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금고, 태블릿브랜치 활용 '디지털MG' 행보 본격화 디지털혁신위원회 출범…디지털종합금융플랫폼 실현
김형석 기자공개 2022-09-27 11:05:00
이 기사는 2022년 09월 27일 11:03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전국 3200여개의 점포를 바탕으로 지역 밀착 금융기관의 역할을 해 온 새마을금고가 '디지털MG' 행보를 본격화하고 있다. 새마을금고는 태블릿브랜치 활용해 찾아가는 금융점포를 도입한 데 이어 모바일 앱 고도화도 동시에 추진하고 있다.새마을금고는 2019년 디지털금융 전담부서를 설치했다. 이듬해에는 새마을금고중앙회 통합IT센터 구축했다.
2021년 9월에는 전국 새마을금고에 디지털창구를 도입했다. 디지털창구는 예금, 대출, 공제업무 등 전 업무분야에 적용된다. 모아쓰기, 화면확대 등 고객편의 기능을 대폭 강화해 고객들이 최대한 짧게 창구에 머무를 수 있도록 설정됐다.
찾아가는 금융 서비스인 ‘태블릿브랜치(MG이음서비스)’는 객장이라는 공간적 한계를 벗어나 직원이 직접 태블릿PC를 들고 고객을 방문해 예금 등 각종 금융상품 가입과 대출, 공제 등의 상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 서비스는 1인 점포 특성상 창구 방문을 힘들어하는 소상공인 고객들에게 태블릿을 활용한 파출수납 서비스는 큰 호응을 얻고 있다.
더 손쉬운 로그인과 더 편리한 인증, 더 간편해진 이체를 모티브로 한 MG더뱅킹 앱도 중요 성과다. MG더뱅킹은 실버세대 고객을 위해 직관성을 강화한 심플모드 화면을 지원하는 등 새마을금고 고객 특화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으며, 손바닥 안에서 예금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
지난 6월에는 전사적인 DT(Digital Transformation) 추진을 위한 디지털혁신위원회를 출범하며 디지털 고도화를 대외에 발표했다. 디지털혁신위원회는 ‘디지털종합금융플랫폼 실현’이라는 미션 아래 4대 전략 목표와 18대 전략과제를 선정해 디지털 전환을 체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새마을금고는 이 밖에도 디지털 전환에 앞서 상대적으로 디지털기기에 약한 고령층 회원들을 위한 스마트폰 활용교실은 물론, MG희망나눔 금융교실 과정 중 디지털금융과정을 개설하여 큰 호응을 얻었다.
박차훈 새마을금고중앙회장은 "새마을금고는 가장 가까이에서 이웃 같은 금융을 제공하고자 한다"며 "디지털MG강화를 통해 더욱 믿고 찾을 수 있는 지역금융기관으로 거듭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STX중공업에 진심' 한화, 자문사단과 경쟁 우위 묘수 찾나
- [우리금융 차기 리더는]중량감 넘치는 숏리스트 4인방 ‘이원덕·신현석·이동연·임종룡’
- 'BBB' HL D&I, 공모채 발행 추진…금리 메리트 앞세워
- 코리아에너지터미널 공모채 '4650억' 수요 몰렸다
- SK인천석화, A급 회사채 온기 이어갈까
- [투자 포트폴리오 리포트/LS그룹]전방위 지원 10년…LS아이앤디는 ‘밑 빠진 독’일까
- 롯데하이마트, 가까스로 완판 '절반의 성공'
- KB금융, 금리 메리트에 신종자본증권 '흥행'
- 세토피아, 친환경 첨단 소재 진출 기반 마련
- 팹리스 '리벨리온' 행보에 거는 기대
김형석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2023 금융 Forum]"K-ICS 미흡 보험사에 최대 10년 제재 유예하겠다"
- [2023 신경영지도]농협금융, 에셋전략부문 신설…자산운용 관리 효율성 높인다
- [수협중앙회장 선거 리뷰]복잡한 조합 구성이 빚은 난제들…조합원 수 vs 이익기여
- 우체국예금, 작년 3분기 해외채권 수익률 -20%
- 수협은행, 공적자금 상환에도 예보 출신 임원 영입
- 수협중앙회, 본사 지방이전 논의에 대응방안 마련 고심
- [수협중앙회장 선거 리뷰]호남 후보 실종…차기 회장 둘러싼 '표심' 향방 관심
- [2023 승부수]신협, 디지털 혁신 통해 20·30 공략
- [수협중앙회장 선거 리뷰]기형적 선거 일정 정상화…직선제 대안될까
- 수협중앙회, 차기 대표 선임 미뤘지만 내홍 불씨 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