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각 추진 윈팩, 시장 관심은 '미지근' 일부 원매자 이탈…사업안정성 취약 '걸림돌'
조세훈 기자공개 2021-08-10 07:58:44
이 기사는 2021년 08월 09일 10시2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반도체 후공정 패키지 및 테스트 전문기업 윈팩의 경영권 매각이 추진 중이지만 시장의 반응은 신통치 않다. 원매자들은 반도체 업황 개선으로 실적이 개선됐으나 특정 기업에 매출 의존도가 쏠려 있어 사업 안정성이 낮다는 점에 주목했다. 일부 원매자들이 관심을 접으며 흥행 가능성이 높지 않을 것으로 점쳐진다.
시장에서는 윈팩 매각이 속도감 있게 추진되고 있지만, 성사 가능성은 불투명하다는 평가를 내리고 있다. 잠재 원매자들이 윈팩의 사업안정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기 때문이다. 윈팩은 SK하이닉스의 국내 반도체 패키지 외주(OSAT) 업체 3곳 중 한 곳이다. 지난해 매출 중 SK하이닉스가 차지하는 비중은 76%로 단일 회사 의존도가 높다.
문제는 반도체 업황의 변동성이 높다는 점이다. 윈팩은 SK하이닉스가 외주 물량을 줄인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심각한 실적 악화에 시달렸다. 매년 대규 적자를 기록하며 5년간 430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SK하이닉스의 벤더사로 자리잡으면서 가격 협상력도 낮다는 평가다. 반도체 후공정 사업 분야에서 패키지 및 테스트 분야는 진입장벽이 상대적으로 낮다. 가격 협상에 불리한 탓에 윈팩의 지난해 영업이익률은 5% 남짓이다.
IB업계 관계자는 "일부 원매자가 진지하게 협상에 나섰으나 최종적으로는 인수전에서 발을 뺐다"며 "전략적투자자(SI)가 관심을 갖지 않으면 성사까지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여기에 주요 매출처인 SK하이닉스의 동의도 사실상 필요하다. 대기업은 주요 벤더사의 경영권 변동이 자칫 안정적인 생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한다. 때문에 원매자의 평판이 거래 성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다른 IB업계 관계자는 "반도체 업황이 개선되면서 이 분야 기업들에 대한 시장의 관심이 대폭 높아졌다"면서도 "윈팩은 수익성과 사업 안정성이 상대적으로 열위에 있어 업계의 관심이 적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샌즈랩, 지식재산 경영인증 획득… IP 포트폴리오 강화 박차
- [i-point]한컴케어링크, 3년 연속 질병관리청 생산 과제 수행기관 선정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vs 라인메탈]주가만으로도 확실한 환원, 미래투자 차이점은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vs 라인메탈]안정적 배당 추구 vs 적극적 주주환원에 '알파'도 기대
- 교보생명, 보장성 비중 축소 속 실적·CSM 동시 감소
- BC카드, 신사업 선전에도 본업 매출 축소
- 푸본현대생명, 환율 변동성에 투자부문 적자
- 코리안리, 보험계약마진 증가… 킥스비율도 우상향
- [저축은행 서민금융 리포트]정책자금대출 경쟁 붙은 지주계, 앞서가는 하나저축
- 현대캐피탈, 본업 경쟁력으로 손익 방어…사옥 매각익 반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