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 연봉 184억 '2배 껑충' 역대 최고치, 실적·주가상승 성과…ICT 연봉킹 유력
원충희 기자공개 2021-02-19 08:24:26
이 기사는 2021년 02월 18일 08시1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사진)의 지난해 연봉이 184억원으로 2배가량 늘면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수익지표는 물론 주가도 70% 이상 오른데 따른 보상으로 올 초 상향된 이사보수한도 200억원(7인 기준) 가운데 김 대표 한 사람의 연봉이 92%에 이른다.18일 게임업계에 따르면 엔씨소프트가 지난해 등기이사 7인에게 지급한 보수총액은 195억2655만원이다. 1인당 평균 27억8950만원을 준 셈이다. 보수한도(200억원) 대비 지급률은 97.6%로 이사들에게 줄 수 있는 연봉총액 상한에 근접한 수준이다.

그렇다면 나머지 189억원은 사내이사와 기타비상무이사의 몫이 된다. 엔씨소프트는 기타비상무이사에 대해 성과보수를 적용하지 않아 박 대표의 보수는 2019년(4억6500만원)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제외한 184억원이 김 대표의 연봉이란 계산이 나온다.
이는 전년(94억5000만원)대비 2배가량 늘어난 수준이다. 김 대표가 지금껏 받은 보수 가운데 사상 최고치다. 그는 인터넷·게임 등 ICT업계 최고경영자들을 통틀어 늘 연봉킹으로 꼽혔던 인물이다. 2020년에도 김 대표의 보수가 가장 많을 것으로 점쳐지는 이유다.
보수상향 요인은 실적이다. 지난해 엔씨소프트의 매출액은 전년 대비 42%, 영업이익은 72%, 세전이익은 62%, 당기순이익은 63% 늘었다. 1997년 회사 창립 이래 최고의 성과다. 엔씨소프트 측은 "성과뿐 아니라 작년 말 기준 당사의 주가는 전년 대비 72% 상승했다"며 "같은 기간 코스피 상승률이 30%인 점과 비교해도 2배 넘는 수준"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김 대표의 연봉은 엔씨소프트의 실적과 비례해 움직이는 경향이 있다. 2017년 엔씨소프트의 영업이익이 5850억원으로 2016년(3288억원)보다 2000억원 이상 증가하자 그의 보수도 24억원에서 62억원으로 껑충 뛰었다. 반면 2019년에는 전년 대비 22% 감소한 4790억원에 그치자 연봉은 138억원에서 94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는 글로벌 시장에서 다양한 게임 플랫폼을 통해 출시될 다수 신작의 성과가 연봉수준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엔씨소프트 측은 탄력적인 경영진 보상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해 2021년 이사보수한도를 2020년과 동일한 수준으로 유지키로 했다.
엔씨소프트는 지난해 3월 정기주주총회에서 이사 7인에 대한 보수한도를 기존보다 50억원 늘린 200억원으로 상향하는데 성공했다. 대주주인 국민연금은 통상 보수한도 상향에 반대표를 던지는 경우가 많았으나 엔씨소프트의 제안에는 찬성해 힘을 실어줬다.
지난 7년(2013~2019년) 동안 이사보수한도 누적인상률이 25%에 불과하며 상향 횟수도 1회에 그친 반면 회사의 매출액, 영업익, 순익은 모두 2배 이상 늘었고 주가는 3배 이상 상승했다는 회사 측의 설득이 먹혔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비상경영체 돌입' SKT, 유심 사태 수습 '총력전'
- 위메이드 "위믹스 해킹 늑장공시 아니야…DAXA 기준 불분명"
- [Market Watch]DN솔루션즈 이어 롯데글로벌까지, 대형 IPO '휘청'
- [롯데글로벌로지스 IPO]흥행 실패 우려, 결국 상장 철회로 귀결
- [AACR 2025]제이인츠 'JIN-001', 독성 최소화한 '저농도' 효능 입증
- [Financial Index/SK그룹]주가상승률 50% 상회, SK스퀘어 'TSR' 그룹내 최고
- 금호타이어, 분기 '최대 매출'…영업이익은 '주춤'
- 유지한 SKC CFO "트럼프 관세, 위기보다 기회"
- [i-point]신테카바이오, 'K-BioX 글로벌 SUMMIT 6' 참여
- 간추려진 대명소노그룹 선택지, '티웨이'에 집중
원충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이사회 분석/한화오션]지분 파는 2대주주 산은, '의결 참여권' 향방은
- [지배구조 분석/한진칼]외부주주들 영향력 확대, '양날의 칼' 우군
- [Financial Index/금융지주]자본력 풍족한 KB, 보완자본 의존도 큰 우리
- [지배구조 분석/신영증권]자사주만 51%, 소각 못하는 이유
- 코리안리의 지배구조 시험대
- [지배구조 분석/코리안리]원종규의 오너십, 자사주+백기사 '이중방벽'
- [지배구조 분석/두산]오너 개인보다 가문…'친족경영'으로 지배력 보강
- [지배구조 분석/엔씨소프트]김택진, 지분 희석 보완책 '백기사'
- [지배구조 분석/네이버]지분에 기대지 않는 창업자 이해진
- [2025 대한민국 사외이사 인식 조사]10명 중 4명은 겸직…사외이사 인력풀 확대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