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K기업은행, 증권수탁시스템 '업그레이드' 신종펀드 수탁에 한계, 감독 역량 강화 필요성...수탁 경쟁력 제고
김서영 기자공개 2022-09-21 07:54:57
이 기사는 2022년 09월 20일 14시5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IBK기업은행이 증권수탁시스템 업그레이드에 나선다. 최신 펀드 회계 기준을 도입해 수탁 가능한 펀드 대상을 확대하고, 이상거래를 탐지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해 내부통제를 강화한다는 구상이다. 업무 프로세스를 디지털화해 업무량과 시간을 감축하는 효과도 기대된다.20일 금융권에 따르면 기업은행은 새로운 증권수탁시스템 구축을 위한 업체 선정에 나섰다. 수탁 시장 환경이 변하면서 관련 시스템을 정비해야 할 필요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사업 기간은 앞으로 1년이며 제한경쟁 입찰 방식으로 업체가 선정된다.
기업은행은 지금으로부터 26년 전인 1996년부터 수탁 업무를 시작했다. 기업은행의 수탁 업무는 자산운용사의 요청에 따라 해당 수탁을 처리하고 감시 업무를 수행한다. 집합투자재산을 보관·관리하며 그 대가로 보수를 받아 수익으로 삼는다.
그간 수탁 시장이 변하면서 관련 시스템에 한계가 발생했다. 이종통화 기준가 펀드 등 신종펀드 수탁이 어려워 신규 사업을 추진하는 데 차질이 빚어진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자본시장에 대한 감독이 강화되는 추세다. 사모펀드(PEF)의 컴플라이언스, 즉 윤리 경영 요건이 강화된 것이다. 또 비상장 자산의 예탁원 펀드넷 시스템이 구축되면서 긴밀한 대응에 나설 때가 됐다.
기존 C/S 기반의 VB.NET 프레임워크에선 개발 속도가 저하돼 신규 업무 개발 요구에 신속한 대응이 어려웠다. 또 업무 프로세스나 구조가 복잡한 펀드가 대량 출현하면서 수기로 거래해야 하는 횟수가 늘었다. 이에 따라 자금, 회계, 컴플라이언스 등 업무상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새로운 증권수탁시스템 구축을 통해 "기존 C/S 기반에서 웹 기반(HTML5/JAVA)의 프레임워크로 재구축할 계획"이라며 "신종펀드 수탁, 수기업무 간소화 등을 위한 업무 프로세스도 재설계한다"고 밝혔다.
기업은행은 이를 통해 수탁 대상을 확장하는 기반을 마련하겠다는 구상이다. 최신 펀드 회계 기준을 도입하는 등 신규 사업 추진에 박차를 가하겠다는 의지다.
다중통화 회계시스템(MCA)을 도입해 원화, 외화, 각종 이종통화 펀드 수탁 기반 확보하는 것이다. 해외 업무를 위한 관련 펀드원장 및 업무처리 기능도 갖춘다. 특별자산, PEF, 유동화 펀드 수탁을 증대하기 위한 관리 기능을 새롭게 설치하고 개선해 나갈 방침이다.
새로운 증권수탁시스템은 내부통제 강화 역할을 하게 된다. 약관상의 투자 대상 자산 항목을 대조해 특이사항을 점검하는 등 이상 거래를 탐지할 수 있는 모니터링 역량을 포함하고 있다. 환매연기 및 부실펀드를 등록해 관리하며 운용사에 대한 모니터링도 강화한다.
수탁 업무 프로세스를 디지털화해 효율성을 끌어올린다. 전자문서로 처리하는 대상을 확대해 수기 작성에 따른 여러 오류를 방지한다. 수기업무도 자동화해 업무량과 시간을 감축한다.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종이 없는(paperless)' 업무 환경을 조성, 친환경 경영에 기여할 전망이다. 무엇보다 실물자산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기능 개선이 이뤄진다.
끝으로 기업은행 내 시스템 연계성을 확대한다. 이를 통해 업무처리가 효율적으로 이뤄질 것으로 기대한다. △종합 수익 관리 △전자 FAX △BPR(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시스템 등을 한곳에 집중하게 된다. 기업은행 외부에 있는 관계기관 등에서 입수하는 정보를 확대하고 자동 업로드도 가능해진다. 벤처넷, 펀드넷 등 관계 기관과도 연계한다.
기업은행은 수탁업 개시 이후 모두 75조원 규모의 수탁자산을 쌓았다. 총 수탁고는 2018년 41조5000억원이었으나 매년 가파르게 증가해 2020년 61조3000억원, 지난해 말 74조8000억원을 기록했다. 올해 말 수탁고는 지난해 말보다 16.3% 증가한 87조원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AACR 2025]제이인츠 임상의가 본 JIN-A02 기술이전 전략 "타깃 구체화"
- [i-point]메타약품,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 달성
- [Company Watch]1년만에 IR 무대 선 세아메카닉스, ESS 부품 수주 예고
- 휴온스랩, 92억 투자 유치…반년만에 밸류 두배 껑충
- [HB그룹은 지금]알짜빌딩에 세종 신사옥까지, 그룹 안전판 '부동산'
- [코스닥 유망섹터 지도]'보냉재 강자' 동성화인텍, 시장확대 수혜 전망
- [Company Watch]한중엔시에스, 미국 생산거점 확보 나선다
- [VC 투자기업]달바글로벌 주주, 화장품 할인 받는다
- [모태 2025 2차 정시출자]에이벤처스, 'Co-GP' 몰린 스케일업서 승기 잡을까
- [모태 2025 2차 정시출자]'출자 감소' 사이버보안, 린벤처스 2연속 도전 눈길
김서영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GS건설, 자회사 '리밸런싱' 어디까지 왔나
- [2025 건설부동산 포럼]"기업형 임대주택 사업 '선순환 모델' 구축해야"
- GS건설, 이니마 매각 급물살 타나
- [디벨로퍼 리포트]DS네트웍스, 선제적 토지 매각으로 리스크 해소
- [건설리포트]'1조 클럽 수성' 반도건설, 올해 실적 향상 카드는
- [건설사 미수금 모니터]SK에코플랜트, SK하이닉스 공장 준공에 '연동'
- 우미건설, '부산 장안지구 우미린 프리미어' 견본주택 오픈
- [디벨로퍼 리포트]외형 키우는 신세계프라퍼티, 투자 더 늘린다
- [떠오르는 모듈러 건축]삼성물산, 사우디 네옴시티에 'OSC 기술' 활용
- [건설리포트]제일건설, 안정적 실적 속 재무비율 개선 '뚜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