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카드, 카자흐스탄 법인서 현지 자금조달 확대 지급보증 신용공여액 두 배 증가…글로벌 포트폴리오 다변화 기대
이기욱 기자공개 2022-05-12 08:20:16
이 기사는 2022년 05월 11일 08시0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신한카드가 해외사업 정상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카자흐스탄 현지법인이 올해 들어 현지 자금조달 규모를 대폭 확대하며 공격적 영업을 예고하고 있다. 베트남 시장에 집중돼있는 해외사업 포트폴리오가 보다 다변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11일 업계에 따르면 신한카드는 최근 카자흐스탄 현지법인 ‘LLP MFO Shinhan Finance’(유한회사 신한파이낸스)에 대한 지급보증 신용공여액을 기존 506억원에서 671억원으로 32.61% 늘렸다. 지난해 10월 실행된 52억텡게(약 150억원) 규모의 지급보증건이 104억텡게(약 300억원)로 증액됐다.
신한파이낸스는 올해 들어 신한카드 지급보증을 통한 현지 자금 조달 규모를 크게 늘리고 있다. 앞서 지난달 8일에는 1500만달러(약 180억원)를 운영자금으로 차입했으며 3월에도 5억텡게(약 12억원)를 현지에서 조달한 바 있다. 지난해말(317억원) 대비 신용공여액 증가율은 111.67%에 달한다. 지난해 9월 이사회를 통해 늘린 지급보증한도액(약 840억원)에도 근접하고 있다.
이러한 자금조달 확대는 지난해 보여준 성장세를 이어나가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신한파이낸스는 지난해 21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거두며 전년(15억원) 대비 실적 개선에 성공했다. 자산규모도 289억원에서 414억원으로 43.25% 증가했다. 신한베트남파이낸스, 신한마이크로파이낸스(미얀마) 등이 실적 부진을 겪은 것과는 대조적인 모습이다.
신한파이낸스의 성장은 신한카드의 해외 사업 포트폴리오를 보다 다변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신한카드는 대부분의 해외 법인 수익을 신한베트남파이낸스에 의존하고 있는 구조다. 베트남 시장의 업황에 따라 해외법인 실적이 크게 좌우될 수밖에 없다.
지난해 신한카드 해외법인들의 총 순익 합은 14억원으로 전년(246억원) 대비 크게 줄어들었다. 2020년 227억원의 순익을 내며 90%가 넘는 비중을 차지했던 신한베트남파이낸스의 순익이 베트남 코로나19 봉쇄 조치 등으로 65억원까지 줄어든 영향이다.
여기에 미얀마 군부 쿠데타의 영향으로 신한마이크로파이낸스의 실적도 2억원 순이익에서 98억원 순손실로 적자 전환했다. 해외 시장에서 보다 안정적인 수익을 얻기 위해서는 카자흐스탄과 인도네시아(신한인도파이낸스) 등 다른 국가 현지 법인의 비중이 늘어날 필요가 있다.
신한카드 관계자는 “할부금융 사업 활성화 일환으로 (카자흐스탄 현지 법인의) 신용공여가 증가추세에 있다”며 “신한카드 글로벌 사업은 베트남 봉쇄조치, 미얀마 정치 상황 등 어려운 환경을 극복하고 영업 활성화를 이룩해 나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향후에도 비지니스 포트폴리오 다각화 및 디지털 혁신 가속화 등 글로벌 사업 경쟁력을 지속 강화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더핑크퐁컴퍼니 IPO]코스피 노리던 '아기상어', 코스닥 선회 배경은
- [더핑크퐁컴퍼니 IPO]6년 기다린 상장, 실적 개선에 코스닥 입성 본격화
- 더시에나그룹, 중부CC 인수한다
- 법정구속 조현범 한국앤컴퍼니 회장, 경영공백 '현실화'
- 마스턴운용, 용인 백암 물류센터 '백기'
- [스튜어드십코드 모니터]VIP운용, 주성엔지니어링 분할계획에 반대표
- [더제이운용 ETF 승부수]시장 타이밍 '적기'…사업다각화 고민 '결과물'
- [증권사 기관전용펀드 열전]부동산 PEF 경쟁 심화…'공동GP' 카드 만지작
- KB증권 PBS, 주식형 수탁 강화…수익성 높였다
- [연기금투자풀 지각변동]KB증권 OCIO, 최단기간 3관왕 저력 '승부수'
이기욱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한독 오픈이노베이션 전략]'제넥신' 상징적 투자…결실 없어도 원금 회수, 직접 경영
- [삼성 바이오 재편]그룹 결집 컨트롤타워의 탄생, '밸류체인' 경쟁력 이미 '톱'
- '지주사 전환' 에이프로젠, 규정 준수 지분 정리 '분주'
- 삼진제약, 김상진 전 삼일제약 대표 영입…영업력 강화
- [삼성 바이오 재편]홀딩스, 부채도 없지만 현금도 없다…'메자닌·배당' 활용법
- [삼성 바이오 재편]최대주주 삼성물산 수혜, R&D 가치에 배당효익까지
- [삼성 바이오 재편]에피스 R&D '투톱' 홀딩스 사내이사로, 이사회도 신약의지
- [한독 오픈이노베이션 전략]이노큐브 초석 만든 권소현 대표 "과학의 비즈니스화"
- [종근당·앱클론 동행 전략]오너간의 공감대 '화학적 결합' "협업 모범사례 만든다"
- [thebell note]산업으로서 바이오, 순수 과학의 함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