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전사 단기유동성 진단]우리금융캐피탈, 즉시가용자금비율 개선⑥6월말 95%로 경쟁사 대비 열위였지만 9월말 227%로 상승
이기욱 기자공개 2022-11-07 08:19:07
[편집자주]
여신전문금융회사들의 자금 조달 위기가 현실화되고 있다. 금리인상과 경기 변동성에 대한 불안감으로 채권 시장이 얼어붙자 수신 기능이 없는 여전사들이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회사채 외 CP, 단기차입금 등으로 조달 전략을 다양화하는 과정에서 일부 여전사들의 단기 조달 비중이 급증하고 있다. 주요 여전사의 자금 조달 현황과 단기 지급 능력 등을 점검해본다.
이 기사는 2022년 11월 04일 16시2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우리금융캐피탈은 회사채 위주의 안정적인 자금조달 포트폴리오를 유지하고 있다. 올해 들어 단기조달 비중이 소폭 증가하고 차입금의 만기구조가 단기화됐지만 자산의 만기구조도 단기화되고 있어 종합부채자산관리(ALM)에는 큰 어려움을 없을 것으로 분석된다. 일시적으로 나타났던 즉시가용자산 부족 문제도 3분기 들어 개선 흐름을 보이고 있다.업계에 따르면 상반기말 기준 우리금융캐피탈의 단기자금조달 비중은 8.8%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상반기(3.5%) 대비 5.3%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발행 기준 만기가 1년 이내인 조달금의 잔액이 2600억원에서 9300억원으로 3.5배 가량 늘어났다.
단기조달 비중 증가에도 여전히 회사채의 비중은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우리금융캐피탈의 자금조달 평균 잔액은 11조3430억원으로 이중 회사채(8조423억원)가 차지하는 비중은 70.9%에 달한다. 지난해(78.1%) 보다 7.2%포인트 하락했지만 안정적인 포트폴리오 구성을 유지하고 있는 모습이다.
차입금의 만기구조는 단기화되고 있다. 올해 상반기말 기준 우리금융캐피탈의 원화부채 잔액은 11조280억원으로 이중 만기 1년 이내 부채(4조208억원)가 차지하는 비중은 36.46%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말(34.36%) 대비 2.1%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단기조달자금 증가의 영향도 있지만 회사채 자체의 만기구조가 단기화되는 중이다. 상반기말 기준 우리금융캐피탈의 원화 사채 잔액은 8조6821억원이며 이중 3조4200억원이 만기 1년 이내에 해당한다. 전체 사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9.39%로 지난해말(34.63%)보다 4.76%포인트 늘어났다.
자산의 만기구조도 단기화되고 있어 ALM에는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분석된다. 상반기말 기준 우리금융캐피탈의 원화자산 총액은 12조7820억원이며 이중 39.32%(5조260억원)가 만기 1년 이내 자산에 해당한다. 지난해말(36.9%) 대비 2.42%포인트 늘어났다.
할부금융 자산과 리스자산의 만기구조는 지난해말과 비슷하게 유지되고 있으나 대출자산의 만기구조가 단기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대출자산 중 만기 1년이내 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말 32.58%에서 36.43%로 3.85%포인트 증가했다.
일시적으로 나타났던 즉시가용자산 부족 문제도 개선되는 중이다. 상반기말 기준 우리금융캐피탈의 즉시가용유동성자산은 4085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상반기(1353억원)보다는 두 배 이상 늘어났지만 여전히 부채 규모에 비해 부족한 규모다.
1개월 이내 만기도래 부채 대비 즉시가용유동성자산의 비중을 나타내는 즉시가용유동성비율은 95%에 불과하다. KB캐피탈(254.59%), 신한캐피탈(527.06%), 하나캐피탈(162.62%), NH농협캐피탈(431.9%) 등 경쟁사에 비해 현저히 떨어지는 수치다.
우리금융캐피탈은 자본시장 변동성에 따른 일시적인 문제라는 입장이다. 현재 현금성 자산을 늘리는 등 개선 추세에 있기 때문에 실제 유동성 위기로 이어질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주장이다.
3분기말 기준 우리금융캐피탈의 현금 및 예치금 잔액은 4450억원으로 전분기말(2950억원) 대비 50.85% 증가했다. 지난해말(1880억원) 대비 증가율은 136.7%에 달한다. 즉시가용유동성 자산은 7950억원으로 늘어났으며 즉시가용유동성비율 역시 227%까지 상승했다.
우리금융캐피탈 관계자는 “7월 회사채 만기 상환이 많아서 즉시가용유동성비율이 낮아졌다”며 “일시적으로 나타난 현상일뿐 유동성은 안정적으로 확보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한국GM, 내수부진에 자산 매각…철수설 재등장하나
- 나이벡, 美 바이오사에 '계약금 109억' 섬유증 물질 기술이전
- 현대차, 아이오닉 시리즈 50만대 벽 넘었다
- [i-point]그리드위즈, 2024년 ESG 보고서 공개 "탄소배출 감축 성과"
- [i-point]빛과전자, 삼성전자 우수협력사 우수상 수상
- [코스닥 상장사 매물 분석]KH그룹, 대양금속 손 떼고 빛과전자 인수 선회
- [i-point]투비소프트, 자연어 모델 활용 프로그램 생성 특허 획득
- [i-point]ICTK, 양자 기술 기업 BTQ와 전략적 MOU
- 한투운용 'ACE 빅테크7+커버드콜', 두자릿수 배당률 눈길
- 이지스운용, 스페인 '네슬레 HQ' 매각…손절 선택
이기욱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삼성 바이오 재편]그룹 결집 컨트롤타워의 탄생, '밸류체인' 경쟁력 이미 '톱'
- '지주사 전환' 에이프로젠, 규정 준수 지분 정리 '분주'
- 삼진제약, 김상진 전 삼일제약 대표 영입…영업력 강화
- [삼성 바이오 재편]홀딩스, 부채도 없지만 현금도 없다…'메자닌·배당' 활용법
- [삼성 바이오 재편]최대주주 삼성물산 수혜, R&D 가치에 배당효익까지
- [삼성 바이오 재편]에피스 R&D '투톱' 홀딩스 사내이사로, 이사회도 신약의지
- [한독 오픈이노베이션 전략]이노큐브 초석 만든 권소현 대표 "과학의 비즈니스화"
- [종근당·앱클론 동행 전략]오너간의 공감대 '화학적 결합' "협업 모범사례 만든다"
- [thebell note]산업으로서 바이오, 순수 과학의 함정
- [종근당·앱클론 동행 전략]소규모 지분투자와 차원이 다르다, '공동개발위' 핵심