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너셈, 하나마이크론 향 공급 확 늘린다 SK하이닉스 후공정 투자 확대 수혜, 테스트핸들러·쏘싱귤레이션 수요 점증
조영갑 기자공개 2022-01-04 08:24:22
이 기사는 2021년 12월 31일 12:41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반도체 후공정 장비 제조사 제너셈이 하나마이크론 향 후공정 장비의 입고를 늘리고 있다. 엔드유저(SK하이닉스)가 베트남 향 투자를 대폭 확대하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 특히 한미반도체와 특허소송으로 양산공급이 지연됐던 '킬러 아이템' 쏘 싱귤레이션(Saw singulation)도 하나마이크론 데모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어 내년 대량 공급의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31일 업계에 따르면 제너셈은 4분기 테스트 핸들러 30여대를 하나마이크론에 공급한 데 이어 2022년 1분기 추가 물량을 입고할 계획이다. '리필오더(추가주문)'의 물량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다만 SK하이닉스가 하나마이크론 향 후공정 패키징, 테스트 관련 투자를 늘리고 있어 이에 공급물량이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제너셈 역시 16para 테스트 핸들러 등 후공정 장비의 제작을 서두르고 있다. 제너셈은 11월 하나마이크론과 56억원 규모의 테스트 핸들러 1차 공급계약을 맺었다. 해당 제품은 현재 하나마이크론 아산공장에 입고돼 베트남 선적을 기다리고 있다. 이미 제너셈 매출액에도 산입됐다.
업계 관계자는 "하나마이크론 베트남법인(하나마이크론비나)에 1월 중에 이설될 것"이라면서 "로직(비메모리) 테스트 용은 아니고 엔드유저(SK하이닉스)가 생산하는 D램, 낸드플래시 칩 후공정 라인에 투입된다"고 말했다.
2022년 초 2차 공급도 예정돼 있다. 고객사의 투자 윤곽이 확정되지 않아 구체적인 PO(구매주문)이 나온 상황은 아니지만 1차 공급에 비해 물량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대용량 서버용 SSD 등의 글로벌 수요가 크게 늘고 있어 SK하이닉스 역시 후공정 임가공 투자를 확대, 하나마이크론과 제너셈 등 벤더사들이 이에 대한 수혜를 받을 전망이다.
제너셈이 가장 큰 기대를 걸고 있는 '쏘 싱귤레이션(Saw singulation, 모델명 Veloce-G7)' 장비 역시 하나마이크론과 데모 테스트가 예정돼 있다. 쏘싱귤레이션은 패키지 절단, 세척 및 건조, 검사(Vision Inspection), 물류까지 처리하는 후공정 '올인원' 제품이다. 제너셈의 고부가가치 전략장비로 꼽힌다.
올 초 한미반도체가 제너셈의 쏘 싱귤레이션(한미반도체 제품명 : 비전플레이스먼트)을 대상으로 기술침해 소송을 제기, 양산공급이 지연됐지만 최근 형사소송이 완료되고, 민사 관련 조정이 진행되면서 공급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한미반도체를 대상으로 보상비용 조정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만큼 그동안 제너셈의 발목 잡았던 쏘 장비 관련 '리걸이슈'가 해소될 것"이라고 말했다.
제너셈 본사에서 장비 제작에 돌입했고, 1월 중순 하나마이크론 아산공장으로 입고될 전망이다. 이 역시 하나마이크론 베트남법인 향이다. 다만 엔드유저와 하나마이크론의 퀄(품질인증)을 획득한 상황이 아니라 양산배치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린다. 1월 하나마이크론의 데모 테스트 라인에 투입돼 3개월에서 6개월 간 테스트를 거쳐 퀄을 획득하면 2022년 2~3분기에 양산공급이 이뤄지는 구조다.
제너셈 관계자는 "국내 OSAT(후공정외주가공업체)의 설비투자가 확대되고 있기 때문에 테스트 핸들러와 쏘 장비의 수요도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면서 "쏘 싱귤레이션 역시 양산검증을 마무리하면 2022년 대량 공급의 길을 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VC 팔로우온 투자파일]유안타인베, '바이오녹스' 시리즈B 브릿지 투자 견인
- 브랜드엑스, 일상복까지 점령 판매량 '고공행진'
- 케이피에스, 세기리텍 품고 실적 '퀀텀점프'
- 정태영 부회장 “한국 페이먼트 이정표 되는 날”
- 맞춤 수면시대 연 코웨이 '비렉스 스마트 매트리스'
- [증권사 IB, 유상증자 비즈니스 전략]'Industry3부' 신설 효과, NH증권 코스닥 실적 '최대'
- 시노펙스, 국내 최초 나노급 ePTFE 설비 구축
- [챗GPT발 AI 대전]국내 첫 GPT-3 서비스 꺼낸 SKT, 7년을 갈고 닦았다
- [삼성SDI 로드 투 아메리카]해외 R&D 허브 보스턴, 배터리 경쟁력 백년대계 담당
- [챗GPT발 AI 대전]엔비디아 GPU에 도전하는 국내 팹리스들
조영갑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시노펙스, 국내 최초 나노급 ePTFE 설비 구축
- '500억 조달' 보백씨엔에스, 이차전지 승부수 던졌다
- 'IPO 마이크로투나노' 지분 쥔 리노공업, 차익실현 나설까
- 메디에이지, 매일헬스뉴트리션과 헬스케어 협력 '맞손'
- 에이루트, 환기종목 탈피 '투명성·펀더멘털 강화'
- [코스닥 주총 돋보기]'2세 경영' 시동 건 제이티, 지분증여·승계는 과제
- '김민용호 1년' 핌스, 올해 승부처는 '삼성디스플레이'
- '배당왕' 리노공업, 이채윤 회장 4년간 420억 배당
- '주주환원 총력' 커넥트웨이브, 5년간 자사주 85% 소각
- 가온미디어, 중동·북아프리카 AI OTT 공급망 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