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락업 해제' SK바이오팜 우리사주, 기대수익 '반타작' 임원 9인, 22만주 보유 공시…상장 초 대비 주가 절반 수준
임정요 기자공개 2021-07-15 08:44:27
이 기사는 2021년 07월 14일 15:45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SK바이오팜 우리사주 보호예수기간 1년이 지난 1일 종료됐다. 총 244여만 주가 매각 제한이 풀린 가운데 항암연구소장, 신약개발사업부장 등 임원 9명이 22만주 가량의 우리사주 보유를 공시했다. 공모가 대비 상당한 차익이 예상되지만 상장 초기 26만원대까지 올랐던 주가를 고려하면 아쉬울 수밖에 없어 보인다.SK바이오팜은 작년 7월 주당 공모가 4만9000원에 상장했다. 당시 공모주의 20%인 266만2650주를 우리사주조합에 우선배정했는데 보호예수 기간 1년을 회피하려 퇴사를 선택한 이들도 적지 않았다. 상장 직후 전체 임직원 218명 중 15%에 달하는 34명 직원이 이탈했다.


13일 발표된 회사 공시에 따르면 SK바이오팜 항암연구소장, 신약개발사업부장, 신약개발부문장, R&D혁신본부장, 전략&투자부문장, 사업개발본부장, 전략본부장, 재무본부장, 기업문화본부장 등 9명은 이달 초 우리사주 인출을 통해 각각 1만4000주~4만주 가량의 주식 보유를 신고했다.
이들 가운데 가장 많은 주식을 임원은 유창호 SK바이오팜 전략&투자부문장이다. 이틀에 걸쳐 도합 4만816주를 우리사주로 인출하며 0.05% 지분 보유를 밝혔다. 이기호 신약개발부문장의 경우 3만7308주를 확보했다.
앞서 1분기엔 SK바이오팜 최대주주인 SK Inc가 지분 860만주(11%)를 주당 12만9800원에 장외매각하며 1조 1162억원 가량의 자금을 확보하기도 했다. 해당 블록딜 소식에 회사 주가는 17% 하락했다. SK주식회사는 블록딜 후에도 SK바이오팜 64% 지분을 가졌다. 회사는 매각대금으로 바이오를 포함한 다방면으로 투자 포트폴리오를 강화하겠다 말했다.
한편 SK바이오팜은 국내 최초로 신약후보물질부터 개발완료까지 독자적으로 진행한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를 2019년 FDA 품목허가 받았다. 세노바메이트는 작년 5월 미국에 출시해 해외계열사인 SK라이프사이언스를 통해 판매되고 있다. 한국·중국·일본에선 대규모 임상 3상이 2024년 10월 마무리될 예정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 모니터]서울보증보험 주관사 'KB·NH·미래·삼성·한국' 5파전
- 아이씨케이, 신용카드 판매 호조 덕 흑자 전환
- '비만 치료제 개발' 글라세움, 코스닥 예심 청구
- 코웨이, 아이콘 얼음정수기 주문량 폭발…공장 풀가동
- '수출 호조' 한국맥널티, 상반기 최대 매출 달성
- '디지코' KT, 온실가스 관제 솔루션 대외 활용 구상
- "컴투스 메인넷의 목표, 블록체인 진입장벽 지우기"
- SKT, 'Scope3'까지 철저 관리…외부서도 로직 인정
- [갤럭시언팩 2022]삼성전자, '폐어망 부품화' 10년 노력 빛…관건은 가격
- KT알파, 안정적 매출 성장 지속…8할은 '커머스' 몫
임정요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바이오 소부장' WSG, 263억 시리즈 B 유치
- [제약바이오 옥석가리기]'의료기기 멸균' 플라즈맵, IPO 밸류 최대 1870억
- IPO 나선 소바젠, 고바이오랩 박철원 대표 영입
- [제약바이오 옥석가리기]'전자약 개발' 와이브레인, IPO 밸류 1000억 가능할까
- 오리엔트바이오, 1분기 흑자전환…'분기최대 영업익'
- 임상 중단할 용기도 필요하다
- SK케미칼이 선택한 '치매 인지개선' 이드웨어는
- 한미 임종윤의 디엑스앤브이엑스, CDMO로 살길 모색
- 고바이오랩, 각자대표 대신 고광표 1인 체제로
- "바이오 기술성평가 표준화, 빠르면 연말 윤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