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쎄이상, 국내 최초 마이스 기업 코스닥 상장 도전 SK7호스팩과 합병 청구…기업가치, 35% 할인율 적용해 약 860억 책정
남준우 기자공개 2022-07-12 07:10:38
이 기사는 2022년 07월 08일 11시2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메쎄이상(MESSE ESANG)이 국내 마이스 기업 최초로 코스닥 상장에 도전한다. SK증권7호스팩과의 합병을 통해 증시에 입성할 계획이다. IPO 밸류는 약 860억원으로 책정했다. 예정대로 11월에 상장한다면 발기인인 SK증권과 ACPC는 빠른 엑시트를 기대할 수 있다.8일 IB업계에 따르면 SK증권7호스팩은 현재 메쎄이상과 합병을 추진하고 있다. 합병이 예정대로 진행된다면 오는 11월 29일을 기일로 모든 작업이 마무리될 예정이다. 코스닥 상장일은 12월 12일로 잡았다.

메쎄이상은 이상네트웍스가 지분 69.42%를 보유한 마이스 기업이다. 2018년 11월 이상네트웍스의 전시기획부문이 물적분할하며 신설된 이상엠엔씨가 2019년 메쎄이상을 흡수합병했다.
국내에서는 표준산업분류상 '전시, 컨벤션 및 행사대행업'을 영위하는 상장사는 엔피가 유일하다. 다만 광고콘텐츠 기획, 공연 기획 등을 전문으로 하기 때문에 사업 특성이 다르다. 상장한 지 1년이 안됐기에 유사회사에는 선정하지 않았다.
SK증권은 합병 과정에서 메쎄이상의 수익가치를 책정하기 위해 2022년부터 2026년까지의 실적을 추정했다. 2022년 374억원의 매출을 기록한 뒤 2026년 589억원까지 늘리겠다는 로드맵을 제시했다.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80억원에서 152억원까지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주관사와 발기인은 충분히 달성 가능한 실적이라고 평가했다. 코로나19 발발 이전인 2019년에 이미 매출 323억원, 영업이익 74억원을 달성했다. 2020년에는 코로나19로 비대면 행사가 잦아지며 매출은 186억원, 영업이익은 18억원으로 감소했다. 하지만 2021년부터 매출 265억원, 영업이익 55억원을 기록하는 등 곧바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IB업계 관계자는 "하반기 대구에서 개최될 경양 하우징 페어 등 큰 규모의 전시나 행사를 꾸준히 수임하고 있는 국내에서는 가장 큰 규모의 마이스 기업"이라며 "국민 소득이 올라갈수록 박람회·전시회 사업이 커지는 경향성이 뚜렷한 만큼 안정적인 성장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를 토대로 SK증권은 메쎄이상의 수익가치를 약 1000억원으로 매겼다. 메쎄이상의 발행주식 수(814만8738주)로 나눈 주당 수익가치는 1만2940원이다. 피합병법인의 합병가액(본질가치)을 책정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자산가치와 수익가치를 1대 1.5의 비율로 산술평균한다. SK증권은 메쎄이상의 자산가치를 주당 4550원으로 매겼다.
최종 산출된 합병가액은 주당 9580원이다. 최종 합병가액을 책정하는 과정에서 약 35%의 할인율이 적용했다. SK증권7호스팩과 메쎄이상의 합병 비율이 1대 4.79인 점을 고려하면 상장 후 시가총액은 약 860억원으로 예상된다.
메쎄이상이 예정대로 12월에 상장하면 발기인은 빠른 엑시트를 기대할 수 있다. SK증권7호스팩은 지난 2월 상장했다. 발기인은 SK증권과 ACPC다. SK증권은 전환사채(CB) 5억8000만원과 보통주 2000만원, ACPC는 보통주로만 6억원을 스팩에 투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Financial Index/SK그룹]주가상승률 50% 상회, SK스퀘어 'TSR' 그룹내 최고
- 금호타이어, 분기 '최대 매출'…영업이익은 '주춤'
- 유지한 SKC CFO "트럼프 관세, 위기보다 기회"
- [i-point]신테카바이오, 'K-BioX 글로벌 SUMMIT 6' 참여
- 간추려진 대명소노그룹 선택지, '티웨이'에 집중
- [감액배당 리포트]제주항공, 신속한 885억 감액…배당은 못했다
- [중간지주 배당수익 분석]세아베스틸지주, 배당수익 3배 급증...분할회사도 첫 기여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공격적인 '외연 확장'…재무 키워드 '자산 확충'
- [중견 배터리사 점검]고려아연, 이차전지 3사 이사회 정비...전문경영인 CEO 도입
- [자사주 리포트]두산, 3분의 1만 소각하는 이유는
남준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도미누스, '적자 지속' 건화 담보권 실행 절차 돌입
- [LP&Earning]'8.2% 수익률' 행정공제회, 환헤지 축소 전략 빛났다
- 태권보이의 PE 도전기
- [경찰공제회는 지금]역대 최대 순익냈지만, 투자 성적표 신뢰도 '글쎄'
- [경찰공제회는 지금]'공석 1년 이상' 주요 임원직, 선임 최대 변수 '경찰청'
- 'SK스페셜티 인센' 본 SK실트론, 한앤코 인수 반길까
- [경찰공제회는 지금]'이사회 역할' 운영위원회, 조직 개편 나선다
- [영상]실트론까지 인수할까…리밸런싱 나선 SK와 한앤컴퍼니 밀월관계
- [경찰공제회는 지금]이영상 이사장 선임 완료, 주요 임원 선임 속도낼까
- '매각 난항' 한양증권, 원점 재검토 가능성 높아지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