이 마무리되면서 그간의 우려를 해소할 것으로 관측된다.24일 업계에 따르면 엘앤씨바이오가 지난 6월 설립한 중국 조인트벤처 'L&C BIO China'는 이날 중국 최대 투자은행인 CICC로부터 총 900만달러(약 100억원)의 자금을 유치했다. CICC는 엘앤씨바이오 중국사업의 핵심 파트너이자 'L&C BIO China'의 주요주주로 함께 회사를 경영하게 된다.
CICC가 설립 초기 납입할 예정인 자금은 총 2000만달러(약 230억원)다. 이번에 1차로 900만달러를 납입했으며 나머지 1100만달러도 2차로 곧 투입될 예정이다. CICC는 엘앤씨바이오의 피부이식재 개발 관련 기술과 사업성을 평가한 후 설립하자마자 합작사 투자가치를 2300억원으로 평가했다.
엘앤씨바이오는 지난 6월 합작사 설립과 함께 48억원을 출자했으며 이후 일부 중국 지역 투자사들이 추가 출자해 67% 지분을 보유 중이다. CICC의 1, 2차 자금 납입 후에도 엘앤씨바이오는 최대주주로서 지분율은 약 57%로 유지되며 CICC는 10%, 나머지는 중국 파트너사가 보유한다. 합작사 대표이사는 이환철 엘앤씨바이오 대표가 맡았다.
지분율과 상관없이 CICC는 합작사 이사회 보드멤버 5인 중 2명으로 참여해 엘앤씨바이오와 함께 엘앤씨바이오 차이나를 경영한다. 이환철 대표는 "매출 1조원 달성 및 중국 IPO의 꿈을 위한 중국 인체조직 시장 진출이 본격화됐다"며 "CICC로부터 투자받아 의료기기 분야 국내 최초 합작사를 설립했다는 점도 큰 의미를 두고 있다"고 소감을 전했다.
CICC는 중국건설은행과 모건스탠리가 합작한 중국 최초 외자합작투자은행이다. 엘앤씨바이오가 CICC와 손을 잡았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엘앤씨바이오의 성장성에 대한 기대감을 크게 높였다. CICC는 IB부문 중국 1위 증권사이면서 제약 의료기기 산업에의 투자 및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설립 직후 곧바로 진행되리라 여겨졌던 CICC의 자금 납입은 예상보다 더뎠다. 엘앤씨바이오의 중국사업에 대한 시장에서의 의문과 우려가 커져갔고 여러 루머들도 난무했다. 고공행진하던 엘앤씨바이오 주가가 고점이었던 10월 이후 최근까지 30% 가까이 하락한 것도 이같은 이유에서다.
이환철 대표는 "자금 납입이 지연되면서 중국이라는 지역 특성과 겹쳐 엘앤씨바이오의 중국 사업이 좌절됐다거나 사기라는 식의 잘못된 소문들이 많았다"며 "내부적으로는 이미 CICC와 사업이 진행되며 탄탄한 신뢰관계를 형성하고 있었음에도 뚜렷하게 사실을 바로잡기 어려웠다"고 말했다.
그는 또 "11월 초까지는 자금납입이 완료될 예정이었지만 코로나 사태 및 외환으로 거래돼야 하는 절차상의 복잡한 이슈가 얽혀 지연되며 답답한 상황이었다"며 "중국 사업은 단순히 중국 자금만 유치하는 것이 아닌, 신뢰도 높은 투자기관의 적극적인 지원아래 성과를 함께 공유할 수 있다는 믿음을 기반으로 시작된 것"이라고 강조했다.
엘앤씨바이오는 국내에서 피부이식재 국산화에 성공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중국 시장 공략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 중국에서 생산, 판매하기 위한 제반 작업들은 이미 진행 중이다. 공장설립과 제품 인허가를 위해 CICC 측과 화상 미팅으로 연일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다.
이 대표는 "내년 3월 경 공장 설립에 돌입하기 위해 설계 중이며 중국 1위 CRO 타이거메드 등 중국 파트너와 중국에서 NMPA(CFDA) 인허가 작업을 준비하며 협업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 "신종 감염 사태로 어려운 상황에도 불구하고 매일 컨퍼런스 콜을 통해 중국법인 설립을 도와준 CICC와 관계자들에게 감사한 마음이 크다"며 "이번 새해는 중국진출을 비롯해 엘앤씨바이오 글로벌화의 원년이 될 것이라 확신한다"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금호건설, 부산 에코델타시티 내 첫 '아테라' 공급
- 상지건설, 공식 입장문 발표
- 'KKR 블록딜' HD현대마린, 안정적 투자수요에 '주가 안정'
- [영상]고배당 매력 신한알파리츠, 투자 포인트는
- [i-point]해성옵틱스, '혁신성장형 벤처기업' 재인증
- [i-point]GXD-Bio, 에이비온과 손잡고 글로벌 특허 침해소송 제기
- [i-point]오르비텍, KAI와 KF-21 기계가공품 공급 계약 체결
- [i-point]엔켐, 중국 이차전지 소재사 2곳 '전략적 지분투자'
- [i-point]미래컴퍼니 외과학회 학술대회서 '레보아이' 공개
- [보험사 신성장 동력]'최초 요양업' KB라이프, 프리미엄 차별화 전략
서은내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대기업 문화재단의 진화]리움, 늘어난 소장품 구입액…미술관 운영실적 '상승가도'
- JYP엔터, 새로운 실험 '이닛엔터' 키우기 속도
- 아트와 파이낸스는 대척점에 있을까
- '퐁피두 키우기' 한화문화재단, 이성수 신임 대표 선임
- [영상/Art Feed]1000억 짜리 자코메티 조각 공개…삼성 리움미술관 소장품전
- [Auction Highlights]서울옥션, 300호 이우환 대작의 향방 주목
- [Auction Highlights]케이옥션, '영업력 집중' 출품작 100점 이상 매달 유지
- [Company Watch]NEW, '탄탄한 성장세' 콘텐츠판다 손잡고 분위기 전환
- [대기업 문화재단의 진화] 삼성, 미술관 운영 관리 '촘촘'…이사회 산하 4개위 주목
- [대기업 문화재단의 진화]삼성 오너가 문화예술 철학이 이룬 60년의 가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