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 등급 분석]'페인트 명가' 노루그룹, ESG도 '명가' 될까노루홀딩스·페인트, 전년 대비 등급 '비약적' 상승
박기수 기자공개 2021-11-08 08:21:12
이 기사는 2021년 11월 05일 08:35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올해 ESG 경영에 힘썼던 페인트업계 강자 노루그룹이 결실을 맺었다. 국내 ESG 평가기관인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로부터 작년 대비 훨씬 나은 평가를 받았다. 노루그룹의 지주사 노루홀딩스와 핵심 계열사인 노루페인트 두 곳 모두 단숨에 페인트업계의 'ESG 모범 사례'로 거듭났다.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KCGS는 올해 노루홀딩스와 노루페인트의 ESG 통합 등급으로 각각 A, B+를 부여했다. 작년 노루홀딩스는 KCGS로부터 C등급을, 노루페인트는 B등급을 부여받았던 바 있다.
세부 항목을 살펴보면, 작년 노루홀딩스는 환경·사회·지배구조 부문에서 각각 C등급, B등급, C등급을 부여받았다. KCGS의 C등급은 '취약' 수준이다. 다만 올해는 환경 부문이 A등급을, 사회와 지배구조 부문이 각각 A+, B+등급을 부여받았다. '취약'에서 '우수'로 단숨에 뛰어올랐다.
노루페인트는 작년 환경과 사회, 지배구조 부문 모두 B등급을 받았다. 올해는 환경은 A등급, 사회·지배구조 부문은 각각 A+, B+등급으로 상승했다.
노루그룹의 ESG 경영 드라이브는 올해부터 시작됐다. 노루페인트는 올해 초 대표이사 산하에 'ESG경영추진실'을 신설했다. 이외 올해부터 자발적으로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제출하는 등 이해관계자들을 대상으로 비재무적 활동 내역을 보다 투명히 공개하기 시작했다.

노루홀딩스 역시 대표이사 산하의 '바이오융합연구소'에서 작년 친환경 바이오 소재 상용화 기술 개발에 성공하는 등 친환경 행보에 강한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는 작년 말 노루홀딩스 산하 바이오융합연구소에서 개발한 '3HP(3-하이드록시 프로피온산)'다. 옥수수유·팜유 등 천연 재료에서 바이오 공정을 통해 생산되는 3HP는 다양한 형태로 응용 개발이 가능해 다목적 화학물질(플랫폼 케미칼)로 불린다. 생리대와 기저귀내 흡수성 수지(SAP)와 자연 분해 가능한 플라스틱, 도료용 용매 등 방대한 영역에 적용이 가능하다.
한영재 노루홀딩스 회장의 사회 공헌도 등급 상승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작년 말 한 회장은 문화예술 단체 및 인프라 지원을 통해 지역문화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2020 메세나대상'에서 '메세나인상'을 수상했다. 메세나대상은 한국메세나협회가 문화예술 발전과 국민의 예술 향유 확대에 기여한 기업이나 인물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당시 한 회장은 "우리 사회 문화 격차를 줄여 사회에 공헌한다는 노루그룹의 사회적 책임의 실천"이라고 소감을 밝혔던 바 있다. KCGS가 'ESG 모범규준'을 통해 기업의 지역사회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를 강조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한 회장의 활동이 등급 상승에 긍정적 영향을 끼쳤다고 해석할 수 있다.
노루홀딩스 이사들의 이사회 출석률도 작년보다 진보한 모습을 보였다. 올해 상반기 말 기준 노루홀딩스 사내이사들의 이사회 출석률은 90%로 작년 이사회 출석률(81.4%)보다 높아졌다. 특히 그룹 회장인 한영재 회장은 작년 출석률이 66%에 불과했지만 올해는 80%를 기록 중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코웨이, 아이콘 얼음정수기 주문량 폭발…공장 풀가동
- '수출 호조' 한국맥널티, 상반기 최대 매출 달성
- '디지코' KT, 온실가스 관제 솔루션 대외 활용 구상
- "컴투스 메인넷의 목표, 블록체인 진입장벽 지우기"
- SKT, 'Scope3'까지 철저 관리…외부서도 로직 인정
- [갤럭시언팩 2022]삼성전자, '폐어망 부품화' 10년 노력 빛…관건은 가격
- KT알파, 안정적 매출 성장 지속…8할은 '커머스' 몫
- [사면의 경제학 2.0]삼성 오너가, 사면으로 본 경영·투자 효과
- 모처럼 기지개 켠 NEW, '콘텐츠 밸류체인' 효과 봤다
- 팰콘제이파트너스, 반년만에 재차 '시정명령' 받은 이유는
박기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IPO 철회는 죄가 아니다
- [IR 리뷰]움츠렸던 동국제강, IR 재개 언제쯤
- [레버리지&커버리지 분석]투기 등급이었던 동국제강의 '부활'
- CSP와 이별한 동국제강, 최대 수확 '리스크 제거'
- [한화 사업구조 재편]지주사 전환 신호탄 이후…그룹 재편 남은 과제는
- [한화 사업구조 재편]㈜한화·한화에어로, '규모의 경제' 구축한다
- [CFO 인사 코드]SK그룹 재무라인 '엘리트 코스', SK㈜ 재무1실
- [현대오일뱅크 IPO]외부 변수에 HD현대 또 '백기'…시장 반응은
- '크레딧 라인' 확보하는 SK온…프리IPO는 '신중'
- [CFO 인사 코드]SK㈜ CFO는 차기 CEO '시험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